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년 대상 이중언어 교육 정책 연구 / A Study on Bilingual Education Policy for Immigrant Youth in Kore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이주 배경 아동 청소년
다문화 학생
이중언어 교육
이중언어 교육 정책
계승어
제2언어 습득
Language
Korean
Abstract
한국 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년 대상 이중언어 교육 정책 연구 본 논문은 국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이주 배경 아동‧청소 년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배경 변인 역시 다양화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 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면서 건강한 자아개 념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이중언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①이주 배경 유형 에 따른 언어 발달 양상의 차이, ②국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년을 대상으 로 하는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성과와 한계, ③한국의 이주 배경 아동․청 소년 대상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개선 방안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그리고 문헌 분석과 주요 국가 사례 분석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 행하였다. 우선 문헌 분석으로는 2006년부터 시작된 국제결혼 가정 자녀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 계획,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여성가족부의 다문화 가족정책 지원계획의 정책 비전과 아젠다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인지심리학, 언어 발달, 제2언어 습득, 이중언어 교육 관련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분석 이후에는 국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 년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고 입국 유형별로 이중언어 교육 목표의 설정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 국가의 사례 분석으로는 ①영연방으로부터 분리·독립하여 이민을 통해 새로운 국가를 성립한 전통적 이민 국가인 캐나다, 미국, 호주, ②민족 주의 국가였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 노동 인력 유입을 통해 이민 국가로 변 모한 유럽의 독일, 프랑스, 스웨덴, ③경제 발전과 인구 감소로 인해 이민 자를 유입한 아시아의 신흥 이민 국가인 대만, 일본 등을 선정하여 이중언 어 교육 정책의 대두 배경과 변천 과정 및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주 배경 아동·청소년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서 우선 이중언어 교육 정책이 국가, 학교, 개인적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 목표 를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책 대상별로 이중언어 교육의 목표를 다 르게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한국에서 출생한 국제결혼 자녀는 동시적 이중언어 환경에 맞춘 교육 목표를, 중도입국 청소년에게는 순차적 이중언어 환경에 맞춘 교육 목표를 설정하여 인지 발달 및 학업성취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결혼이민자 가정만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가족지 원법을 정비하여 통합된 법 체제와 제도를 확립할 것을 제안하며, 전달 체계 확립과 지역 내 협력 체계의 구축,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평가 시스 템의 개발과 의무 적용, 중단된 이중언어 교원 양성 재개, 사회적 네트워 크를 통한 이중언어 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한국 내 이중언어 교육 정책을 점검하고, 앞으 로의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전국에 거 주하는 이주배경 아동․청소년과 이중언어 교원, 정책 담당자들이 지역별 로 처한 여건과 요구가 다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현장 연구 를 실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거주 지역이나 출신 국가, 입국 유형별로 질적 연구나 문화기술지적 연구, 전국의 정책 관계자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하여 후속 연구로 이어질 수 있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help immigrant youth to adapt to Korean society as they are increasing quantitatively and diversifying qualitatively. By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improving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an effective way to help them to be accustomed to new societ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bilingual education policy improved to support immigrant youths to form a healthy self-concept and identity, and form bonds with their families through communication as well as acquire linguistic compet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To achieve these goal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Does language development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immigration background?2.What ar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targeting immigrant youths in Korea so far?3.What are th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for immigrant youths in Korea?As a research-approach for the study, the policy vision and agenda of the Ministry of Justice's foreign policy implementation plan, the Ministry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plan, which began in 2006,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study and analyze cases of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around the world, three groups of n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mmigration. First,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hich are traditional immigrant countries that separated from the Commonwealth and established new countries through immigration; Second, Germany, France, and Sweden in Europe which had been nationalist countries, but transformed into immigration countries through an influx of workers after World War II; and Third, Taiwan and Japan, an emerging immigration country in Asia that attract immigrants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decline. Through examining actual cases of these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were derived and 7 ways of improvements were suggested. It was propo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immigrant youths and set the goals of bilingual education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related to cognitive psychology, language developmen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bilingual education according to different bilingual education goals for each type of entry.As an implication of improvement, it was proposed to set different goal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each policy target. In other words, policy goals should be tailored separately to the children in the simultaneous bilingual environment born in Korea by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o immigrated adolescents in the sequential bilingual environment, thereby leading to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legal system by reorganiz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hich only targets marriage immigrant families for now, and to establish a central delivery system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 to systematize the curriculum, and to develop and compulsorily apply an evaluation system as well as restart the abolished training of bilingual teachers and to create a bilingual environment through social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