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The Classification of Quality of Lif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Multicultural Youth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다문화와 평화 / Multiculture & Peace. Apr 30, 2022 16(1):174
Subject
다문화 청년
삶의 만족도
직무만족
잠재프로파일분석
Multiculcural Youth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Latent Profile Analysis
Language
Korean
ISSN
2092-576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이 삶의 만족과 직무만족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를 살펴보고, 각 잠재계층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출생국가, 성별, 지역, 나이, 학력, 개인소득, 가계소득, 사회경제적 지위), 관계 및 문화적 특성(부모와의 관계, 가족건강성, 다문화수용성)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총 251명의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총 4개의 잠재계층(집단 1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 집단 2 낮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 집단 3 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 4 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간에 정서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4(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서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정서적 어려움이 낮았으며, 다음으로 집단 1(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 2(낮은 삶의 만족)와 집단 3(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의 경우 정서적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any potential class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to examine whether each potential class can be significantly classifi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nd cultural factors. For this study, data from a total of 251 multicultural youth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four potential classe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distress were the highest in group 4 (high quality of life), followed by group 1 (medium quality oflife-low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low quality of life group) and the third group (low quality of life-high job satisfaction group), psychological distress was high.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