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급이 설치된 고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in High School on Integrated Education with Special Clas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통합교육
통합학급
통합학급교사
일반학급교사
교사인식
Language
Korean
Abstract
통합교육의 지향점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같은 장소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수준 이상의 것으로 통합교육은 물리적 통합으로부터 사회적 통합과 교육과정 통합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통합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변인 중에서 교사변인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학급을 직접 교육하는 일선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들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통합교육 관점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의 필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셋째,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시간 및 인내심의 요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넷째, 통합교육의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창원시에 위치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고등학교 21개 학교 중 무작위로 선정한 3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1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통합학급지도 또는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76명,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가 73명이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구대상 교사들의 설문분석 결과 고교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와 일반학급 교사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 항목별로 다음 3가지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1) 통합학급 교육시 교사의 시간 및 인내심의 필요성에 대해 특수교육 연수경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2)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기대에 대한 인식에서 교직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3)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기대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기회가 더 많이 주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1) 전반적으로 대상교사들은 통합학급의 필요성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2) 반면, 장애학생을 통합하여 교육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므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3) 또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도움이나 특수교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더 낫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합학급 담임을 부담스러워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4) 대상교사들은 자신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낮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기회가 적기 때문에 일반학생 교수방법과 활동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을 보였다.5) 또한, 장애학생 지도의 부담감이 커서 일반학급 담임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 연수경험이 많으면 통합학급 담임에 대한 부담감을 적게 갖고 있어 연수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6) 정리하면,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이 많을수록 교사들이 학업적 행동적 변화의 효과를 높게 기대하고 있으므로, 교직경력이 많고 특수교육연수 경험이 적은 교사들에 대한 집중적인 연수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기회 제공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교직경력이 많으며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기회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