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조와 김상헌 : 삼전도 항복 이후 척화신 처분 논쟁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인조
김상헌
척화
척화신
삼전도 항복
심옥
청의 조선 정책
Language
Korean
Abstract
1637년 삼전도 항복으로 仁祖(재위:1623~1649)는 對明義理를 지키겠다는 反正의 핵심 명분 하나를 잃었다. 많은 官人이 對明義理를 지키지 못한 조정에 출사하는 것을 꺼렸다. 이런 상 황에서 인조가 정국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기란 쉽지 않았다. 인조는 패전의 책임을 패전 장수 와 척화신에게 물었다. 패전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인조는 김상헌을 削奪官職 에 처했다. 그의 죄목은 임금을 잊고 국가를 저버렸다는 것이었다. 이후 청은 김상헌에게 척화의 죄를 물어, 그를 심양에 압송했다. 그런데 1645년 2월에 청이 김상헌을 귀국시키자, 인조는 김상헌을 좌의정에 제수했다. 청이 김상헌을 석방하면서, 그를 중용하자는 여론이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김상헌에 대한 인조의 처결이 삭탈관직에서 좌의정 임명으로 극적으로 바뀐 것이다. 김상헌은 척화의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따라서, 김상헌에 대 한 처분이 바뀐 것은 척화신에 대한 인조의 태도가 변한 것을 의미했다. 심옥은 인조의 태도 변화에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삼전도 항복 직후, 조정에서는 김상 헌 삭탈관직 처분을 두고 논쟁이 발생했다. 그렇지만 청이 김상헌을 심양에 압송하면서, 논쟁 은 잠잠해졌다. 청이 김상헌 옹호자를 압송할 수도 있었기 때문에, 신료들은 함부로 김상헌을 옹호할 수 없었다. 이처럼 심옥은 인조의 태도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한편, 심옥 이후에 명청 교체는 점차 확실해졌다. 1644년 崇禎帝가 자결하면서, 명은 실질 적으로 멸망했다. 명과의 전쟁이 치열했을 때, 청은 명이 조선과 연합하는 것을 경계해야 했 다. 그렇지만 명이 멸망하면서, 청이 조선을 경계해야 할 필요성은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에 따라, 청은 김상헌을 귀국시켰다. 요컨대 김상헌이 귀국은 조선에 대한 청의 압박이 느 슨해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청의 압박이 느슨해지자, 대간들이 김상헌 중용을 요청했다. 하지만 인조는 김상헌 중용을 꺼렸다. 인조는 항복의 당사자인 반면,`김상헌은 자신과 정반대의 행보를 걸은 인물이었기 때 문이었다. 귀국 후, 김상헌은 으레 해야 하는 알현숙배조차 하지 않았다. 이로써 김상헌은 인 조 정권에 대한 반발감을 드러냈다. 그렇지만 청이 김상헌을 용서한 상황에서, 인조가 김상헌 을 대할 때 여론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대간의 척화신 중용 요청이 강해지자, 인조의 측근이던 대신들마저 김상헌을 출사를 요청했 다. 그 결과, 인조는 김상헌에게 좌의정 직을 제수해야 했다. 인조가 척화론자와의 정치적 싸 움에서 패배한 것이다. 이는 결국 청이 김상헌을 귀국시키면서 발생한 일이었다. 이처럼 청의 조선 정책 변화는 인조의 척화신 처분 양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짧은 기간이 지만 청의 대조선 정책은 긴장과 완화를 반복했다. 그에 따라서 조선 정치구도도 계속 변했 다. 조선을 향한 청의 강한 견제는 척화신 처벌 결정에 대한 반대 여론을 사그라지게 했다. 반면에 심옥 이후, 청이 조선에 대한 견제를 완화한 덕분에, 척화신 중용 요청 여론이 등장할 수 있었다. 즉, 인조의 척화신 처분 양상은 본인의 의지나 국내의 여론보다 청의 영향력에 따라 변화했던 것이다.
In result of Samjeondo(三田渡)’s surrender in 1637,King Injo(仁祖) (reign: 1623-1649) lost one of the core justifications for his anti-Qing(淸) stance, which was the commitment to uphold Daemyeongeuirie(對明義理). Many officials were reluctant to engage in a punitive expedition against those who failed to uphold the principles against Ming(明). In such circumstances, it was challenging for King Injo to actively manage the political affairs. Injo sought to blame military commanders for the defeat and Chokhwashin(斥和臣) to evade responsibility, by imposing disciplinary measures on Kim Sang-heon(金尙憲); particularly, accusing him of neglecting the king’s command and betraying the state.Subsequently, Qing investigated Kim Sang-heon for his role in the Chokhwa incident, leading to his exile to Shenyang. However, in February 1645, when Qing allowed Kim Sang-heon to return, Injo appointed him to the position of Left State Councillor. This change in Injo's decision regarding Kim Sang-heon, removing him from his official position and appointing him to a significant post, indicated a shift in Injo's attitude towards the Chokhwashin. Kim Sang-heon, being a symbolic figure of Chokhwa, signaled a change in Injo's stance toward the Chokhwashin.Sim Ok(瀋獄) provided a crucial insight into the decisive cause of Injo's attitude shift. Immediately after the surrender of Samjeondo, there was a debate within the court regarding the punitive measures against Kim Sang-heon. However, with Qing taking Kim Sang-heon into custody, the debate subsided. Given that Qing could have executed Kim Sang-heon's supporters, the officials refrained from openly supporting him. Sim Ok argued that this event significantly influenced Injo's change in attitude.Moreover, after Sim Ok, the replacement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Qing became increasingly certain. The Ming dynasty effectively collapsed with the suicide of Emperor Chongzhen(崇禎帝) in 1644. During the intense warfare between Ming and Qing, the latter had to be cautious about the possibility of Ming forming an alliance with Joseon. However, as Ming collapsed, the necessity for Qing to be wary of Joseon diminished. Consequently, Qing allowed Kim Sang-heon to return, indicating a loosening of pressure on Joseon.As Qing's pressure eased, the nobles in Joseon began advocating for the recognition of Kim Sang-heon. However, King Injo was reluctant to grant him prominence, considering Kim Sang-heon's opposing political stance and failure to perform customary acts of loyalty upon his return. Although Kim Sang-heon displayed resentment towards Injo's regime, the situation compelled Injo to be mindful of public opinion when dealing with him.With increased pressure from the Daegan(臺諫) to recognize Kim Sang-heon, even Injo's close Daesin(大臣) urged for his appointment to an official position. As a result, Injo had to remove Kim Sang-heon from the position of Left State Councillor, marking Injo's political defeat in the struggle against the Chokhwa faction. Ultimately, this event, triggered by Qing's decision to allow Kim Sang-heon's retur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s of Injo's punitive measures against the Chokhwashin.In summary, the shifts in Qing's policy towards Joseon had a profound influence on Injo's handling of the Chokhwashin.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period, Qing's alternating policy between tension and relaxation had a ripple effect on the political landscape in Joseon. Qing‘s strong pressure on Joseon initially suppressed opposition to the punishment of the Chokhwashin. However, after Sim Ok's time, as Qing's grip on Joseon loosened, public sentiment supporting the recognition of Chokhwashin gained prominence. Consequently, Injo's decisions regarding the Chokhwashin were more influenced by Qing's policies than his own will or domestic public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