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4075namka2201261 k 4500 | ||
001 | 0000419738▲ | ||
005 | 20180520235244▲ | ||
007 | ta▲ | ||
008 | 000222s1999 ulka 000a kor ▲ | ||
040 | ▼a 221016▼c 221016▲ | ||
082 | 0 | ▼a 809▼2 21▲ | |
090 | ▼a 809 ▼b 김94ㄱ▲ | ||
100 | 1 | ▼a 김현▲ | |
245 | 1 | 0 | ▼a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d 김현 저.▲ |
260 | ▼a 서울:▼b 문학과지성사,▼c 1999.▲ | ||
300 | ▼a v, 493 p.:▼b 삽도;▼c 23 cm.▲ | ||
440 | 0 | 0 | ▼a 김현 문학전집;▼v 13▲ |
505 | 0 | ▼a 인간과 종교와 문화. -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 가우디. - 피카소. - 고야. - 브뤼겔. - 고흐. - 드가. - 앙리 루소. - 자코메티. - 로댕. - 만화도 예술인가. -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 촉각이 도해한 정경. - 묘지 순례. - 이솝의 신 포도. - 동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 문장 수업. - 사과 다섯 알. - 시 외우기. - 즐거운 고통.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말로의 죽음. - 작가. - 여유 있는 생존. - 한글 논의에 대하여. - 문화인의 통일. -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 환상과 현실. - 문화의 코미디. - 끝나지 않은 싸움. - 공해소설의 문제. - 작가와 작품의 상. - 도시인의 상상력. - 상업주의를 막는 둑. - 고은의 전설. -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 루오의 광대:황동규. - 박상륭이란 놈. - 내부의 간극:오승재. - 아픔 그리고 아픔:오규원. - 대립과 지양:김형영. - 말의 몽상가:강호무. - 못다 핀 문학적 재질:백승룡. -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 젊은 세대의 문학. - 『제 7 병동』과 자유. - 월평에 대해 말한다. -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 시는 과연 죽었는가. -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 대중 문화 속의 문학. - 만화는 문학이다. -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박수동. -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 중세 지성과 권력. -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 기대와 죽음. - 마르그리트 뒤라스. - 르 클레지오. -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몇 개의 시 읽기. - 바리에테. - 무엇을 위한 예륜이냐. - 토속성과 세계성. -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 제 2 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 어문 정책에 대하여. -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 연애 연습사. -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 불빛이 말하는 이유. -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 새로운 한국의 여상. -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 단장들.▲ | |
740 | ▼a 월평에 대해 말한다▲ | ||
740 | ▼a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 ||
740 | ▼a 시는 과연 죽었는가▲ | ||
740 | ▼a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 ||
740 | ▼a 대중 문화 속의 문학▲ | ||
740 | ▼a 만화는 문학이다▲ | ||
740 | ▼a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 ||
740 | ▼a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박수동▲ | ||
740 | ▼a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 ||
740 | ▼a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 ||
740 | ▼a 중세 지성과 권력▲ | ||
740 | ▼a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 ||
740 | ▼a 기대와 죽음▲ | ||
740 | ▼a 마르그리트 뒤라스▲ | ||
740 | ▼a 르 클레지오▲ | ||
740 | ▼a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
740 | ▼a 몇 개의 시 읽기▲ | ||
740 | ▼a 바리에테▲ | ||
740 | ▼a 무엇을 위한 예륜이냐▲ | ||
740 | ▼a 토속성과 세계성▲ | ||
740 | ▼a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 ||
740 | ▼a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 ||
740 | ▼a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 ||
740 | ▼a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 ||
740 | ▼a 어문 정책에 대하여▲ | ||
740 | ▼a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 ||
740 | ▼a 연애 연습사▲ | ||
740 | ▼a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 ||
740 | ▼a 불빛이 말하는 이유▲ | ||
740 | ▼a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 ||
740 | ▼a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 ||
740 | ▼a 새로운 한국의 여상▲ | ||
740 | ▼a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 ||
740 | ▼a 단장들▲ | ||
740 | ▼a 인간과 종교와 문화▲ | ||
740 | ▼a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 ||
740 | ▼a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 ||
740 | ▼a 가우디▲ | ||
740 | ▼a 피카소▲ | ||
740 | ▼a 고야▲ | ||
740 | ▼a 브뤼겔▲ | ||
740 | ▼a 고흐▲ | ||
740 | ▼a 드가▲ | ||
740 | ▼a 앙리 루소▲ | ||
740 | ▼a 자코메티▲ | ||
740 | ▼a 로댕▲ | ||
740 | ▼a 만화도 예술인가▲ | ||
740 | ▼a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 ||
740 | ▼a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 ||
740 | ▼a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 ||
740 | ▼a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 ||
740 | ▼a 촉각이 도해한 정경▲ | ||
740 | ▼a 묘지 순례▲ | ||
740 | ▼a 이솝의 신 포도▲ | ||
740 | ▼a 동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 ||
740 | ▼a 문장 수업▲ | ||
740 | ▼a 사과 다섯 알▲ | ||
740 | ▼a 시 외우기▲ | ||
740 | ▼a 즐거운 고통▲ | ||
740 | ▼a 헤르만 헤세▲ | ||
740 | ▼a 앙드레 말로의 죽음▲ | ||
740 | ▼a 작가▲ | ||
740 | ▼a 여유 있는 생존▲ | ||
740 | ▼a 한글 논의에 대하여▲ | ||
740 | ▼a 문화인과 통일▲ | ||
740 | ▼a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 ||
740 | ▼a 환상과 현실▲ | ||
740 | ▼a 문화의 코미디▲ | ||
740 | ▼a 끝나지 않은 싸움▲ | ||
740 | ▼a 공해소설의 문제▲ | ||
740 | ▼a 작가와 작품과 상▲ | ||
740 | ▼a 도시인의 상상력▲ | ||
740 | ▼a 상업주의를 막는 둑▲ | ||
740 | ▼a 고은의 전설▲ | ||
740 | ▼a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 ||
740 | ▼a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 ||
740 | ▼a 루오의 광대:황동규▲ | ||
740 | ▼a 박상륭이란 놈▲ | ||
740 | ▼a 내부의 간극:오승재▲ | ||
740 | ▼a 아픔 그리고 아픔:오규원▲ | ||
740 | ▼a 대립과 지양:김형영▲ | ||
740 | ▼a 말의 몽상가:강호무▲ | ||
740 | ▼a 못다 핀 문학적 재질:백승룡▲ | ||
740 | ▼a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 ||
740 | ▼a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 ||
740 | ▼a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 ||
740 | ▼a 젊은 세대의 문학▲ | ||
740 | ▼a 『제 7 병동』과 자유▲ | ||
950 | 0 | ▼b ₩18000▲ | |
999 | ▼b 김명숙▲ |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 / 김현 저.
부출서명
월평에 대해 말한다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시는 과연 죽었는가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대중 문화 속의 문학
만화는 문학이다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박수동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중세 지성과 권력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기대와 죽음
마르그리트 뒤라스
르 클레지오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몇 개의 시 읽기
바리에테
무엇을 위한 예륜이냐
토속성과 세계성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어문 정책에 대하여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연애 연습사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불빛이 말하는 이유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새로운 한국의 여상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단장들
인간과 종교와 문화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가우디
피카소
고야
브뤼겔
고흐
드가
앙리 루소
자코메티
로댕
만화도 예술인가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촉각이 도해한 정경
묘지 순례
이솝의 신 포도
동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문장 수업
사과 다섯 알
시 외우기
즐거운 고통
헤르만 헤세
앙드레 말로의 죽음
작가
여유 있는 생존
한글 논의에 대하여
문화인과 통일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환상과 현실
문화의 코미디
끝나지 않은 싸움
공해소설의 문제
작가와 작품과 상
도시인의 상상력
상업주의를 막는 둑
고은의 전설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루오의 광대:황동규
박상륭이란 놈
내부의 간극:오승재
아픔 그리고 아픔:오규원
대립과 지양:김형영
말의 몽상가:강호무
못다 핀 문학적 재질:백승룡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젊은 세대의 문학
『제 7 병동』과 자유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시는 과연 죽었는가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대중 문화 속의 문학
만화는 문학이다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박수동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중세 지성과 권력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기대와 죽음
마르그리트 뒤라스
르 클레지오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몇 개의 시 읽기
바리에테
무엇을 위한 예륜이냐
토속성과 세계성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어문 정책에 대하여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연애 연습사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불빛이 말하는 이유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새로운 한국의 여상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단장들
인간과 종교와 문화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가우디
피카소
고야
브뤼겔
고흐
드가
앙리 루소
자코메티
로댕
만화도 예술인가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촉각이 도해한 정경
묘지 순례
이솝의 신 포도
동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문장 수업
사과 다섯 알
시 외우기
즐거운 고통
헤르만 헤세
앙드레 말로의 죽음
작가
여유 있는 생존
한글 논의에 대하여
문화인과 통일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환상과 현실
문화의 코미디
끝나지 않은 싸움
공해소설의 문제
작가와 작품과 상
도시인의 상상력
상업주의를 막는 둑
고은의 전설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루오의 광대:황동규
박상륭이란 놈
내부의 간극:오승재
아픔 그리고 아픔:오규원
대립과 지양:김형영
말의 몽상가:강호무
못다 핀 문학적 재질:백승룡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젊은 세대의 문학
『제 7 병동』과 자유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 1999.
형태사항
v, 493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김현 문학전집 ; 13
내용주기
인간과 종교와 문화. -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 가우디. - 피카소. - 고야. - 브뤼겔. - 고흐. - 드가. - 앙리 루소. - 자코메티. - 로댕. - 만화도 예술인가. -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 촉각이 도해한 정경. - 묘지 순례. - 이솝의 신 포도. - 동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 문장 수업. - 사과 다섯 알. - 시 외우기. - 즐거운 고통.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말로의 죽음. - 작가. - 여유 있는 생존. - 한글 논의에 대하여. - 문화인의 통일. -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 환상과 현실. - 문화의 코미디. - 끝나지 않은 싸움. - 공해소설의 문제. - 작가와 작품의 상. - 도시인의 상상력. - 상업주의를 막는 둑. - 고은의 전설. -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 루오의 광대:황동규. - 박상륭이란 놈. - 내부의 간극:오승재. - 아픔 그리고 아픔:오규원. - 대립과 지양:김형영. - 말의 몽상가:강호무. - 못다 핀 문학적 재질:백승룡. -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 젊은 세대의 문학. - 『제 7 병동』과 자유. - 월평에 대해 말한다. -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 시는 과연 죽었는가. -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 대중 문화 속의 문학. - 만화는 문학이다. -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박수동. -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 중세 지성과 권력. -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 기대와 죽음. - 마르그리트 뒤라스. - 르 클레지오. -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몇 개의 시 읽기. - 바리에테. - 무엇을 위한 예륜이냐. - 토속성과 세계성. -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하여. - 젊은 지성의 축전을 끝내고. - 제 2 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 어문 정책에 대하여. -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 연애 연습사. -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 불빛이 말하는 이유. -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 새로운 한국의 여상. -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 단장들.
청구기호
809 김94ㄱ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