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032camka2200421 c 4500 | ||
001 | 0000575239▲ | ||
005 | 20180520052130▲ | ||
007 | ta▲ | ||
008 | 030821s2003 ulk 000a kor▲ | ||
020 | ▼a8976268423▼g93810 :▼c₩25000▲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811.0903▼221▲ | |
090 | ▼a811.0903▼b이44ㅇ▲ | ||
100 | 1 | ▼a이병혁,▼g李炳赫,▼d1937-▼0174196▲ | |
245 | 1 | 0 | ▼a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d李炳赫 編▲ |
260 | ▼a서울 :▼b태학사,▼c2003▲ | ||
300 | ▼a535 p. ;▼c23 cm▲ | ||
505 | 0 | ▼a'武臣執權期의 文學的 轉換'에 對한 再檢討 序說/이종문. - 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임형택. - 麗末 士大夫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김종진. - 고려말 조선전기 性理學 書籍의 수용 과정/강명관. - 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인권환. - 麗末鮮初의 詩人 瞥觀/이종찬. - 麗末鮮初 문인의 文彩 인식에 대하여 (其一)/김성언. - 麗末鮮初 韓日兩國 通信使의 不傳行錄에 對하여/김성진. - <崔孤雲傳>을 통해 읽는 初期 古典小說史의 한 국면/정출헌. - 강화도 시절의 李奎報/김영. - 拙翁 崔瀣 文學의 歷史的 性格/정경주. - 牧隱詩의 經書 用事에 대하여/이병혁. - 牧隱에게서의 道學思想의 文學的 闡發/이동환. - 李穡의 風俗詩 硏究/박성규. - 敎述 談論의 시적 변용 원리/이진오. - 고려시대 辭賦의 성격/임종욱. - 陶隱 李崇仁의 詩文學/송재소. - 耘谷의 詩世界/변종현. - 生六臣 趙旅 관련 <虎背渡江傳說>의 傳承樣相과 그 意味/이신성.▲ | |
700 | 1 | ▼a이종문.▼t'武臣執權期의 文學的 轉換'에 對한 再檢討 序說▲ | |
700 | 1 | ▼a임형택.▼t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 | |
700 | 1 | ▼a김종진.▼t麗末 士大夫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 |
700 | 1 | ▼a강명관.▼t고려말 조선전기 性理學 書籍의 수용 과정▲ | |
700 | 1 | ▼a인권환.▼t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 | |
700 | 1 | ▼a이종찬.▼t麗末鮮初의 詩人 瞥觀▲ | |
700 | 1 | ▼a김성언.▼t麗末鮮初 문인의 文彩 인식에 대하여 (其一)▲ | |
700 | 1 | ▼a김성진.▼t麗末鮮初 韓日兩國 通信使의 不傳行錄에 對하여▲ | |
700 | 1 | ▼a정출헌.▼t<崔孤雲傳>을 통해 읽는 初期 古典小說史의 한 국면▲ | |
700 | 1 | ▼a김영.▼t강화도 시절의 李奎報▲ | |
700 | 1 | ▼a정경주.▼t拙翁 崔瀣 文學의 歷史的 性格▲ | |
700 | 1 | ▼a이동환.▼t牧隱에게서의 道學思想의 文學的 闡發▲ | |
700 | 1 | ▼a박성규.▼t李穡의 風俗詩 硏究▲ | |
700 | 1 | ▼a이진오.▼t敎述 談論의 시적 변용 원리▲ | |
700 | 1 | ▼a임종욱.▼t고려시대 辭賦의 성격▲ | |
700 | 1 | ▼a송재소.▼t陶隱 李崇仁의 詩文學▲ | |
700 | 1 | ▼a변종현.▼t耘谷의 詩世界▲ | |
700 | 1 | ▼a이신성.▼t生六臣 趙旅 관련 <虎背渡江傳說>의 傳承樣相과 그 意味▲ | |
700 | 1 | ▼a이병혁,▼g李炳赫,▼d1937-▼0174196▲ | |
999 | ▼a정영주▼b정영주▼c임정희▲ |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 李炳赫 編
개인저자
이병혁 , 李炳赫 , 1937-
이종문. '武臣執權期의 文學的 轉換'에 對한 再檢討 序說
임형택. 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
김종진. 麗末 士大夫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강명관. 고려말 조선전기 性理學 書籍의 수용 과정
인권환. 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
이종찬. 麗末鮮初의 詩人 瞥觀
김성언. 麗末鮮初 문인의 文彩 인식에 대하여 (其一)
김성진. 麗末鮮初 韓日兩國 通信使의 不傳行錄에 對하여
정출헌. <崔孤雲傳>을 통해 읽는 初期 古典小說史의 한 국면
김영. 강화도 시절의 李奎報
정경주. 拙翁 崔瀣 文學의 歷史的 性格
이동환. 牧隱에게서의 道學思想의 文學的 闡發
박성규. 李穡의 風俗詩 硏究
이진오. 敎述 談論의 시적 변용 원리
임종욱. 고려시대 辭賦의 성격
송재소. 陶隱 李崇仁의 詩文學
변종현. 耘谷의 詩世界
이신성. 生六臣 趙旅 관련 <虎背渡江傳說>의 傳承樣相과 그 意味
이병혁 , 李炳赫 , 1937-
이종문. '武臣執權期의 文學的 轉換'에 對한 再檢討 序說
임형택. 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
김종진. 麗末 士大夫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강명관. 고려말 조선전기 性理學 書籍의 수용 과정
인권환. 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
이종찬. 麗末鮮初의 詩人 瞥觀
김성언. 麗末鮮初 문인의 文彩 인식에 대하여 (其一)
김성진. 麗末鮮初 韓日兩國 通信使의 不傳行錄에 對하여
정출헌. <崔孤雲傳>을 통해 읽는 初期 古典小說史의 한 국면
김영. 강화도 시절의 李奎報
정경주. 拙翁 崔瀣 文學의 歷史的 性格
이동환. 牧隱에게서의 道學思想의 文學的 闡發
박성규. 李穡의 風俗詩 硏究
이진오. 敎述 談論의 시적 변용 원리
임종욱. 고려시대 辭賦의 성격
송재소. 陶隱 李崇仁의 詩文學
변종현. 耘谷의 詩世界
이신성. 生六臣 趙旅 관련 <虎背渡江傳說>의 傳承樣相과 그 意味
이병혁 , 李炳赫 , 1937-
발행사항
서울 : 태학사 , 2003
형태사항
535 p. ; 23 cm
내용주기
'武臣執權期의 文學的 轉換'에 對한 再檢討 序說/이종문. - 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임형택. - 麗末 士大夫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김종진. - 고려말 조선전기 性理學 書籍의 수용 과정/강명관. - 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인권환. - 麗末鮮初의 詩人 瞥觀/이종찬. - 麗末鮮初 문인의 文彩 인식에 대하여 (其一)/김성언. - 麗末鮮初 韓日兩國 通信使의 不傳行錄에 對하여/김성진. - <崔孤雲傳>을 통해 읽는 初期 古典小說史의 한 국면/정출헌. - 강화도 시절의 李奎報/김영. - 拙翁 崔瀣 文學의 歷史的 性格/정경주. - 牧隱詩의 經書 用事에 대하여/이병혁. - 牧隱에게서의 道學思想의 文學的 闡發/이동환. - 李穡의 風俗詩 硏究/박성규. - 敎述 談論의 시적 변용 원리/이진오. - 고려시대 辭賦의 성격/임종욱. - 陶隱 李崇仁의 詩文學/송재소. - 耘谷의 詩世界/변종현. - 生六臣 趙旅 관련 <虎背渡江傳說>의 傳承樣相과 그 意味/이신성.
ISBN
8976268423
청구기호
811.0903 이44ㅇ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