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
A study on Non-everydayness Characteristics in Jaime Hayon` s Space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Feb 28, 2017 12(1):115
Subject
Jaime Hayon
Everydayness
Non-everydayness
Appropriation
Interior space
하이메 아욘
일상
비일상
전용
실내 공간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인들은 현대의 산업화된 환경 속에서 안정과 풍요를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동시에 권태로움을 느껴 비일상을 찾으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일상과 비일상의 조화를 통해 삶의 긍정적 가치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현대의 비일상적 공간에 대한 연구와 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성`에 의거하여 비일상을 정의하고 전용(Appropriation)의 원리를 통해 스토리텔링, 추상표현, 탈상징에 의한 비일상 공간의 유형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또한 다른 디자이너들의 아홉 가지 실내 공간 사례를 선정해 그 유형을 분석한 후 혼성성, 연속성, 은유성, 탈경계성, 비선형성, 유기성, 탈기능성, 이질성, 유희성의 아홉 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키워드를 하이메 아욘의 다섯 가지 실내 및 전시 공간에 대입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은 스토리텔링에 의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가 부여한 이야기와 테마는 공간 전체에 걸쳐 서사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야기에 상응한 오브제와 색채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테마를 유추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추상표현에 의한 비일상은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드는 탈경계성과 비선형성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유기성의 표현이었다. 탈상징에 의한 비일상에서는 형태적 측면에서의 이질성이 탈기능에 의한 것보다 더 크게 드러났으며, 이질성의 자극에서 오는 시각적 유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메 아욘의 비일상적 공간이 스토리텔링 요소의 시각적 표현들을 가장 크게 드러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야기와 테마에서 비롯된 시간과 재료적 혼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상 표현은 공간의 구성요소가 아닌 장식요소에 주로 드러났으며, 탈상징의 특성 중 기능의 부분 역시 장식요소에 편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연속적으로 배치된 비일상적 오브제를 통해 기존의 공간이 갖고 있는 통념에서 벗어나는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일상적 공간의 경험과 시도들을 통해 일상지각의 확장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계획되어질 현대 실내 공간에 비일상적 특성을 적용시켜 일상적 공간에서의 일탈과 잠재성을 경험하고, 새로운 감성과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길 바란다. 또한, 이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현대의 일상적 공간에 비일상에 함의된 정신적 가치를 더함으로써 비약적 진화를 가져오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People live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that compels them to pursue stability and prosperity. The simultaneous weariness that comes from it pushes people to escape their everyday routines. When “everydayness” and “non-everydayness” create harmony, optimism in life will be amplifi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the everyday and non-everyday characteristics of Jaime Hayon`s interior design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studies and projects related to modern non-everyday interior. (Methods)A novel category of space based on storytelling, abstract portrayal, and non-everydayness was drawn based on Henri Lefebvre`s `non-everydayness` and theory of appropriation. The category and characteristics of non-everyday space were applied to present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ategory of nine selected modern interior cases, nine key words were drawn: blendedness, continuity, metaphor, transcendence, non-linearity, organic, non-functionality, heterogeneity, and playfulness. Results were drawn by applying the non-everydayness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to Hayon`s space designs. (Results)The non-everydayness in Hayon`s work was best shown through his storytelling. The story and theme bestowed to space design is descriptively displayed throughout his work, with the active use of objects and colors that help viewers detect the theme. In addition, the abstract portrayal of non-everydayness is often shown through the transcendence of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and non-linearity. The least shown is the portrayal of the organic. Non-everydayness from escaping symbols presents significantly more heterogeneity than that from escaping function. The visual pleasure that comes from such stimuli seemed to be high. (Conclusion)This study revealed that Hayon`s non-everyday space showed visual portrayals of storytelling elements most highly. Time and materials stemming from the story and theme stood out in a highly blended manner. Abstract portrayal was mostly shown in the decorative elements rather than the space elements as were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non-symbolic characteristics; these tendencies were found to move cognition away from the common existing notion of space through the consecutive arrangement of everyday o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veryday experiences can be expanded through such non-everyday space experiences and experiments, and can help create future environments where the novel sensation and value of non-everydayness in modern interior can be experienced and shared. I hope to see rapid progress in this fiel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by adding the spiritual value that is embedded within non-everydayness into the modern everyday living spac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