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활사업참여자의 일에 대한 태도가 고용 희망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지지 매개효과 분석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elf-sufficient Labor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Work on Emloyment Hope :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s Suppor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고용희망
일에 대한 태도
전문가 지지
자활사업 전문가 실천기술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자활센터가 실시하고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일에 대한 태도가 고용희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의 전문가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춘천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18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전문가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고용희망 수준은 평균 3.62점(5점 만점)보통 수준, 일에 대한 태도는 평균 4.04점(5점 만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 전문가지지는 평균 3.67점(5점 만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고용희망 수준에 학력, 정신적 건강상태, 지역자활센터에 바라는 자립·자활서비스 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일에 대한 태도가 고용희망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지지가 일에 대한 태도와 고용희망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에 대한 태도가 고용희망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보다는 전문가 지지를 통해 고용희망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자활사업에서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을 포함한 경제적 자활 성과를 위해서는 자활현장 전문가의 지지가 매우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활참여자들이 ‘일을 통해 빈곤을 탈출 할 수 있다는 희망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자활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자활사업에서 전문가의 개입기술 개발과 자활전문가를 위한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s that the local self-sufficient labor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work has on employment hope, an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upport in the process.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182 participants in the Chucheon Self-sufficiency Center. Its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upport were analyzed by the Sobel test.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Firstly, the employment hope level is relatively normal, 3.62 (five-point scale), the attitude-toward-work level is a little higher with an average of 4.04 (five-point scale), and the professional support level is a little higher with an average of 3.67 points (five-point scale). Secondly, academic background,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desire for self-sufficiency influence the levels of employment hope of the self-sufficient labor participant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Thirdly, the self-sufficiency labor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work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evel of employment hope. Finally, profession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work and employment hope partially. In other words, the attitude toward work affects the employment hope in a mediating way through professional support rather than in a direct way. The study shows that professional support in the self-sufficiency labor field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both economic and emotional self-sufficiency. Therefore, to achieve self-sufficiency,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systematic self-sufficiency programs increasing the ‘hope and possibility that participants can escape poverty through work'. Secondly, it is needed to develop expert intervention skills and provide education for self-sufficiency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