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급) 고등학교의 전환교육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 The Status of Trans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학교(급)의 고등학생에 대한 전환교육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여 전환교육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의 특수학교(급) 고등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교사 90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Version 26)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환교육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고, 문항과 배경변인에 따라 카이제곱 검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특수교사의 인식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특수교사의 변인별 인식 수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one-way ANONA를 실시하였고, 전환교육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항목을 살펴보기 위해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특수학교(급) 고등학교를 담당하는 특수교사는 전환교육을 계획할 때 주로 취업 및 고용을 목표로 하며, 자립생활이나 지역사회 참여 또한 목표로 실시하고 있었다. 전환평가는 주로 직업평가도구 등을 사용한 직업평가를 가장 많이 실시하며, 면접, 설문, 관찰 등의 비형식적 평가도 높은 수준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의 실시 형태는 직업 기술 수업 위주로 실시하며, 주로 교과 수업에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관련 기관과의 협력은 과반수가 협력하고 있으며, 주로 장애인 종합복지관 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실시하는 주된 내용은 취업을 위한 직업교육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관련 기관·시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관련 기관과 협력에서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환교육을 위하여 직업교사를 비롯한 담임교사, 상담교사 등 전문교사와 대부분 협력하며, 학부모 상담 또는 가정과도 대부분 연계하고 있었다. 학부모 상담 또는 가정과의 연계에서의 어려움은 학부모가 전환교육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급) 전환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중요도에 비해 실행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며, 전환계획, 전환사정, 가족 참여, 학생 참여, 교육과정 및 교수, 협력과 지역사회 서비스 등 6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도 중요도에 비해 실행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 수준의 인식 수준 차이를 바탕으로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항목은 전환계획, 학생 참여, 가족 참여 등의 3개 하위영역으로 나타났고,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영역은 전환사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30개의 세부항목 중 ‘고등학교 이후의 목표를 위하여 학생의 발달을 지속적으로 검토한다’, ‘전환계획 과정 동안 가족 구성원과 협력하여 학생을 지도한다’, ‘사회적·대인관계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고, 학생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의 항목이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