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에 수록된 동요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악보가 있는 동요를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Aspect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문학치료연구 / Journal of Literary Therapy. Jan 30, 2024 70:273
Subject
동요
『어린이』
양상
교육적 의미
대응형
연결형
인성
창의성
Children’s song
『Eorini』
Aspect
Educational meaning
Correspondence type
Connection type
Personality
Creativity
Language
Korean
ISSN
1738-3854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어린이』에 수록된 악보가 있는 동요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에 수록된 동요의 양상이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대응(對應)과 연결(連結)로 구성된다. 구성의 양상에는 ‘상황-반응’ 대응형, ‘추상-구체’ 대응형, 연결형 등이 있다. ‘상황-반응’ 대응형의 작품에서는 상황이 제시되고 시적화자의 감정이 표출된다. 자신과 관련된 감정에서 시적화자는 가족에게 받은 사랑과 희망, 가족과 함께 한 즐거운 경험을 회상하여 긍정적 감정이 표출되고, 자신의 현 상황에서 자신을 되돌아보기도 한다. 대상과 관련된 감정에서는 시적화자가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거나, 활유화된 사물이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한다. ‘추상-구체’ 대응형 작품에서는 추상에 있는 매개어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된다. 연결형 작품에서는 시간(공간)의 진행, 행위의 진행, 사건의 진행으로 연결된다. 연결되는 과정에 활유화된 사물과 인물의 심리가 드러난다. 둘째, 『어린이』에 수록된 동요의 교육적 의미이다. ‘상황-반응’ 대응형 작품에서 시적화자는 가족과의 경험을 회상하여 긍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자신을 되돌아본다. 학습 독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서 긍정적 감정의 흥기를 통해 정서가 순화되는 효과가 있고, 자기 성찰의 태도가 길러지는 효과가 있다. ‘상황-반응’ 대응형 작품에서 시적화자가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고, 활유화된 사물이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연결형 작품에서 시적화자는 활유화된 사물의 심리나 인물의 심리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시적화자는 대상의 입장이 되어보기도 하고, 활유화된 사물이나 인물의 입장이 되어보기도 한다. 학습 독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서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경험을 하게 되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는 시적화자의 자기 성찰이 있고, 긍정적 감정의 흥기를 통한 정서 순화가 있고, 타인에 대한 존중의 태도가 있어 학습 독자들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추상-구체’ 대응형 작품에서는 추상에 있는 매개어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된다. 학습 독자들은 추상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되는 과정을 읽으면서 확산적 사고를 향상할 수 있다. 연결형에서 학습 독자들은 생성된 다양한 내용들이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정을 읽으면서 수렴적 사고를 향상할 수 있다. 그 규칙인 ‘시간(공간), 행위, 사건’ 등이 현행 교육과정과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학년별 학습활동과 유사한 것을 보아 단계별 교육이 가능하고, 국어 교과서와 연계된 교육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는 학습 독자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The result is as follow. The aspect of children's song in 『Eorini』 are as follow : The composition principle is correspondence and connection.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situation correspond the poetic speaker's emotion. The poetic speaker express the emotion about oneself and object.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abstraction correspond the concreteness. In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the parts are connected by chronological (spatial) order or by behavioral order or by the order of events.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are as follow : The learned reader's personality is enhanced by reading the Children's song in 『Eorini』.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poetic speaker express positive emotion and reflect on the oneself and sympathize with the object. The learned reader's creativity is enhanced by reading the children's song in 『Eorini』.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abstraction correspond the concreteness. The learned reader's divergent thinking is enhanced by reading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In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the parts are connected by regular principle and the parts become a work. The learned reader's convergent thinking is enhanced by reading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