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구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Life Respect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ith the Morals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Education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교원교육, 39(5), pp.71-95 Sep,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8-5706
1225-2042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적용한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교육과 도덕교육의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현재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생명존중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내용 분석 준거틀은 생명존중의 범주에서 각 영역을 ‘생명존중의 이해’, ‘생명존중의 위기’, ‘생명존중의 실천’으로 나누고 각 하위내용 요소를 12가지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한 내용 분석 준거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의 위기’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위기의 내용 요소와 ‘생명존중의 실천’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존중’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생명윤리의 갈등’과 ‘생명윤리의 회복’과 관련된 내용 요소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인구교육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문제와 관련된 현상의 다양한 원인 중 하나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명 경시 현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해결의 방향을 교육으로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그렇기에 인구교육의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교육은 학교 교육의 바탕이 되어야하며,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의 대상을 생명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초등학교 도덕과를 통해 살펴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존중교육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better ways to teach Population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through content analysis of life-respec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ity classes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Education. Methods: Accordingly,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of life-respecting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to examine how life-respecting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moral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s. So,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divided each area into ‘understanding, crisis, practice of life respect’ and analyzed twelve sub-content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developed content analysis framework, the content element of the crisis of human life in the ‘crisis of respect for life’ and the content element corresponding to ‘respect for human life’ in the ‘practice of respect for life’ were the most frequent area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tent elements related to ‘conflict of bioethics’ and ‘recovery of bioethics’ were insufficient. Conclusion: Population Education is an attempt to identify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phenomena related to population problems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s a phenomenon of disregard for life at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 and seek a direction to resolve it. Therefore, value educationon respect for life, which is emphasized in th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 Moreove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life-respect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moral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value of life. Accordingly, life-respecting education in the morals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move towards a direction that can embrace both Morals Education and the perspectives of Popula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