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562namka2200385 k 4500 | ||
001 | 0000639356▲ | ||
005 | 20180519083459▲ | ||
007 | ta▲ | ||
008 | 050120s2004 ulk 000a kor ▲ | ||
020 | ▼a 8956382050 ▼g 9367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789.2108 ▼2 21▲ | |
090 | ▼a 789.2108 ▼b 한17ㅈ▲ | ||
110 | ▼a 한국예술종합학교.▼b 전통예술원.▲ | ||
245 | 1 | 0 | ▼a 전통예술원 전문사학위논문집/▼d 전통예술원 편저.▼n 2▲ |
260 | ▼a 서울 :▼b 민속원,▼c 2004.▲ | ||
300 | ▼a 1036 p.:▼b 삽도;▼c 26 cm.▲ | ||
504 | ▼a 찾아보기 : p. 1021-1036▲ | ||
505 | 0 | ▼a 박범훈 연주의 피리시나위 연구/김문주. -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성연구/김용우. -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김은자. - 나운영의 관현악곡 제9번과 13번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 연구/김진숙. - 산조의 다중선법(Polymodality)에 관한 연구/류형선. - 경모궁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연구/박치완. -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서정민. - 정굉수 <수궁가>의 음악적 표현방법 연구/염경애. -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양주별산대놀이의 변화양상/원혜진. - 日帝强占期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이재옥. - 육자배기 반주선율의 비교/이정주. - 純祖代 孝明世子 代聽時 呈才의 演行樣相/조경아. - 지용구의 음악활동 및 초기 해금산조 창제의 음악사적 고찰/허시라.▲ | |
700 | 1 | ▼a 김문주/▼t 박범훈 연주의 피리시나위 연구▲ | |
700 | 1 | ▼a 김용우/▼t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성연구▲ | |
700 | 1 | ▼a 김은자/▼t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 | |
700 | 1 | ▼a 김진숙/▼t 나운영의 관현악곡 제9번과 13번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 연구▲ | |
700 | 1 | ▼a 류형선/▼t 산조의 다중선법(Polymodality)에 관한 연구▲ | |
700 | 1 | ▼a 박치완/▼t 경모궁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연구▲ | |
700 | 1 | ▼a 서정민/▼t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 | |
700 | 1 | ▼a 염경애/▼t 정굉수 <수궁가>의 음악적 표현방법 연구▲ | |
700 | 1 | ▼a 원혜진/▼t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양주별산대놀이의 변화양상▲ | |
700 | 1 | ▼a 이재옥/▼t 日帝强占期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 | |
700 | 1 | ▼a 이정주/▼t 육자배기 반주선율의 비교▲ | |
700 | 1 | ▼a 조경아/▼t 純祖代 孝明世子 代聽時 呈才의 演行樣相▲ | |
700 | 1 | ▼a 허시라/▼t 지용구의 음악활동 및 초기 해금산조 창제의 음악사적 고찰▲ | |
900 | 1 | 1 | ▼a 유형선.▲ |
950 | 0 | ▼b ₩70000▲ | |
999 | ▼a 정영주▼b 정영주▲ |

전통예술원 전문사학위논문집 2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전통예술원 전문사학위논문집 / 전통예술원 편저. 2
개인저자
김문주 / 박범훈 연주의 피리시나위 연구
김용우 /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성연구
김은자 /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
김진숙 / 나운영의 관현악곡 제9번과 13번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 연구
류형선 / 산조의 다중선법(Polymodality)에 관한 연구
박치완 / 경모궁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연구
서정민 /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
염경애 / 정굉수 <수궁가>의 음악적 표현방법 연구
원혜진 /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양주별산대놀이의 변화양상
이재옥 / 日帝强占期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
이정주 / 육자배기 반주선율의 비교
조경아 / 純祖代 孝明世子 代聽時 呈才의 演行樣相
허시라 / 지용구의 음악활동 및 초기 해금산조 창제의 음악사적 고찰
김용우 /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성연구
김은자 /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
김진숙 / 나운영의 관현악곡 제9번과 13번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 연구
류형선 / 산조의 다중선법(Polymodality)에 관한 연구
박치완 / 경모궁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연구
서정민 /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
염경애 / 정굉수 <수궁가>의 음악적 표현방법 연구
원혜진 /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양주별산대놀이의 변화양상
이재옥 / 日帝强占期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
이정주 / 육자배기 반주선율의 비교
조경아 / 純祖代 孝明世子 代聽時 呈才의 演行樣相
허시라 / 지용구의 음악활동 및 초기 해금산조 창제의 음악사적 고찰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 2004.
형태사항
1036 p. : 삽도 ; 26 cm.
서지주기
찾아보기 : p. 1021-1036
내용주기
박범훈 연주의 피리시나위 연구/김문주. -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성연구/김용우. -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김은자. - 나운영의 관현악곡 제9번과 13번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 연구/김진숙. - 산조의 다중선법(Polymodality)에 관한 연구/류형선. - 경모궁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연구/박치완. -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서정민. - 정굉수 <수궁가>의 음악적 표현방법 연구/염경애. -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양주별산대놀이의 변화양상/원혜진. - 日帝强占期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이재옥. - 육자배기 반주선율의 비교/이정주. - 純祖代 孝明世子 代聽時 呈才의 演行樣相/조경아. - 지용구의 음악활동 및 초기 해금산조 창제의 음악사적 고찰/허시라.
ISBN
8956382050
청구기호
789.2108 한17ㅈ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