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490cam a2200217 c 4500 | ||
001 | 0092158105▲ | ||
005 | 20180520224124▲ | ||
007 | ta▲ | ||
008 | 081030s2008 ulk 000a kor ▲ | ||
020 | ▼a9788956263335▼g93810 :▼c₩27000▲ | ||
035 | ▼a(KERIS)BIB000011472960▲ | ||
040 | ▼a211040▼c211040▼d221016▲ | ||
085 | ▼a811.09▼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811.09▼b한17ㅎM▲ | ||
110 | ▼a한국여성문학학회▲ | ||
245 | 1 | 0 | ▼a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x(The) present and perspective on the feminist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d한국여성문학학회 편.▲ |
260 | ▼a서울 :▼b소명출판,▼c2008.▲ | ||
300 | ▼a476 p. ;▼c24 cm.▲ | ||
505 | 0 | 0 | ▼a제1부 총론. ▼t여성문학비평론 -- ▼t페미니즘 미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 / ▼d김복순 -- ▼t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 ▼d이경하 -- ▼t젠더비평-메타 비평으로서의 고전 독해 : 고전 서사의 젠더 비평적 독해를 위한 방법론적 고찰 / ▼d최기숙 -- ▼t강정일당의 예 담론 : 조선 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 ▼d이혜순 -- ▼a제2부. ▼t근대성, 민족, 여성 -- ▼t탈근대, 탈민족 담론과 여성(문학)연구 : 경합과 교섭에 대한 비판적 읽기 / ▼d김양선 -- ▼t젠더 정체성의 정치학과 '근대/여성' 담론의 기원 : 『여자계』를 중심으로 / ▼d소영현 -- ▼t입센의 번역과 성 정치학 / ▼d이승희 -- ▼t식민주의의 내면화와 내부 식민지 : 1920~1930년대 소설의 섹슈얼리티·젠더·계급 / ▼d이혜령 -- ▼a제3부. ▼t여성적 글스기와 여성작가의 탄생 -- ▼t여성과 자기서사 / ▼d박혜숙 -- ▼t'여성적 말하기'와 여성 한시의 전략 / ▼d박무영 -- ▼t상징 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 ▼d김승희 -- ▼t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 ▼d심진경 -- ▼t1930년대의 신여성과 여성작가의 계보 연구 / ▼d이상경 -- ▼a제4부. ▼t젠더, 섹슈얼리티, 문화 -- ▼t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 ▼d신경숙 -- ▼t카페, 근대 유흥 공간과 문학 / ▼d서지영 -- ▼t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 ▼d송인화 -- ▼t이브의 몸, 부재의 변증법 : 한국 여성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몸 / ▼d김미현▲ |
653 | ▼a한국여성문학론▼a여성문학연구▼a한국문학연구▼a여성문학비평▲ | ||
999 | ▼c안정화▲ |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The) present and perspective on the feminist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The) present and perspective on the feminist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한국여성문학학회 편.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 2008.
형태사항
476 p. ; 24 cm.
내용주기
제1부 총론. 여성문학비평론 -- 페미니즘 미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 / 김복순 --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 이경하 -- 젠더비평-메타 비평으로서의 고전 독해 : 고전 서사의 젠더 비평적 독해를 위한 방법론적 고찰 / 최기숙 -- 강정일당의 예 담론 : 조선 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 이혜순 -- 제2부. 근대성, 민족, 여성 -- 탈근대, 탈민족 담론과 여성(문학)연구 : 경합과 교섭에 대한 비판적 읽기 / 김양선 -- 젠더 정체성의 정치학과 '근대/여성' 담론의 기원 : 『여자계』를 중심으로 / 소영현 -- 입센의 번역과 성 정치학 / 이승희 -- 식민주의의 내면화와 내부 식민지 : 1920~1930년대 소설의 섹슈얼리티·젠더·계급 / 이혜령 -- 제3부. 여성적 글스기와 여성작가의 탄생 -- 여성과 자기서사 / 박혜숙 --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 한시의 전략 / 박무영 -- 상징 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 김승희 --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 심진경 -- 1930년대의 신여성과 여성작가의 계보 연구 / 이상경 -- 제4부. 젠더, 섹슈얼리티, 문화 --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 신경숙 -- 카페, 근대 유흥 공간과 문학 / 서지영 --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 송인화 -- 이브의 몸, 부재의 변증법 : 한국 여성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몸 / 김미현
ISBN
9788956263335
청구기호
811.09 한17ㅎM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