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브람스의 비판적 음악 페다고지에 기반한 ‘독립 운동 가요’ 감상 및 비평 지도 방안 / A Study on the Methods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brahams' Critical Pedagogy in 'Independence Movement Song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음악교육
비판적 페다고지
크리티컬 페다고지
독립 운동 가요
음악 감상과 비평
Language
Korean
Abstract
비평에 관한 교육이 예술 교과에서 대두됨에 따라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을 확대하여 제시하였다. 음악 비 평은 다양한 시대의 작품을 감상하고, 학습한 음악적 경험과 개념을 바 탕으로 다양한 음악적 가치에 대해 평가하는 유의미한 음악 활동이다. 특히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은 다양한 시대의 악곡들을 감상하도록 음악 활동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 운동 가요의 감상과 비평 학습 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독립 운동 가요는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고 중학 교 음악 교과서 제재곡 한 곡에 그치고 있다. 독립 운동 가요를 활용한 음악 교육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독립 운동 가요의 감상 및 비평 지도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대의 음악을 향유하고 감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 감상과 비평 학습을 위하여 아브람스의 비판적 음악 교수 학습 모 형을 기반으로 하는 독립 운동의 감상과 비평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비판적 페다고지와 프레이리, 아브람스의 비판적 음악 철학의 이해, 음악 감상 및 비평의 이해, 2022 음악과 개정 교육과정 ‘음악 감상과 비평’의 고찰을 이론적 배경으로 탐구하여 독립 운동 가 요 수업에 기틀을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독립 운동 가요를 분석하여 음 악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으로 제재곡을 선정하고 아브람스의 비판적 음 악 페다고지 모형을 결합하여 음악 감상과 비평 수업 지도 단계를 구성 하였다. 이에 따라 역사적 접근과 음악적 접근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 가요의 세 부 내용을 제시하였고 아브람스의 비판적 페다고지 교수 모형을 적용하 여 수업 단계와 실제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쩨, 독립 운동 가요의 음악적 가치에서는 행진곡 풍의 악곡, 군가 형식 리듬 패턴의 특징 등 악곡 특징과 관련된 정서 표현을 할 수 있는 학습 요소를 살펴보도록 하 였다. 둘째, 역사적 접근에서는 애국 계몽 운동, 을사늑약 체결 등과 관 련된 악곡을 제시하여 역사적 상황과 악곡과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였 다. 셋쩨, 8단계로 이루어진 아브람스의 모형을 현행 한국 교육과정에 맞게 3단계로 재구성하였다. 수업 도입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으로 편성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학습자 자신의 경험과 학습 내용을 연결하는 토론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정리 단계는 비평문 발표와 상호 평가와 자기 평가를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율 적으로 평가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가 독립 운동 가요를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 고 음악 비평에 관한 음악 교과의 특색을 활용한 교육 연구가 계속 이루 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