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백화점 판매직원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 The impact of a supervisor’s coaching leadership on the emotional labor of department store sales employe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코칭리더십
감정노동
일의 의미
감성지능
백화점 판매직원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 판매직원들의 감정노동에 코칭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백화점 판매직원의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의 의미는 코칭리더십과 감정노동 간에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감성지능은 일의 의미와 감정노동 간에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백화점에 재직 중인 판매직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92부의 유효 응답을 기초로 SPSS 23.0 및 AMOS 23.0을 활용 분석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첫째, 상사의 코치리더십은 백화점 판매직원들의 감정노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감정노동 사이에 일의 의미는 완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의 의미와 감정노동 간의 영향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코칭리더십과 감정노동 간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판매직원들의 감정노동을 조절하고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의 role-play를 지속적으로 훈련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감정노동자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건강의 보호가 필요하다. 둘째, 백화점 현장에서 직접 코칭해 주는 필드 트레이너의 추가 양성이 필요하며, 기존 리더들에게 전문적인 코칭 훈련과 지속인 수련을 통해 코칭리더십의 수준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셋째, 코칭리더십을 통해 직원 스스로 온전하다는 믿음과 신뢰로 구성원들의 내면의 탁월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직원들이 일의 의미 인식 수준을 점진적으로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감성지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계점 및 시사점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emotional labor of department store sales employee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work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First, does coaching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labor of department store salespeople? Second, does meaning of work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Third, does emotional intelligence play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meaning of work and emotional labor?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alespeople working in a domestic department store. Based on the 392 valid responses collecte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First, we found that supervisors' coaching leadership had no direct effect on department store salespeople's emotional labor. Second, meaningfulness of work was found to be a ful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coaching 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work and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train salespeople to role-play various cases that can regulate and alleviate emotional labor, and to protec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health of emotional work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field trainers who provide direct coaching at department store sites, an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coaching leadership through professional coaching training and continuous training for existing leaders. Third,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raise the level of employee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by allowing them to exert their inner excellence with faith and trust in their own wholeness through coaching leadership.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alistic training programs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