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in Lif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
자기자비
삶의 의미
조절된 매개효과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meaning in life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regulating this mediating effect.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anxiety,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in life? Second, does self-compassion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Third, does the meaning in life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compassion? Fourth, depending on the level of meaning in life, doe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ve a different effect on job-seeking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In order to check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81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measur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anxiety, self-compassion, and meaning in life. Among these, 371 copies of answer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sults, excluding data with random responses or missing values. For data analysis,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were used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significance.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 –seeking anxiety, self-compassion, and meaning in life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was verified.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compassion was verified. This result shows that meaning in life buffe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at reduces self-compassion.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in life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when meaning in life is high,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becomes smaller.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meaning in life, a moderating variable, as an integrated model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using self-compassion and meaning in life were presented to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ed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intolerance of uncertainty. Als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삶의 의미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 자기자비, 삶의 의미의 관계는 어떠한가이다. 둘째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이며, 셋째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이다. 넷째, 삶의 의미 수준에 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자기자비를 매개로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가이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절차를 거쳤다. 서울 및 경기도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 자기자비, 삶의 의미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무선 반응 또는 결측치가 포함된 자료를 제외한 총 371부의 자료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불안, 자기자비, 삶의 의미의 각 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삶의 의미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자기자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것은 삶의 의미가 높을 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자기자비를 매개로 취업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매개효과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조절변인인 삶의 의미의 영향력을 조절된 매개효과라는 하나의 통합적인 모형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취업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에게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를 활용한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