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pidemic of hypertension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using new BP reference value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8 / 고혈압 지침과 새로운 혈압 정상치에 의한 한국 소아청소년의 고혈압의 역학: 2007-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hypertension
prevalence
children
adolescents
guideline
Language
English
Abstract
서론: 고혈압은 소아의 중요한 질환 중 하나로 이의 진단은 심혈관계 합병증과 연관된 혈압 기준이 아니라 정상 혈압의 범위에 기준을 두고 있다. 따라서 고혈압의 유병률은 고혈압 지침서나 적용되는 정상 혈압 기준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여러 고혈압 지침서에 의한 고혈압 진단 기준과 최근 발표된 우리나라 소아 정상 혈압 기준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고혈압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통해 총 9,953명의 10~18세 소아청소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004년 미국 지침서, 2016년 유럽 지침서, 2017년 미국 지침서의 고혈압 기준과 지침서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상 혈압 기준을 토대로 고혈압을 진단하였고 또한 우리나라 소아 정상 혈압 기준을 적용하여 고혈압을 재진단한 후 각각을 비교하였다. 재분류된 고혈압 환자들과 정상아를 비교하고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고혈압 지침서마다 성인의 기준을 적용하는 나이가 달라 대상아들을 나이별로 분류하였고 각 연령대에서 고혈압으로 진단되는 대상아들에서 연관된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결과: 세 지침서에 의한 고혈압 유병률을 비교해 보면 고혈압 전단계는 2004년 미국 지침서에 의해 (13.1%), 고혈압은 2017년 미국 지침서에 의해 (10.6%) 분류할 경우 가장 높았고 유럽의 지침서에 의한 경우는 고혈압 전단계 (6.5%)와 고혈압 (3.9%) 유병률 모두 가장 낮았다. 2004년 미국 지침서나 2016년 유럽 지침서에 의한 고혈압 유병률은 원 지침서의 정상 혈압 기준을 적용할 때보다 우리나라 정상 혈압 기준을 적용할 경우 높게 분류되었다 (2004년 미국 지침서 4.9% -> 7.5%, 2016년 유럽 지침서 3.9% -> 5.6%). 고혈압과 연관성을 보이는 인자들은 고혈압 기준에 따라 달랐고 세 지침서 모두 동일한 수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보였다. 비만, 허리둘레-키 비율과 부계 고혈압 가족력은 모든 분류에서 고혈압과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연령 그룹별 심혈관계 위험인자 분석에서 13-15세 연령에서는 연관된 위험인자수의 차이가 없었고 16-18세 연령에서는 2004년 미국지침서와 2017년 미국 지침서에 의한 경우 연관된 심혈관계 위험인자 수가 더 많았다. 결론: 고혈압 유병률은 지침서와 정상혈압기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세 지침서 중 심혈관계 위험을 예측할 우월성을 보이는 지침서는 없었으나 16-18세 연령에서는 2004년 미국 지침서와 2017년 미국 지침서가 더 많은 심혈관계 위험 인자와 연관성을 보였다. 고혈압의 진단은 향후 치료 계획에 매우 중요하므로 적절한 진단 지침의 선택과 진단 지침의 지속성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Hypertension is an imperative health condition in children, and unlike in adults, its diagnosis is based on blood pressure range, not on blood pressure-associated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varies based on the guideline or blood pressure reference used.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American and European guidelines and the new Korean blood pressure reference o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9,953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0-18 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7-2018 were reviewed. We compare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using different guidelines and the new Korean blood pressure reference and analyzed associated risk factors. Additional stratification by age applying the adult guidelines was performed and related cardiovascular factor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Result: Elevated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were highest when The Fourth Report (13.1%) an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10.6%) were used,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by The Fourth Report and the European Guideline increased when applying the new Korean blood pressure reference (The Fourth Report 4.9% vs. 7.5%, The European Guideline 3.9% vs. 5.6%). There was no dominant guideline in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otential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were different among guideline. Overall, obesity, paternal hypertension,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the 16-18 age group, hypertension by The Fourth Report an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volved higher number of associat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and blood pressure reference. There was no dominant guideline predicting future cardiovascular risk, even though The Fourth Report an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howed more associated factors in 16-18 age group. Since the diagnosis of hypertension is imperative for treatment planning such as lifestyle modification and medical treatment, the choice of proper guideline and its consistency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