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중학생의 영어 고빈도 어휘 문법범주 구별 능력에 관한 연구 /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quisi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High-Frequency English Word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단어족(word-family)
고빈도 어휘(high-frequency words)
파생 형태소(derivational morphemes)
문법범주(grammatical categories)
접미사(suffixes)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단어족에 속하는 ‘표제어와 파생어’ 또는 ‘파생어와 파생어’로 구성된 고빈도 단어쌍을 보기로 제시하였을 때, 학생들이 주어진 문맥에 적절한 어휘를 보기에서 골라 활용하는 모습을 통하여 한국 중학생의 영어 고빈도 어휘 문법범주 구별 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는 세 단계로 이루어 졌다. 첫 단계는 COCA 빈도순위 1,000단어 이내의 고빈도 어휘 중에서 동일한 단어족에 속하는 표제어 및 그 파생어들을 선별하여 평가를 위한 고빈도 단어족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추출된 단어족 중심의 어휘 목록을 가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어휘 문법범주 구별 능력을 알아볼 평가지를 개발하는 것이며, 마지막 단계는 제작된 평가지를 가지고 G광역시 소재의 A중학교 3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영어 고빈도 어휘 문법범주 구별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지의 전체 평균 정답률은 72.32%였으며 유형별로는 V-N(75.73%) 〉 N-J(70.78%) 〉N-N(68.50%) 〉J-R(68.08%)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근소한 차이로 표제어를 파생어 보다 잘 알고 있었으며, 어휘쌍의 활용 경향을 통한 언어적 감각을 알아보는 분석에서는 원어민과 비교하여 60.00%의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평가 결과를 통해 추정한 한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파생 접미사의 일반적인 습득정도는 -er > -tion > -th > -ment이며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의 습득 정도는 -er > -ment > -ly > -al이다. 이 결과를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국의 중학생들은 접미사 -al을 그 중요도에 비해 늦게 습득하고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고빈도 영어 파생 문법 접미사의 활용에 미치는 빈도수의 영향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고빈도와 고빈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어휘쌍과 빈도수 차가 200점 후반~400점 초반의 적당한 거리감을 가지고 있는 어휘를 더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들의 영어 고빈도 어휘 문법범주 구별 능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다 각도로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단어 빈도수에 제한을 두었기 때문에 그 해석 또한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high-frequency English words, by means of having them choose the correct word form in a given context.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a word family list was collected with head words and their derived forms from the COCA within 1,000 most frequent words. Second, two evaluation sheets were developed to assess students’ knowledge. Lastly, they were administered to 5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one week interval.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identify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given words correctly at the rate of 72.32%. The rat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iring types of grammatical categories: V-N(75.73%) > N-J(70.78%) > N-N(68.50%) > J-R(68.08%). The students knew the base forms better than the derived forms. The students’ acquisition rates of the high-frequency English derivational suffixes descended in the order of -er(or) > -tion(-ion) > -th > -ment, and their production rates in the order of -er(or) > -ment > -ly > -al. Interestingly, it turned out tha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less prone to use the suffix –al in spite of its high frequency and productivity. Finally, regarding the effect of frequency on acquisition, the students tended to use more accurately the word pairs of which each member was highly frequent or when the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the two members was smal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quisition of the categorial variants of high-frequency English words with an overt derivational morphem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especially concerning the learner population and the target words’ frequency range, which implies that more elaborate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