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gital Storytelling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on High School English Abil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Digital Storytelling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Digital Storytelling 활동을 매개로 한 영어 수업이 고등학생의 영어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순천시 소재의 S고등학교, 방과 후 선택형 보충수업을 지원한 2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5월 8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 주에 2차시씩 8주 동안 16차시로, 능률교육에서 출판된 ENGLISHⅠ교과서의 Lesson 4. Change for the Better와 Lesson 5. My School Life를 가지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전, 사전 기초 조사로써 영어 교과 및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주관 2017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영역의 등급 분석과 사전 영어 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2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4명에게는 Digital Storytelling을 활용한 수업을, 통제집단 24명에게는 학교에서 이뤄지는 일반적인 문법위주의 독해 수업을 진행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는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을 실시하였다. 16차시의 실험 수업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능력 평가 결과 비교와 실험집단을 상대로 실시한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과 사후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Digital Storytelling 기법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능력과 흥미, 자신감, 참여도, 태도로 구성된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영어 능력 평가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가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일련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일반적 독해 지도 방식의 수업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Digital Storytelling을 이용한 학습방법이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를 통해, 영어에 대한 흥미, 영어에 대한 자신감, 영어 수업에 대한 참여도 및 태도 등 모든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의적 측면의 변화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로는 수업시간에 소재로 선택한 텍스트가 학생들이 소설이나 영화를 통해 사전에 접해 볼 기회가 있음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교양지식인 인종차별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을 다루었고, 평소 교내 영어수업에 이뤄지는 활동인 Spelling Bee 시합에 대한 사전 경험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활동에 임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 활동이 지필평가를 목적으로 이뤄지는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 자신의 경험을 내제화한 이야기를 만들기 위한 활동이라는 점을 사전에 분명히 하여 학생들의 심리적인 거부감을 줄일 수 있었다. 더불어, 학습자들이 컴퓨터와 핸드폰을 비롯한 디지털 매체와 각 종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야기를 디지털화 하는데 별 무리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을 활용한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과 정의적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자연스러운 맥락 속에서 학습자들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통해서 동료들과 결과물을 만들어가고, 이 과정에서 영어에 대한 인지적 영역이 발달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영어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Digital Storytelling을 활용한 수업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교과서에 실리거나 개발되어야 하며, 아직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의 활용과 과정에 익숙하지 않은 일선 교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들이 보완된다면 입시를 목표로 획일화된 문법위주의 문제풀이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고등학교 영어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개인의 내재적인 경험을 적극 활용하고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협력하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Digital Storytell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효과적인 영어 수업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