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과 후 영어 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 학생 만족도 분석 : 일반고, 자율고, 특목고 2학년 중심으로 / A Study on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Current Management of After English Progra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고등 방과 후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fter-school programs in high schools and analyze teacher-student satisfaction survey.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has made suggestions about activating after-school programs in high schools. The subjects were 420 students in regular high schools, autonomous high schools,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 Kyungnam and 31 English teachers from those schools, totalling 431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depending on school types. Regular high schools mostly taught reading classes or EBS textbooks and had more than 30 students who got involved in a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topping the total enrollment list among 3 types of high school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high schools was that teachers handle recruitment of an after-school teacher and organizing after-school classes and level-differentiated classes. On the other hand, what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was that students' opinions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selecting an after-school teacher. First, with regard to satisfaction of after-school programs including their curriculum, operating styles, learn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 schedules,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after-school English classes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high schools. In additio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topp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st, leaving autonomous high schools and regular high schools in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satisfaction were also found depending on the types of schools. Students in regular high schools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of after-school programs and students in autonomous high schools were satisfied the most with the degree of helpfulness in learning English. In contrast, student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viewed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facilities as the most satisfying factors. This measure included items such as class plans, learning facilities, class schedules,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ests, homework, class atmosphere, textbooks, curriculum, a teaching style, levels of classes, the degree of helpfulness in learning Englis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every item above while regular high schools and autonomous high schools had the simila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Third, most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ost popular suggestion for better after-school programs was to reduce teachers' work overload and offer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s the second best suggestion. Meanwhile,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 most popular suggestion was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the second most popular one was the improvement in students' learning attitude. As a result of compar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schools, top ranked suggestions from teachers of regular high schools were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suitable class size. Both teachers at autonomous high schools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ave the highest opinion of improvement in teachers' work overload. Students at regular high schools showed the highest opinion and preference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whereas students in autonomous high schools demanded improvement in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s requested improvement in teaching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t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for better education. Regular high school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areas such as teaching styles, class leve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class hours, level-differentiated classes, work overload,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Autonomous high schools will also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f they make up for problems including teachers' work overload, quality of textbooks, classrooms and learning facilities. Lastly, special-purpose high schools will also provide better education by improving teachers' work overload and reward. Hence, more specific measures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can be arranged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 자율고, 특목고에 재학 중인 2학년 420명과 각 학교의 영어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총 431부의 질문지를 통계처리 하여 학교 유형별 방과 후 영어수업의 운영 실태와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개선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학교 유형별 방과 후 영어 수업에 대한 운영 실태에서 일반고는 주로 독해를 가르치는 것, EBS교재 사용과 반별 30명 이상의 인원이 높았다. 자율고에서는 편성시수, 선생님들의 지원으로 지도 교사를 선정한다는 기준과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것에 응답이 높았으며, 특목고에서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도 교사를 선정하는 것에 응답이 높았다. 학교 유형별 방과 후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의 결과를 보면, 방과 후 영어수업의 계획 및 운영방식, 교실 환경 및 시설, 학생 수, 편성시수 등과 같은 전반적인 운영 실태에 대해 특목고 교사의 만족도가 자율고나 일반 공립고 교사의 만족도 보다 높았다. 또한 방과 후 영어 수업 참여 만족도도 역시 특목고 교사가 가장 높고 자율고, 일반고 교사 순이었다. 둘째, 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방과 후 영어수업의 운영 실태 만족도는 일반고에서는 교사의 수업 내용, 자율고에서는 영어 공부에 도움 정도, 특목고에서는 교실환경 및 시설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방과 후 영어수업의 운영 실태 만족도를 학교 유형별로 비교해 보면, 계획 및 운영, 시설, 수업횟수, 수강 인원수, test 횟수, 과제, 수업 분위기, 교재, 수업내용, 수업방식, 수업의 수준, 영어 학습 도움 정도의 모든 항목에서 특목고 학생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교 유형별 학생의 방과 후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도 특목고가 가장 높았고, 일반고와 자율고는 비슷한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방과 후 영어 수업의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이 응답한 개선점에서 교사들은 방과 후 영어 수업으로 인한 업무 과중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수준별 수업 진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학생들은 수준별 수업 진행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수업 태도에 대한 개선이 다음으로 높았다. 학교 유형별로 개선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일반 고 교사들은 수준별 수업진행과 반별 학생 수 조절의 필요성을, 자율고와 특목고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에 대한 개선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경우, 일반고에서는 알맞은 수준별 수업 진행, 자율고는 학생들의 수업태도, 특목고에서는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일반고는 수업방식, 반 수준, 인원수, 편성시수, 수준별 수업, 업무과중과 학생들의 수업태도, 자율고는 교사업무 과중과 교재, 교실 환경 및 시설, 특목고는 업무과중과 보상에 대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더욱 질 높은 수업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화 된 학교들 간의 교육의 격차를 해소 할 수 있는 작은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