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와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사동 · 피동문 이해 및 표현 비교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인공와우 아동
Language
Korean
Abstract
Cochlear implanted children show similar trends with normal children in language development step and development speed through early cochlear implantation and language rehabilitation while they show relatively retarded feature in sentence structure.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notice the behavior relation between objects, enable to lead to refined story, and are an important indicator in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we inten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s and expressions of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subjecting o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nd to find out which intervention strategy is desirable to be provided to them by analyzing error forms.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 32: 16 cochlear implanted children who are lower grade students (1st to 3rd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integrated to special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and general school and are located to Seoul and Gyeonggi-do; 16 normal children who are in same ages with cochlear implanted children.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are constructed by each five questions according to derivative, syntactic, and lexical methods which are for form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Understanding task has total 40 questions which are respective 20 for causative sentence and the other 20 for passive sentence including distractor questions as a multiple-choice type task. Expression task has total 30 questions which are respective 15 for causative sentence and the other 15 for passive sentence as a writing task.Study results according to the issues are as followings: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fference betwee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by forming method, in case of understanding causative sentence,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tactic & derivative causative construction but there was in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In case of expression of causative sentence,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orming method. It can be known that cochlear implanted children do not show a big difference with normal children in 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but their implementa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detailed forming method.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passive sente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search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passive sentence by the forming metho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passive sentence.Third, as a result of research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errors of express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chlear implanted children have higher error rate and frequency than normal children but error types are similar to each other. Also, it is indicated that both of groups showed the error pattern which answer as a basic form of verb the most. It is indicated from such result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of cochlear implanted children shows a similar development pattern with that of normal children but they are different with normal children in difference by the forming method and error frequency. Therefore, we recommend to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ochlear implanted children when educating and intervening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to them. In addition, the study to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causative & passive sentences as well as many studies to grammar morpheme and syntax subjecting o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in future.
인공와우 아동이 조기 인공와우 이식과 언어재활을 통하여 일반 아동과 언어 발달단계 및 발달속도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구문 영역에서 지체된 모습을 보인다. 사동문과 피동문은 각 대상자 간의 행위 관계를 알려주고, 세련된 이야기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발달의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인공와우 아동을 대상으로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오류 형태를 분석하여 인공와우 아동에게 어떠한 중재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청각장애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에 통합되어있는 초등부 저학년(1~3학년) 인공와우 아동 16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으로 총 32명이었다.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 과제는 사동문과 피동문의 형성방법인 파생적, 통사적, 어휘적 방법에 따라 각각 5문항씩 구성하였다. 이해 과제는 선다형 과제로 distractor 문항을 포함하여 사동문과 피동문 각각 20문항씩 총 40문항이며, 표현 과제는 쓰기 과제로 사동문과 피동문 각각 15문항씩 총 30문항이다. 연구 문제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동문 이해 및 표현 과제에서 인공와우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동문 이해 및 표현 과제에서 형성방법별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사동문 이해의 경우 파생적, 통사적 사동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어휘적 사동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동문 표현의 경우는 파생적, 통사적 사동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휘적 사동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사동문 이해 및 표현 과제에서 일반 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으나 세부적인 형성방법에 따라 다른 양상의 수행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피동문 이해 및 표현 과제에서 인공와우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피동문 이해 및 표현 과제에서 형성방법별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피동문 이해 과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표현 과제에서는 어휘적 피동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파생적, 통사적 피동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동문과 피동문 표현 오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인공와우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오류율 및 빈도는 높았으나 오류 유형은 비슷하였고, 두 집단 모두 동사의 기본형으로 대답하는 오류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 아동의 사동문과 피동문 이해 및 표현 능력이 일반 아동과 비슷한 발달 패턴을 보이지만, 사동문과 피동문 표현에서 보이는 오류의 빈도와 사동문과 피동문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서 일반 아동과 몇 가지 다른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공와우 아동에게 사동문 및 피동문에 대한 교육 및 중재 시 인공와우 아동이 보이는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인공와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법형태소 및 구문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와 함께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