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s of Havruta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of Adolesc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개발을 통한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 설계는 사전·후검사 통계 집단설계(pre-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D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D학원의 중학생 2·3학년과 고등학생 1학년 41명이 참여하였다. 이들 중 한 반은 실험집단 21명과 다른 한 반은 통제집단 21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하브루타코칭을 적용하기 전에 두 집단에게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런 다음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9회기의 하브루타코칭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의사소통능력 질문지(이석재 외, 2003)의 42문항을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개발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t -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이원분산법(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실험이 끝난 다음 두 집단을 대상으로 종속변인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강의 설명식 수업보다 수업모형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강의 설명식 수업보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인 정보수집,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의 영역에서 향상의 효과가 있었으며 주도적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지만 미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하브루타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는 청소년들의 핵심역량을 강조하는 교육부 교육과정에 던지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그 동안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지 않았던 하브루타코칭에 있어 기여함이 있다 할 수 있다.주요어 : 의사소통능력, 하브루타, 코칭, 하브루타코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vruta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of adolescents. The study design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pre-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In this study, 4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of D institute in Seoul, participated. One half of them assigned 21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half 21 control groups. Before applying the HavrutaCoaching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two groups were pretested for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hen, the Havruta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9 months for 2 months.For the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all 42 items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questionnaire (Suk Jae Lee et al., 2003) were used as a 5-point Likert scale. First, what is the composition of HavrutaCoaching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of adolesc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Havruta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youth communication skills? to be.Two-way Anova for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fter the experiment, the two groups were post-tested for dependent variables.The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avrutaCoaching progra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lass model than the general lecture explanation class. Second, the Havruta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gathering, listening, stereotypes, overcoming of stereotyped thinking, creativ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 perspectives. There was no effect, but it appeared to have a slight effect.The effects of the HavrutaCoach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s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core competencies of adolescents.Key words : Communicative competence, Havruta, Coaching, HavrutaCo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