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렘 콜하스의 도시론과 정크스페이스 개념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Urbanism and the Concept of Junkspace of Rem Koolhaa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following dissertation will attempt to comprehend Rem koolhaas's idea of ‘Junkspace’ via Koolhaas's perspective of the city. Furthermore, the paper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idea of ‘Junkspace’, by utilizing Hal Foster's conception of ‘Running Room'.Initially, Koolhaas’s urbanism concentrated on the formality of Modernism, and inherits the vague positioning from Robert Venturi’s Learning from Las Vegas (1968). Koolhaas continues to apply this method towards Manhattan, and finally writes Delirious New York. His analogy of contemporary society to New York's elevators and skyscrapers, enables him to observe and conclude that heterogeneity and density is an important factor of today’s cities. Such concept is continuously developed to his following book, S,M,L,XL, which discovers size as an important factor. Koolhaas concentrates on the idea of ‘Bigness', a scale that disintegrates the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and city. In addition, he defines three ‘strong and persistent’ elements that paralyses cities: context, identity, and ideology. In his later writing, ⌜The Generic City⌟, Koolhaas completely denies the identity of a city, and emphasizes the ‘typical, generic, completely designated’ nature. After Koolhaas manifests the theory of Bigness and Generic City, he follows to study the act of shopping, which at first seems unrelated with a typical city. Capitalism assimilates every system under the terms of money, and every relation can be interpretated as trading. By observing shopping, Koolhaas concludes that within such circumstances of capitalism, all structures within a city inevitably changes into the form of shopping, and the city becomes a shopping mall.From here is where Koolhaas discovers the idea of ‘Junkspace’. Junkspace is the residue of Modernism, and a mutant from Bigness. Junkspace is composed as a perfectly smooth, interior space. Therefore, Junkspace can naturally become a capitalist space; all spaces being a shopping mall. Junkspace is absorbed as part of capital, and it requires to constantly change, and be changeable. Koolhaas refers to this phenomenon, that architecture is closer to tailoring, than to building one's house. This means Junkspace should have potential and changeability; the form and meaning of such space constantly changes. The only creativitiy possible within this space is repetition that can be named with the prefix re-, and characteristics of every elements such as color, form, or texture are deleted. The blandness created by such order is the only foundation of Junkspace, a space of no identity. Hal Foster spotlights Koolhaas's idea of Junkspace through the concept of ‘Running Room'. By viewing the conditional aspects of Koolhaas's Junkspace, he emphasizes the danger within controlled space. Furthermore, he points to design as the main protagonist of spreading Junkspace-like spaces, sacrificing architecture and art's freedom. Through such criticism, Hal Foster argues ‘Running Room’ as the space with possibility of subjective actions.
본 논문은 렘 콜하스(Rem Koolhaas)의 ‘정크스페이스(Junkspace)’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콜하스의 도시론을 살펴보고, 할 포스터(Hal Foster)의 ‘활동공간(Running Room)’이라는 개념을 통해, 예술과 디자인의 영역에서 정크스페이스의 개념을 확장시켜 사유할 수 있는지 탐구해 본다.콜하스는 도시 방법론에 있어 초기 모더니티의 형식에 관심을 가지고, 벤츄리(Venturi)의 『라스베가스의 교훈(Learning from Las Vegas)』로부터 판단유보의 태도를 배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맨해튼을 관찰하여 『정신착란증의 뉴욕(Delirious New York)』을 집필했다. 콜하스는 엘리베이터의 발명에 의해 생겨난 마천루의 문화가 현대도시의 특징이라고 보았으며, 이로 인해 생겨난 이질성과 밀집의 문화가 오늘날 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도래했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논의를 발전시켜 『스몰, 미디엄, 라지, 엑스라지(S,M,L,XL)』에서 현대 도시의 중요한 이슈로 크기의 문제로 발견한다. 여기서 그가 주목한 것은 바로 거대함의 논리로, ‘거대함’에서 건축과 도시 사이의 구분은 점점 더 모호해 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도시개념의 발전을 마비시키는 3가지 '강력하고 끈질긴' 신화로서 맥락성, 정체성, 이데올로기를 예로 들며, ⌜보편적 도시(The Generic City)⌟에서 도시의 정체성을 거부하고, 그와 반대되는 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이며 총칭적인' 측면을 강조한다.콜하스가 거대함의 이론과 보편적 도시에 대해 선언한 이후, 너무나 커져버린 고밀도의 도시들을 좀 더 다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건축이나 도시와는 무관해 보이는 쇼핑(Shopping)에 주목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것은 자본의 질서 속에 녹아내리며, 모든 것은 사고 파는 관계로 바뀌어 버린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의 모든 시설들은 사실상 쇼핑의 형식으로 바뀌어 가고, 도시는 점점 쇼핑몰(shopping mall)을 닮아가고 있다는 것이 콜하스가 간파한 도시의 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콜하스는 정크스페이스라는 개념을 발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정크스페이스란 근대화가 휩쓸고 간 흔적에 남은 부산물이며, 거대함이 낳은 돌연변이이다. 정크스페이스는 에어컨과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보다 매끄럽게 연결되고 완벽한 내부 환경으로 조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부구조가 관리하는 공간은 자연스럽게 자본의 영향을 받는 조건적인 공간으로 변질되고, 모든 공간은 쇼핑몰이 되어간다. 정크스페이스는 공간 자체가 유동자본의 일부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화하며 잠정적이고 대체 가능한 것으로 바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콜하스는 건축이 이제 집을 짓는 일보다는, 양복을 짓는 것과 더 관계있어 졌다고 말한다. 정크스페이스는 잠정적이고 대체 가능하며 수정 가능한 하부시스템이 전체 구조를 지배하기 때문에, 형태와 의미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변질된다. 여기에서는 접두사 re-와 같이 되새김질만이 새로운 창조성으로 여겨지며, 각각이 지닌 고유의 색깔과 형질들이 제거당한다. 이로써 생겨난 밋밋함이 바로 정크스페이스의 유일한 토대이며, 정체성 상실의 공간이 다. 할 포스터(Hal Foster)는 러닝룸(Running Room)이라는 글을 통해 정크스페이스 개념에 주목한다. 그는 콜하스가 언급했던 조건적인(conditional) 공간을 일종의 통제(control) 공간으로 보고, 정크스페이스의 통제공간이 지닌 위험성을 강조한다. 할 포스터는 정크스페이스적 공간의 확산에 결정적인 공조를 하고 있는 것이 바로 디자인이라고 지목하며, 디자인은 건축과 미술의 준-자율성을 기꺼이 희생시켰다고 본다. 주체와 자율성을 없애는 정크스페이스로부터의 탈출을 위해 할 포스터는 인간 주체적 실천이 가능한 비평적 영역인 ‘활동 공간’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