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356namka2200517 k 4500 | ||
001 | 0000516622▲ | ||
005 | 20180520144013▲ | ||
007 | ta▲ | ||
008 | 020905s2000 ulk 000a kor ▲ | ||
020 | ▼a 8930307787 ▼g 0381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0903 ▼2 21▲ | |
090 | ▼a 811.0903 ▼b 고73ㅈ▲ | ||
245 | 0 | 0 | ▼a 고전산문교육의 이론/▼d 이상익...[등저]▲ |
260 | ▼a 서울:▼b 집문당,▼c 2000 ▼g 2002.▲ | ||
300 | ▼a 594 p.;▼c 23 cm.▲ | ||
505 | 0 | ▼a 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정병헌. - 글쓰기 교육의 文化的 尺度/김종철. - 정도전을 통해 본 文學敎育 不可論/김성룡. - 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배수찬. -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황혜진. - 서사전략의 측면에서 본 홍순언 일하의 변이양상/김석회. - 춘향전의 'PNU'양상과 교육/박삼서. - <春香傳> 교육의 한 方法/이지호. - <심청가>의 구조적 특성과 심청의 효성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정운채. - 매천야록의 서술 방법 연구/노진한. -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조세형. - 민속지로 본 삼국유사/박진태. - 향가의 배경기사를 보는 시각/신재홍. - 임제 서사문학 연구/정상균. - <구운몽>후기 이본의 변모양상/서인석. - 李遇駿의 小說觀 考察/이문규. - 高麗史樂志 高麗俗樂條에 작용하는 批評 意識/박기호. - 백문보와 李達衷의 '和氣'/최귀묵. - 實學派 문인들의 실학적 미의식/정충권. - 한중문학의 교류양상. - 동방문화의 재흥과 中·韓·日 문학의 相關性/정규복. - 동아시아아 전기소설의 淵源과 傳播/이학주. - 일본문학과 전등신화, 금오신화/황소연. - 금오진화(한), 전등신화(중)와 비교를 통해서 본 베트남의 傳奇漫錄/전혜경. - 금오신화 조선간본의 발굴과 판본에 관한 고찰/최용철. - 전등신화구해 주석에 대한 고찰(I)/상기숙.▲ | |
700 | 1 | ▼a 이상익▲ | |
700 | 1 | ▼a 정병헌/▼t 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 | |
700 | 1 | ▼a 김종철/▼t 글쓰기 교육의 문화적 척도▲ | |
700 | 1 | ▼a 김성룡/▼t 정도전을 통해 본 문학교육 불가론▲ | |
700 | 1 | ▼a 배수찬/▼t 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 | |
700 | 1 | ▼a 황혜진/▼t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 | |
700 | 1 | ▼a 김석회/▼t 서사전략의 측면에서 본 홍순언 일화의 변이양상▲ | |
700 | 1 | ▼a 박삼서/▼t 춘향전의 'PNU'양상과 교육▲ | |
700 | 1 | ▼a 이지호/▼t <춘향전>교육의 한 방법▲ | |
700 | 1 | ▼a 정운채/▼t <심청가>의 구조적 특성과 심청의 효성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 | |
700 | 1 | ▼a 노진한/▼t 매천야록의 서술방법 연구▲ | |
700 | 1 | ▼a 조세형/▼t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 | |
700 | 1 | ▼a 박진태/▼t 민속지로 본 삼국유사▲ | |
700 | 1 | ▼a 신재홍/▼t 향가의 배경기사를 보는 시각▲ | |
700 | 1 | ▼a 정상균/▼t 임제 서사문학 연구▲ | |
700 | 1 | ▼a 서인석/▼t <구운몬> 후기 이본의 변모 양상▲ | |
700 | 1 | ▼a 이문규/▼t 이우준의 소설관 고찰▲ | |
700 | 1 | ▼a 박기호/▼t 고려사악지 고려속악조에 작용하는 비평 의식▲ | |
700 | 1 | ▼a 최귀묵/▼t 백문보와 이달충의 화기▲ | |
700 | 1 | ▼a 정충권/▼t 실학파 문인들의 실학적 미의식▲ | |
700 | 1 | ▼a 이상익/▼t 한중문학의 교류양상▲ | |
700 | 1 | ▼a 정규복/▼t 동방문화의 재흥과 중·한·일 문학의 상관성▲ | |
700 | 1 | ▼a 이학주/▼t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연원과 전파▲ | |
700 | 1 | ▼a 황소연/▼t 일본문학과 전등신화, 금오신화▲ | |
700 | 1 | ▼a 전혜경/▼t 금오신화(한), 전등신화(중)와 비교를 통해서 본 베트남의 전기만록▲ | |
700 | 1 | ▼a 최용철/▼t 금오신화 조선간본의 발굴과 판본에 관한 고찰▲ | |
700 | 1 | ▼a 상기숙/▼t 전등신화구해 주석에 대한 고찰(I)▲ | |
950 | 0 | ▼b ₩20000▲ | |
999 | ▼a 도양희 ▼b 정영주▲ |

고전산문교육의 이론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고전산문교육의 이론 / 이상익...[등저]
개인저자
이상익
정병헌 / 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
김종철 / 글쓰기 교육의 문화적 척도
김성룡 / 정도전을 통해 본 문학교육 불가론
배수찬 / 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
황혜진 /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
김석회 / 서사전략의 측면에서 본 홍순언 일화의 변이양상
박삼서 / 춘향전의 'PNU'양상과 교육
이지호 / <춘향전>교육의 한 방법
정운채 / <심청가>의 구조적 특성과 심청의 효성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
노진한 / 매천야록의 서술방법 연구
조세형 /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
박진태 / 민속지로 본 삼국유사
신재홍 / 향가의 배경기사를 보는 시각
정상균 / 임제 서사문학 연구
서인석 / <구운몬> 후기 이본의 변모 양상
이문규 / 이우준의 소설관 고찰
박기호 / 고려사악지 고려속악조에 작용하는 비평 의식
최귀묵 / 백문보와 이달충의 화기
정충권 / 실학파 문인들의 실학적 미의식
이상익 / 한중문학의 교류양상
정규복 / 동방문화의 재흥과 중·한·일 문학의 상관성
이학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연원과 전파
황소연 / 일본문학과 전등신화, 금오신화
전혜경 / 금오신화(한), 전등신화(중)와 비교를 통해서 본 베트남의 전기만록
최용철 / 금오신화 조선간본의 발굴과 판본에 관한 고찰
상기숙 / 전등신화구해 주석에 대한 고찰(I)
정병헌 / 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
김종철 / 글쓰기 교육의 문화적 척도
김성룡 / 정도전을 통해 본 문학교육 불가론
배수찬 / 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
황혜진 /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
김석회 / 서사전략의 측면에서 본 홍순언 일화의 변이양상
박삼서 / 춘향전의 'PNU'양상과 교육
이지호 / <춘향전>교육의 한 방법
정운채 / <심청가>의 구조적 특성과 심청의 효성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
노진한 / 매천야록의 서술방법 연구
조세형 /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
박진태 / 민속지로 본 삼국유사
신재홍 / 향가의 배경기사를 보는 시각
정상균 / 임제 서사문학 연구
서인석 / <구운몬> 후기 이본의 변모 양상
이문규 / 이우준의 소설관 고찰
박기호 / 고려사악지 고려속악조에 작용하는 비평 의식
최귀묵 / 백문보와 이달충의 화기
정충권 / 실학파 문인들의 실학적 미의식
이상익 / 한중문학의 교류양상
정규복 / 동방문화의 재흥과 중·한·일 문학의 상관성
이학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연원과 전파
황소연 / 일본문학과 전등신화, 금오신화
전혜경 / 금오신화(한), 전등신화(중)와 비교를 통해서 본 베트남의 전기만록
최용철 / 금오신화 조선간본의 발굴과 판본에 관한 고찰
상기숙 / 전등신화구해 주석에 대한 고찰(I)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2000
형태사항
594 p. ; 23 cm.
내용주기
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정병헌. - 글쓰기 교육의 文化的 尺度/김종철. - 정도전을 통해 본 文學敎育 不可論/김성룡. - 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배수찬. -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황혜진. - 서사전략의 측면에서 본 홍순언 일하의 변이양상/김석회. - 춘향전의 'PNU'양상과 교육/박삼서. - <春香傳> 교육의 한 方法/이지호. - <심청가>의 구조적 특성과 심청의 효성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정운채. - 매천야록의 서술 방법 연구/노진한. -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조세형. - 민속지로 본 삼국유사/박진태. - 향가의 배경기사를 보는 시각/신재홍. - 임제 서사문학 연구/정상균. - <구운몽>후기 이본의 변모양상/서인석. - 李遇駿의 小說觀 考察/이문규. - 高麗史樂志 高麗俗樂條에 작용하는 批評 意識/박기호. - 백문보와 李達衷의 '和氣'/최귀묵. - 實學派 문인들의 실학적 미의식/정충권. - 한중문학의 교류양상. - 동방문화의 재흥과 中·韓·日 문학의 相關性/정규복. - 동아시아아 전기소설의 淵源과 傳播/이학주. - 일본문학과 전등신화, 금오신화/황소연. - 금오진화(한), 전등신화(중)와 비교를 통해서 본 베트남의 傳奇漫錄/전혜경. - 금오신화 조선간본의 발굴과 판본에 관한 고찰/최용철. - 전등신화구해 주석에 대한 고찰(I)/상기숙.
ISBN
8930307787
청구기호
811.0903 고73ㅈ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