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157camka2200385 k 4500 | ||
001 | 0000473815▲ | ||
005 | 20180519090351▲ | ||
007 | ta▲ | ||
008 | 020426s2002 ulk 000a kor▲ | ||
020 | ▼a8987787427▼g03900 :▼c₩25000▲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901▼221▲ | |
090 | ▼a901▼b포58ㅍ▲ | ||
245 | 0 | 0 | ▼a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xPost-modernism and history /▼d김기봉 [외]저▲ |
260 | ▼a서울 :▼b푸른역사,▼c2002▲ | ||
300 | ▼a556 p. ;▼c23 cm▲ | ||
500 | ▼a공저자: 김기봉,임상우,육영수,조지형,강성호,조한욱,이영석,최호근,김수영,서의식,김호,이영효,양호환,김택현,곽차섭▲ | ||
505 | 0 | ▼a포스트모던시대에서 역사란 무엇인가/김기봉. - 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임상우. -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와 역사학-쟁점과 전망/육영수. -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호학적 역사학-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조지형. - 포스트모더니즘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강성호. - 비코와 포스트모던 역사학/조한욱. - 역사학을 위한 변론,그 이후/이영석. - 포스트모더니즘과 독일 역사학/최호근. - 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 역사학/김수영. -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서의식. - 우리에게 포스트모던 역사학이란 무엇인가/김호. -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이영효. - 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양호환. - 서발턴 연구:근대성과 식민성을 넘어서/김택현. - 포스트 모던 역사이론:'무기의 비판'인가 '비판의 무기'인가/김기봉. -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을 위하여:대화와 제언/곽차섭.▲ | |
700 | 1 | ▼a임상우.▼t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 | |
700 | 1 | ▼a육영수.▼t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와 역사학-쟁점과 전망▲ | |
700 | 1 | ▼a조지형.▼t포스트모던 시대의 기호학적 역사학-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 |
700 | 1 | ▼a강성호.▼t포스트모더니즘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
700 | 1 | ▼a조한욱.▼t비코와 포스트모던 역사학▲ | |
700 | 1 | ▼a이영석.▼t'역사학을 위한 변론',그 이후▲ | |
700 | 1 | ▼a최호근.▼t포스트모더니즘과 독일 역사학▲ | |
700 | 1 | ▼a김수영.▼t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 역사학▲ | |
700 | 1 | ▼a서의식.▼t포스트모던 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 | |
700 | 1 | ▼a김호.▼t우리에게 포스트모던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 |
700 | 1 | ▼a이영효.▼t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 | |
700 | 1 | ▼a양호환.▼t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 교과서▲ | |
700 | 1 | ▼a김택현.▼t서발턴 연구:근대성과 식민성을 넘어서▲ | |
700 | 1 | ▼a곽차섭.▼t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을 위하여:대화와 제언▲ | |
700 | 1 | ▼a김기봉,▼g金基鳳,▼d1959-▼0164299▲ | |
700 | 1 | ▼a김기봉,▼g金基鳳,▼d1959-▼0164299▲ | |
999 | ▼a도양희▼b도양희▼c임정희▲ |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Post-modernism and history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 Post-modernism and history / 김기봉 [외]저
개인저자
임상우. 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
육영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와 역사학-쟁점과 전망
조지형.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호학적 역사학-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강성호. 포스트모더니즘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조한욱. 비코와 포스트모던 역사학
이영석. '역사학을 위한 변론',그 이후
최호근. 포스트모더니즘과 독일 역사학
김수영. 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 역사학
서의식.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
김호. 우리에게 포스트모던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이영효.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
양호환. 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 교과서
김택현. 서발턴 연구:근대성과 식민성을 넘어서
곽차섭.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을 위하여:대화와 제언
김기봉 , 金基鳳 , 1959-
김기봉 , 金基鳳 , 1959-
육영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와 역사학-쟁점과 전망
조지형.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호학적 역사학-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강성호. 포스트모더니즘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조한욱. 비코와 포스트모던 역사학
이영석. '역사학을 위한 변론',그 이후
최호근. 포스트모더니즘과 독일 역사학
김수영. 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 역사학
서의식.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
김호. 우리에게 포스트모던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이영효.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
양호환. 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 교과서
김택현. 서발턴 연구:근대성과 식민성을 넘어서
곽차섭.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을 위하여:대화와 제언
김기봉 , 金基鳳 , 1959-
김기봉 , 金基鳳 , 1959-
발행사항
서울 : 푸른역사 , 2002
형태사항
556 p. ; 23 cm
일반주기
공저자: 김기봉,임상우,육영수,조지형,강성호,조한욱,이영석,최호근,김수영,서의식,김호,이영효,양호환,김택현,곽차섭
내용주기
포스트모던시대에서 역사란 무엇인가/김기봉. - 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임상우. -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와 역사학-쟁점과 전망/육영수. -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호학적 역사학-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조지형. - 포스트모더니즘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강성호. - 비코와 포스트모던 역사학/조한욱. - 역사학을 위한 변론,그 이후/이영석. - 포스트모더니즘과 독일 역사학/최호근. - 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 역사학/김수영. -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서의식. - 우리에게 포스트모던 역사학이란 무엇인가/김호. -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이영효. - 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그리고 역사교과서/양호환. - 서발턴 연구:근대성과 식민성을 넘어서/김택현. - 포스트 모던 역사이론:'무기의 비판'인가 '비판의 무기'인가/김기봉. -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을 위하여:대화와 제언/곽차섭.
ISBN
8987787427
청구기호
901 포58ㅍ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