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4811namka2201621 k 4500 | ||
001 | 0000563324▲ | ||
005 | 20180520225234▲ | ||
007 | ta▲ | ||
008 | 030331s2002 ulk 000a kor▲ | ||
040 | ▼a221016▼c221016▼d221016▲ | ||
082 | 0 | ▼a811.16081▼221▲ | |
090 | ▼a811.16081▼b고68ㄱ▲ | ||
100 | 1 | ▼a고은,▼g高銀,▼d1933-▼0281916▲ | |
245 | 1 | 0 | ▼a고은전집/▼d고은 지음▼n1 - 38.▲ |
260 | ▼a서울:▼b김영사,▼c2002.▲ | ||
300 | ▼a38책;▼c26cm.▲ | ||
505 | 0 | ▼av.1, 머리책, 314p,. - v.2, 피안감성/나르바나/해변의 운문집/제주가집/사형/短詩集1/문의마을에 가서, 651p,. - v.3, 입산/새벽길/조국의 별/田園詩篇/그믐밤, 675p,. - v.4, 가야 할 사람/ 須彌山/그날의 대행진/ 네 눈동자/나의 저녁/백두산 서정시편/아침이슬/눈물을 위하여, 656p,. - v.5, 젊은 그들/거리의 노래/뭐냐 什마/해금강/내일의 노래/아직 가지 않은 길, 665p,. - v.6, 독도/어느 기념비/차령이 노래/머나먼 길, 626p,. - v.7, 속삭임/히말라야 시편/남과 북/순간의 꽃/두고 온 시, 675p,. - v.8, 백두산1/백두산2/백두산3(상), 667p,. - v.9,백두산3(하)/백두산4/백두산5(상), 649p,. - v.10, 백두산5(하)/백두산6/백두산7, 650p,. - v.11, 만인보1/만인보2/만인보3/만인보4, 659p,. - v.12, 만인보5/만인보6//만인보7(상), 626p,. - v.13, 만인보7(하)/만인보8/만인보9, 619p,. - v.14, 만인보10/만인보11/만인보12/만인보13(상), 675p,. - v.15, 만인보13(하)/만인보14/만인보15/만인보 별편, 667p,. - v.16,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한 시대가 가고 있다/세속의 길, 704p,. - v.17, 1950년대/사랑을 위하여, 720p,. - v.18, 환멸을 위하여/진실을 위하여/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617p,. - v.19, 세노야 세노야/이름 지을 수 없는 것들/고난의 꽃/길에는 먼저 간 사람의 자취가 있다, 643p,. - v.20, 地上의 너와 나/바람의 마루턱/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577p,. - v.21, 절망과 희망의 시대/고은 통신/방황.그리고 질주, 632p,. - v.22, 얼마나 나는 들에서 들로 헤메었던가/광야에서의 사색/살아 있는 광장에 서서, 680p,. - v.23, 황토의 아들/폐허의 영혼, 555p,. - v.24, 떠돌이 별/입산과 하산, 563p,. - v.25, 나의 청동시대1/나의 청동시대2, 634p,. - v.26, 소설 화엄경/다시 파도소리, 616p,. - v.27, 내가 만든 사막/소설 禪, 691p,. - v.28, 김삿갓, 641p,. - v.29, 수미산, 712p,. - v.30, 정선 아리랑/그들의 벌판.三月頃의 구름/九月病, 609p,. - v.31, 日蝕/밤 주막/존재놀이, 579p,. - v.32, 떠도는 사람/어떤 소년/산산이 부서진 이름, 632p,. - v.33, 나의 산하 나의 방랑/신왕오천축국전/산하여 나의 산하여/히말라야기행, 698p,. - v.34, 문학과 민족/시와 현실, 681p,. - v.35, 황혼과 전위/역사는 꿈꾼다, 584p,. - v.36, 李仲燮 評傳/李箱 評傳, 602p,. - v.37, 한용운 평전/내가 가는 금강경, 563p,. - v.38, 제주도/한국의 지식인, 528p,.▲ | |
740 | ▼a내일의 노래▲ | ||
740 | ▼a아직 가지 않은 길▲ | ||
740 | ▼a독도▲ | ||
740 | ▼a어느 기념비▲ | ||
740 | ▼a차령이 노래▲ | ||
740 | ▼a머나먼 길▲ | ||
740 | ▼a속삭임▲ | ||
740 | ▼a히말라야 시편▲ | ||
740 | ▼a남과 북▲ | ||
740 | ▼a순간의 꽃▲ | ||
740 | ▼a두고 온 시▲ | ||
740 | ▼a백두산1▲ | ||
740 | ▼a백두산2▲ | ||
740 | ▼a백두산3(상)▲ | ||
740 | ▼a백두산3(하)▲ | ||
740 | ▼a백두산4▲ | ||
740 | ▼a백두산5(상)▲ | ||
740 | ▼a백두산5(하)▲ | ||
740 | ▼a백두산6▲ | ||
740 | ▼a백두산7▲ | ||
740 | ▼a만인보1▲ | ||
740 | ▼a만인보2▲ | ||
740 | ▼a만인보3▲ | ||
740 | ▼a만인보4▲ | ||
740 | ▼a만인보5▲ | ||
740 | ▼a만인보6▲ | ||
740 | ▼a만인보7(상)▲ | ||
740 | ▼a만인보7(하)▲ | ||
740 | ▼a만인보8▲ | ||
740 | ▼a만인보9▲ | ||
740 | ▼a만인보10▲ | ||
740 | ▼a만인보11▲ | ||
740 | ▼a만인보12▲ | ||
740 | ▼a만인보13(상)▲ | ||
740 | ▼a만인보13(하)▲ | ||
740 | ▼a만인보14▲ | ||
740 | ▼a이름 지을 수 없는 것들▲ | ||
740 | ▼a만인보15▲ | ||
740 | ▼a만인보 별편▲ | ||
740 | ▼a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 ||
740 | ▼a한 시대가 가고 있다▲ | ||
740 | ▼a세속의 길▲ | ||
740 | ▼a1950년대▲ | ||
740 | ▼a사랑을 위하여▲ | ||
740 | ▼a환멸을 위하여▲ | ||
740 | ▼a진실을 위하여▲ | ||
740 | ▼a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 ||
740 | ▼a고난의 꽃▲ | ||
740 | ▼a세노야 세노야 h▲ | ||
740 | ▼a길에는 먼저 간 사람의 자취가 있다▲ | ||
740 | ▼a地上의 너와 나▲ | ||
740 | ▼a바람의 마루턱▲ | ||
740 | ▼a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 ||
740 | ▼a절망과 희망의 시대▲ | ||
740 | ▼a고은 통신▲ | ||
740 | ▼a방황,그리고 질주▲ | ||
740 | ▼a얼마나 나는 들에서 들로 헤메었던가▲ | ||
740 | ▼a광야에서의 사색▲ | ||
740 | ▼a살아 있는 광장에 서서▲ | ||
740 | ▼a황토의 아들▲ | ||
740 | ▼a폐허의 영혼▲ | ||
740 | ▼a떠돌이 별▲ | ||
740 | ▼a입산과 하산▲ | ||
740 | ▼a나의 청동시대1▲ | ||
740 | ▼a나의 청동시대2▲ | ||
740 | ▼a소설 화엄경▲ | ||
740 | ▼a다시 파도소리▲ | ||
740 | ▼a내가 만든 사막▲ | ||
740 | ▼a소설 禪▲ | ||
740 | ▼a김삿갓▲ | ||
740 | ▼a수미산▲ | ||
740 | ▼a정선 아리랑▲ | ||
740 | ▼a그들의 벌판.三月頃의 구름▲ | ||
740 | ▼a九月病▲ | ||
740 | ▼a日蝕▲ | ||
740 | ▼a밤 주막▲ | ||
740 | ▼a존재놀이▲ | ||
740 | ▼a떠도는 사람▲ | ||
740 | ▼a어떤 소년▲ | ||
740 | ▼a산산이 부서진 이름▲ | ||
740 | ▼a나의 산하 나의 방랑▲ | ||
740 | ▼a신왕오천축국전▲ | ||
740 | ▼a산하여 나의 산하여▲ | ||
740 | ▼a머리책▲ | ||
740 | ▼a히말라야기행▲ | ||
740 | ▼a문학과 민족▲ | ||
740 | ▼a시와 현실▲ | ||
740 | ▼a황혼과 전위▲ | ||
740 | ▼a역사는 꿈군다▲ | ||
740 | ▼a李仲燮 評傳▲ | ||
740 | ▼a李箱 評傳▲ | ||
740 | ▼a한용운 평전▲ | ||
740 | ▼a내가 가는 금강경▲ | ||
740 | ▼a제주도▲ | ||
740 | ▼a피안감성▲ | ||
740 | ▼a한국의 지식인▲ | ||
740 | ▼a나르바나▲ | ||
740 | ▼a해변의 운문집▲ | ||
740 | ▼a제주가집▲ | ||
740 | ▼a사형▲ | ||
740 | ▼a短詩集1▲ | ||
740 | ▼a文義마을에 가서▲ | ||
740 | ▼a입산▲ | ||
740 | ▼a새벽길▲ | ||
740 | ▼a조국의 별▲ | ||
740 | ▼a田園詩篇▲ | ||
740 | ▼a그믐밤▲ | ||
740 | ▼a須彌山▲ | ||
740 | ▼a가야 할 사람▲ | ||
740 | ▼a그날의 대행진▲ | ||
740 | ▼a네 눈동자▲ | ||
740 | ▼a나의 저녁▲ | ||
740 | ▼a백두산 서정시편▲ | ||
740 | ▼a아침이슬▲ | ||
740 | ▼a눈물을 위하여▲ | ||
740 | ▼a젊은 그들▲ | ||
740 | ▼a거리의 노래▲ | ||
740 | ▼a뭐냐 什마▲ | ||
740 | ▼a해금강▲ | ||
950 | 0 | ▼b₩1900000▼c(전 38권가)▲ | |
999 | ▼a박현우▼b박현우▲ |

고은전집 1 - 38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고은전집 / 고은 지음 1 - 38.
부출서명
내일의 노래
아직 가지 않은 길
독도
어느 기념비
차령이 노래
머나먼 길
속삭임
히말라야 시편
남과 북
순간의 꽃
두고 온 시
백두산1
백두산2
백두산3(상)
백두산3(하)
백두산4
백두산5(상)
백두산5(하)
백두산6
백두산7
만인보1
만인보2
만인보3
만인보4
만인보5
만인보6
만인보7(상)
만인보7(하)
만인보8
만인보9
만인보10
만인보11
만인보12
만인보13(상)
만인보13(하)
만인보14
이름 지을 수 없는 것들
만인보15
만인보 별편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한 시대가 가고 있다
세속의 길
1950년대
사랑을 위하여
환멸을 위하여
진실을 위하여
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고난의 꽃
세노야 세노야 h
길에는 먼저 간 사람의 자취가 있다
地上의 너와 나
바람의 마루턱
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절망과 희망의 시대
고은 통신
방황,그리고 질주
얼마나 나는 들에서 들로 헤메었던가
광야에서의 사색
살아 있는 광장에 서서
황토의 아들
폐허의 영혼
떠돌이 별
입산과 하산
나의 청동시대1
나의 청동시대2
소설 화엄경
다시 파도소리
내가 만든 사막
소설 禪
김삿갓
수미산
정선 아리랑
그들의 벌판.三月頃의 구름
九月病
日蝕
밤 주막
존재놀이
떠도는 사람
어떤 소년
산산이 부서진 이름
나의 산하 나의 방랑
신왕오천축국전
산하여 나의 산하여
머리책
히말라야기행
문학과 민족
시와 현실
황혼과 전위
역사는 꿈군다
李仲燮 評傳
李箱 評傳
한용운 평전
내가 가는 금강경
제주도
피안감성
한국의 지식인
나르바나
해변의 운문집
제주가집
사형
短詩集1
文義마을에 가서
입산
새벽길
조국의 별
田園詩篇
그믐밤
須彌山
가야 할 사람
그날의 대행진
네 눈동자
나의 저녁
백두산 서정시편
아침이슬
눈물을 위하여
젊은 그들
거리의 노래
뭐냐 什마
해금강
아직 가지 않은 길
독도
어느 기념비
차령이 노래
머나먼 길
속삭임
히말라야 시편
남과 북
순간의 꽃
두고 온 시
백두산1
백두산2
백두산3(상)
백두산3(하)
백두산4
백두산5(상)
백두산5(하)
백두산6
백두산7
만인보1
만인보2
만인보3
만인보4
만인보5
만인보6
만인보7(상)
만인보7(하)
만인보8
만인보9
만인보10
만인보11
만인보12
만인보13(상)
만인보13(하)
만인보14
이름 지을 수 없는 것들
만인보15
만인보 별편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한 시대가 가고 있다
세속의 길
1950년대
사랑을 위하여
환멸을 위하여
진실을 위하여
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고난의 꽃
세노야 세노야 h
길에는 먼저 간 사람의 자취가 있다
地上의 너와 나
바람의 마루턱
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절망과 희망의 시대
고은 통신
방황,그리고 질주
얼마나 나는 들에서 들로 헤메었던가
광야에서의 사색
살아 있는 광장에 서서
황토의 아들
폐허의 영혼
떠돌이 별
입산과 하산
나의 청동시대1
나의 청동시대2
소설 화엄경
다시 파도소리
내가 만든 사막
소설 禪
김삿갓
수미산
정선 아리랑
그들의 벌판.三月頃의 구름
九月病
日蝕
밤 주막
존재놀이
떠도는 사람
어떤 소년
산산이 부서진 이름
나의 산하 나의 방랑
신왕오천축국전
산하여 나의 산하여
머리책
히말라야기행
문학과 민족
시와 현실
황혼과 전위
역사는 꿈군다
李仲燮 評傳
李箱 評傳
한용운 평전
내가 가는 금강경
제주도
피안감성
한국의 지식인
나르바나
해변의 운문집
제주가집
사형
短詩集1
文義마을에 가서
입산
새벽길
조국의 별
田園詩篇
그믐밤
須彌山
가야 할 사람
그날의 대행진
네 눈동자
나의 저녁
백두산 서정시편
아침이슬
눈물을 위하여
젊은 그들
거리의 노래
뭐냐 什마
해금강
개인저자
고은 , 高銀 , 1933-
발행사항
서울 : 김영사 , 2002.
형태사항
38책 ; 26cm.
내용주기
v.1, 머리책, 314p,. - v.2, 피안감성/나르바나/해변의 운문집/제주가집/사형/短詩集1/문의마을에 가서, 651p,. - v.3, 입산/새벽길/조국의 별/田園詩篇/그믐밤, 675p,. - v.4, 가야 할 사람/ 須彌山/그날의 대행진/ 네 눈동자/나의 저녁/백두산 서정시편/아침이슬/눈물을 위하여, 656p,. - v.5, 젊은 그들/거리의 노래/뭐냐 什마/해금강/내일의 노래/아직 가지 않은 길, 665p,. - v.6, 독도/어느 기념비/차령이 노래/머나먼 길, 626p,. - v.7, 속삭임/히말라야 시편/남과 북/순간의 꽃/두고 온 시, 675p,. - v.8, 백두산1/백두산2/백두산3(상), 667p,. - v.9,백두산3(하)/백두산4/백두산5(상), 649p,. - v.10, 백두산5(하)/백두산6/백두산7, 650p,. - v.11, 만인보1/만인보2/만인보3/만인보4, 659p,. - v.12, 만인보5/만인보6//만인보7(상), 626p,. - v.13, 만인보7(하)/만인보8/만인보9, 619p,. - v.14, 만인보10/만인보11/만인보12/만인보13(상), 675p,. - v.15, 만인보13(하)/만인보14/만인보15/만인보 별편, 667p,. - v.16,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한 시대가 가고 있다/세속의 길, 704p,. - v.17, 1950년대/사랑을 위하여, 720p,. - v.18, 환멸을 위하여/진실을 위하여/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617p,. - v.19, 세노야 세노야/이름 지을 수 없는 것들/고난의 꽃/길에는 먼저 간 사람의 자취가 있다, 643p,. - v.20, 地上의 너와 나/바람의 마루턱/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577p,. - v.21, 절망과 희망의 시대/고은 통신/방황.그리고 질주, 632p,. - v.22, 얼마나 나는 들에서 들로 헤메었던가/광야에서의 사색/살아 있는 광장에 서서, 680p,. - v.23, 황토의 아들/폐허의 영혼, 555p,. - v.24, 떠돌이 별/입산과 하산, 563p,. - v.25, 나의 청동시대1/나의 청동시대2, 634p,. - v.26, 소설 화엄경/다시 파도소리, 616p,. - v.27, 내가 만든 사막/소설 禪, 691p,. - v.28, 김삿갓, 641p,. - v.29, 수미산, 712p,. - v.30, 정선 아리랑/그들의 벌판.三月頃의 구름/九月病, 609p,. - v.31, 日蝕/밤 주막/존재놀이, 579p,. - v.32, 떠도는 사람/어떤 소년/산산이 부서진 이름, 632p,. - v.33, 나의 산하 나의 방랑/신왕오천축국전/산하여 나의 산하여/히말라야기행, 698p,. - v.34, 문학과 민족/시와 현실, 681p,. - v.35, 황혼과 전위/역사는 꿈꾼다, 584p,. - v.36, 李仲燮 評傳/李箱 評傳, 602p,. - v.37, 한용운 평전/내가 가는 금강경, 563p,. - v.38, 제주도/한국의 지식인, 528p,.
청구기호
811.16081 고68ㄱ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