소장자료
LDR | 01518nam a2200373 k 4500 | ||
001 | 0009225441▲ | ||
005 | 20180520080343▲ | ||
007 | ta▲ | ||
008 | 070525s2007 ulka 000a kor▲ | ||
020 | ▼a9788988435960▼g93910▲ | ||
040 | ▼a221016▼c221016▲ | ||
082 | 0 | ▼a951.0025▼221▲ | |
090 | ▼a951.0025▼b백51ㅅ▲ | ||
110 | ▼a백산학회▼0122866▲ | ||
245 | 1 | 0 | ▼a선사시대의 연구동향/▼d백산학회 편.▲ |
260 | ▼a서울:▼b백산자료원,▼c2007.▲ | ||
300 | ▼a355 p.:▼b삽도;▼c22 cm.▲ | ||
505 | 0 | ▼a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한창균. - 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 하문식. -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 하문식. -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 한창균. -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 한창균. - 고인돌 암각화의 생성 배경과 상징성 연구 / 송화섭. - 경기지역 고인돌 문화의 특징 : 남한강 유역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 우장문. - 울산 대곡리 암각화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고래그림을 중심으로 / 김태욱. - 高台山文化에 대하여 / 복기대. - 後期靑銅器~初期鐵期時代 中國 山東地域과 韓國間의 交流 / 李慧竹.王靑 - 朝鮮.鮮卑의 鮮(Soyon)族 起源考 : 原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 周采赫▲ | |
700 | 1 | ▼a한창균.▼t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
700 | 1 | ▼a하문식.▼t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 |
700 | 1 | ▼a하문식.▼t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 |
700 | 1 | ▼a한창균.▼t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 |
700 | 1 | ▼a한창균.▼t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 |
700 | 1 | ▼a송화섭.▼t고인돌 암각화의 생성 배경과 상징성 연구▲ | |
700 | 1 | ▼a우장문.▼t경기지역 고인돌 문화의 특징 : 남한강 유역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 |
700 | 1 | ▼a김태욱.▼t울산 대곡리 암각화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고래그림을 중심으로▲ | |
700 | 1 | ▼a복기대.▼t고태산문화에 대하여▲ | |
700 | 1 | ▼a이혜죽.▼t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 |
700 | 1 | ▼a왕청.▼t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 |
700 | 1 | ▼a주채혁.▼t조선. 선비의 선(Soyon)족 기원고 : 원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 |
940 | ▼a천구백육십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
940 | ▼a조선 선비의 선족 기원고 : 원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 ||
950 | 0 | ▼b₩15000▲ | |
999 | ▼a황은주▼b황은주▲ |

선사시대의 연구동향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선사시대의 연구동향 / 백산학회 편.
개인저자
한창균.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하문식. 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하문식.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한창균.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한창균.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송화섭. 고인돌 암각화의 생성 배경과 상징성 연구
우장문. 경기지역 고인돌 문화의 특징 : 남한강 유역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김태욱. 울산 대곡리 암각화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고래그림을 중심으로
복기대. 고태산문화에 대하여
이혜죽. 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왕청. 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주채혁. 조선. 선비의 선(Soyon)족 기원고 : 원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하문식. 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하문식.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한창균.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한창균.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송화섭. 고인돌 암각화의 생성 배경과 상징성 연구
우장문. 경기지역 고인돌 문화의 특징 : 남한강 유역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김태욱. 울산 대곡리 암각화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고래그림을 중심으로
복기대. 고태산문화에 대하여
이혜죽. 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왕청. 후기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중국 산동지역과 한국간의 교류
주채혁. 조선. 선비의 선(Soyon)족 기원고 : 원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백산자료원 , 2007.
형태사항
355 p. : 삽도 ; 22 cm.
내용주기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한창균. - 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 하문식. -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 하문식. -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 한창균. -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 한창균. - 고인돌 암각화의 생성 배경과 상징성 연구 / 송화섭. - 경기지역 고인돌 문화의 특징 : 남한강 유역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 우장문. - 울산 대곡리 암각화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고래그림을 중심으로 / 김태욱. - 高台山文化에 대하여 / 복기대. - 後期靑銅器~初期鐵期時代 中國 山東地域과 韓國間의 交流 / 李慧竹.王靑 - 朝鮮.鮮卑의 鮮(Soyon)族 起源考 : 原조선겨레 '소욘'족에 관하여 / 周采赫
ISBN
9788988435960
청구기호
951.0025 백51ㅅ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