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 가능성 평가 / Feasibility study of the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for nurses who involved patient safety inci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제2의 피해자
환자안전사건
간호사
심리적 지지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간호사 378명을 대상으로 제2의 피해자 경험과 지원 요구를 조사하여 제2의 피해자 증상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을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10명의 참여자에게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였다.먼저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는 우리나라 간호사들도 환자안전사건 이후 제2의 피해자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수준에 따라 ‘심각한 증상’, ‘중등도의 증상’, ‘가벼운 증상’의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에는 조직의 지지, 사회적 지지, 가장 최근에 경험한 환자안전사건의 위해 정도가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의 지지는 ‘심각한 증상’ 프로파일 분류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3개의 프로파일 모두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나,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일부 간호사의 경우에는 정서적 지지를 선호하였고, 다른 두 유형에서는 임상 현장으로 복귀하기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하였다. 다음으로,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은 상담 전공자가 3회기의 일대일 상담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참여자는 3개의 상급종합병원과 온라인 공개 모집, 조사 기관의 패널 홍보를 통해 모집하였다. 8개월의 프로그램 시행 기간 동안 총 26명의 간호사가 참여 신청을 하였고, 이 중 15명이 연구 참여를 철회하였고 11명이 3회기 상담을 모두 완료하였다. 3회기 프로그램을 모두 완료한 11명 중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지를 제출하지 않은 1명을 제외한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였다. 참여자들의 환자안전사건으로 인한 사건충격척도의 점수는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2.191, p=0.028), 큰 효과 크기 이상으로 나타났다(r=0.65). 또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만족하였고, 향후 유사한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다시 이용할 의향을 보였다.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들도 환자안전사건 경험 후에 지원을 필요로 함과 적절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제2의 피해자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큰 의의가 있다. 향후 의료기관 및 국가 수준에서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제2의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제2의 피해자 현상 및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의 시행, 환자안전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지침의 제정, 제2의 피해자 현상과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연구의 수행 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ncompasses two sub-studies, conduc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for nurses who experienced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first study comprises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378 nurses in Korea regarding their experiences of the second victim phenomenon and needs for suppor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the second study, a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was developed systematically. To evaluate its feasibilit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10 nurses that suffered the second victim phenomenon. In the online survey, Korean nur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second victim symptoms: ‘Severe Symptoms,’ ‘Moderate Symptoms,’ and ‘Mild Symptom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organization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the degree of harm of the most recent patient safety incident differentially influenced the classification of the three latent profiles; organizational support contributed the most to the ‘severe symptoms’ classification. The three profiles required a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While the other two profiles required support to return to the clinical setting, nurses with severe symptoms preferred emotional support. In the YANA (You Are Not Alone) program, a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systematically developed in this study, counselors provided emotional support through three sessions of one-to-one meeting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promoting the program to three tertiary hospitals, online communities, and panels of research institutions. For eight months, 26 nurses appli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ifteen of the nurses withdrew from the study. Of the 11 nurses who completed all the three sessions of counseling, only 10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as one nurse did not submit a post-test. Regarding the participants, the score of the Impact of Events Scale- Revise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z=-2.191, p=0.028). Further, the effect size was above the large (r=0.65).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showed a willingness to use the program again in case of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nurses need support after experiencing patient safety incidents. Further, offering nurses emotional support can mitigate the second victim phenomenon. The introduction of a future second victim support program necessitates the creation of awareness about the second victim phenomenon and support program and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responding to patient safety inc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