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무용기 남성 무용가의 예술세계와 역할 연구 : 최현 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le dancers’ artistic world and role in Korean new dance period : Focusing on Choi Hyeon’s Da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new dance
male dancer
Choi hyeon
male dance
Korean dance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ole of male dancers’ artistic world and role in the Korean new dance period. New dance refers to the Joseon-style creative dance genre that prevailed from the 1930s to the 1970s. I examined Cho Taek-won as the first generation of male dancers in the new dance period and Jeong In-bang, Song Beom, Eun Bang-cho, Kim Jin-geol, and Hwang Moo-bong as the second generation and extracted their meanings. As a new dance dancer, Choi Hyeon's dance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as follows.First, the tendencies of Choi Hyeon's works can be summarized as romanticism, aestheticism, and recitative movements that connect mime and dance.Second, in the dance movements, it was possible to discover Choi Hyeon's original dance movements in which new dance methods were added to the traditional dance based on Deotboegi(dramatic dance with a mask) of Gyeongsang-do. Based on these traditions, forward-looking movements are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conventional dance principles and breathing methods.Third, the artistic value of Choi Hyeon's dance is significant in that it created the archetype of male Korean dance.Fourth, it is valuable that the overall artistic tendency of Choi Hyeon's dance established a new dance style in the later period.In the future, I hope that more diverse studies on male dancers will continue to reveal new characters in history of new dance.
본 연구는 한국 신무용기 남성 무용가들의 역할과 그들의 작품 성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신무용이란 1930년대부터 70년대까지 풍미하였던 조선풍의 창작무용 장르를 지칭한다. 신무용기 남성 무용가 1세대로 조택원을, 2세대로는 정인방, 송범, 은방초, 김진걸, 황무봉을 살펴보고 의미를 추출하였다. 이중 남성 신무용가로서 최현 춤에 대해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현의 작품 성향은 낭만주의, 유미주의, 그리고 마임과 춤을 연결하는 레치타티보식 움직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둘째, 춤사위에 있어서 경상도 덧뵈기를 골격으로 한 전통춤에 신무용 기법이 가미된 최현의 독창적인 춤사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통에 기반하면서도 전향적인 동작들은 전통적 춤사위 원리와 호흡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셋째, 최현 춤의 예술적 가치는 남성 한국무용의 전형을 창조하였다는 점에 중요성을 갖는다. 넷째, 최현 춤의 전반적인 예술적 성향이 후기 신무용 양식을 구축했다는 점에 가치를 둔다. 앞으로 신무용사에서 남성 무용가에 대한 다각적인 더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새로운 성격이 밝혀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