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116nam a2200757 c 4500 | ||
001 | 0091976195▲ | ||
005 | 20180520021836▲ | ||
007 | ta▲ | ||
008 | 110916s2011 ulka 001a kor▲ | ||
020 | ▼a9788974094171▼g93650:▼c₩18000▲ | ||
040 | ▼a221016▼c221016▲ | ||
041 | 1 | ▼akor▼heng▲ | |
082 | 0 | 4 | ▼a709.04▼221▲ |
090 | ▼a709.04▼b윤211ㅍ▲ | ||
100 | 1 | ▼a윤난지,▼g尹蘭芝,▼d1953-▼0150413▲ | |
245 | 1 | 0 | ▼a페미니즘과 미술 /▼d윤난지 엮음▲ |
260 | ▼a서울 :▼b눈빛,▼c2009▲ | ||
300 | ▼a479 p. :▼b삽화 ;▼c23 cm▲ | ||
440 | 0 | 0 | ▼a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v3▲ |
500 | ▼a이 책은 1970년대 초 이후 미술계에서 회자되어 온 페미니즘 담론들을 선별하여 엮은 것임▲ | ||
500 | ▼a색인수록▲ | ||
504 | ▼a원전: p. 463-465▲ | ||
505 | 0 | 0 | ▼t보다 공정한 시각을 향하여:페미니즘이 미술사를 바라보는 우리들의 방법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d린다 노클린(Linda Nochlin);▼e박윤조 옮김 --▼t페미니즘으로 미술사에 개입하기/▼d그리젤다 폴록(Griselda Pollock);▼e전유신 옮김 --▼t미술비평의 페미니즘 이론을 향하여/▼d조안나 프루어(Joanna Frueh);▼e이윤영 옮김 --▼t변화 이후의 변화/▼d루시 리파드(Lucy R. Lippard);▼e이장은 옮김 --▼t타자들의 담론:페미니스트들과 포스트모더니즘/▼d크랙 오웬스(Craig Owens);▼e정인진 옮김 --▼t하나가 아닌 성/▼d뤼스 이리가레이(Luce Irigaray);▼e유승민 옮김 --▼t빛의 텍스처/▼d캐스린 배슬러(Cathryn Vasseleu);▼e권영진 옮김 --▼t애브젝트한 어머니/▼d켈리 올리버(Kelly Oliver);▼e박미연 옮김 --▼t메두사의 웃음/▼d엘렌느 식수(Helene Cixous);▼e윤인숙 옮김 --▼t본질의 위험/▼d다이애나 퍼스(Diana Fuss) ;▼e권영진 옮김 --▼t성적 차이와 본질주의의 문제/▼d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e권영진 옮김 --▼t재현과/에서의 섹슈얼리티: 다섯 명의 영국 미술가들/▼d리사 티크너Lisa Tickner);▼e조수진 옮김 --▼t미술가로서의 여성/▼d주디 시카고(Judy Chicago);▼e이장은 옮김 --▼t여성적 이마저리란 무엇인가/▼d루시 리파드(Lucy R. Lippard);▼e이장은 옮김 --▼t20세기초 전위회화에 나타난 남성다움과 지배/▼d캐롤 던컨(Carol Duncan);▼e김신애 옮김 --▼t작품에 드러난 신체들: 여성의 비재현적 회화의 미학과 정치학/▼d로즈마리 베터튼(Rosemary Betterton);▼e주은정 옮김 --▼t미리엄 샤피로와 '페마주':20세기 미술에 나타난 장식과 추상의 대립에 관한 고찰/▼d노마 부르드(Norma Broude);▼e황신원 옮김 --▼t여성성의 창조/▼d로지카 파커(Rozsika Parker);▼e조의영 옮김 --▼t퀼트: 위대한 미국 미술/▼d패트리샤 마이나르디(Patricia Mainardi);▼e이은화 옮김 --▼t'남성문제':재현의 위기/▼d에비게일 솔로몬-고도(Abigail Solomon-Godeau);▼e엄미정 옮김 --▼t포스트휴먼 신체의 생식:체외수정 태아, 대리모, 임신한 남성/▼d수잔 M. 스퀴어(Susan M. Squier);▼e장유리 옮김 --▼t성, 젠더, 욕망의 주체들/▼d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e송연승 옮김▲ |
653 | ▼a20세기 서양미술사▲ | ||
700 | 1 | ▼aNochlin, Linda▲ | |
700 | 1 | ▼aPollock, Griselda▲ | |
700 | 1 | ▼aFrueh, Joanna▲ | |
700 | 1 | ▼aLippard, Lucy R.▲ | |
700 | 1 | ▼aOwens, Craig▲ | |
700 | 1 | ▼aIrigaray, Luce▲ | |
700 | 1 | ▼aVasseleu, Cathryn▲ | |
700 | 1 | ▼aCixous, Helene▲ | |
700 | 1 | ▼aFuss, Diana▲ | |
700 | 1 | ▼aGrosz, Elizabeth▲ | |
700 | 1 | ▼aTickner, Lisa▲ | |
700 | 1 | ▼aChicago, Judy▲ | |
700 | 1 | ▼aDuncan, Carol▲ | |
700 | 1 | ▼aBetterton, Rosemary▲ | |
700 | 1 | ▼aBroude, Norma▲ | |
700 | 1 | ▼aParker, Rozsika▲ | |
700 | 1 | ▼aMainardi, Patricia▲ | |
700 | 1 | ▼aSolomon-Godeau, Abigail▲ | |
700 | 1 | ▼aSquier, Susan M.▲ | |
700 | 1 | ▼aButler, Judith▲ | |
900 | 1 | 1 | ▼a노클린, 린다▲ |
900 | 1 | 1 | ▼a폴록, 그리젤다▲ |
900 | 1 | 1 | ▼a프루어, 조안나▲ |
900 | 1 | 1 | ▼a리파드, 루시▲ |
900 | 1 | 1 | ▼a오웬스, 크랙▲ |
900 | 1 | 1 | ▼a이리가레이, 뤼스▲ |
900 | 1 | 1 | ▼a배슬러, 캐스린▲ |
900 | 1 | 1 | ▼a올리버, 켈리▲ |
900 | 1 | 1 | ▼a식수, 엘렌느▲ |
900 | 1 | 1 | ▼a퍼스, 다이애나▲ |
900 | 1 | 1 | ▼a그로츠, 엘리자베스▲ |
900 | 1 | 1 | ▼a티크너, 리사▲ |
900 | 1 | 1 | ▼a시카고, 주디▲ |
900 | 1 | 1 | ▼a던컨, 캐롤▲ |
900 | 1 | 1 | ▼a베터튼, 로즈마리▲ |
900 | 1 | 1 | ▼a부르드, 노마▲ |
900 | 1 | 1 | ▼a파커, 로지카▲ |
900 | 1 | 1 | ▼a마이나르디, 패트리샤▲ |
900 | 1 | 1 | ▼a솔로몬-고도, 에비게일▲ |
900 | 1 | 1 | ▼a스퀴어, 수잔 M.▲ |
900 | 1 | 1 | ▼a버틀러 주디스▲ |
999 | ▼c손은주▲ |

페미니즘과 미술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페미니즘과 미술 / 윤난지 엮음
개인저자
윤난지 , 尹蘭芝 , 1953-
Nochlin, Linda
Pollock, Griselda
Frueh, Joanna
Lippard, Lucy R.
Owens, Craig
Irigaray, Luce
Vasseleu, Cathryn
Cixous, Helene
Fuss, Diana
Grosz, Elizabeth
Tickner, Lisa
Chicago, Judy
Duncan, Carol
Betterton, Rosemary
Broude, Norma
Parker, Rozsika
Mainardi, Patricia
Solomon-Godeau, Abigail
Squier, Susan M.
Butler, Judith
Nochlin, Linda
Pollock, Griselda
Frueh, Joanna
Lippard, Lucy R.
Owens, Craig
Irigaray, Luce
Vasseleu, Cathryn
Cixous, Helene
Fuss, Diana
Grosz, Elizabeth
Tickner, Lisa
Chicago, Judy
Duncan, Carol
Betterton, Rosemary
Broude, Norma
Parker, Rozsika
Mainardi, Patricia
Solomon-Godeau, Abigail
Squier, Susan M.
Butler, Judith
발행사항
서울 : 눈빛 , 2009
형태사항
479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 3
일반주기
이 책은 1970년대 초 이후 미술계에서 회자되어 온 페미니즘 담론들을 선별하여 엮은 것임
색인수록
색인수록
서지주기
원전: p. 463-465
내용주기
보다 공정한 시각을 향하여:페미니즘이 미술사를 바라보는 우리들의 방법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 페미니즘으로 미술사에 개입하기 / 그리젤다 폴록(Griselda Pollock) 미술비평의 페미니즘 이론을 향하여 / 조안나 프루어(Joanna Frueh) 변화 이후의 변화 / 루시 리파드(Lucy R. Lippard) 타자들의 담론:페미니스트들과 포스트모더니즘 / 크랙 오웬스(Craig Owens) 하나가 아닌 성 / 뤼스 이리가레이(Luce Irigaray) 빛의 텍스처 / 캐스린 배슬러(Cathryn Vasseleu) 애브젝트한 어머니 / 켈리 올리버(Kelly Oliver) 메두사의 웃음 / 엘렌느 식수(Helene Cixous) 본질의 위험 / 다이애나 퍼스(Diana Fuss) 성적 차이와 본질주의의 문제 / 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 재현과/에서의 섹슈얼리티: 다섯 명의 영국 미술가들 / 리사 티크너Lisa Tickner) 미술가로서의 여성 / 주디 시카고(Judy Chicago) 여성적 이마저리란 무엇인가 / 루시 리파드(Lucy R. Lippard) 20세기초 전위회화에 나타난 남성다움과 지배 / 캐롤 던컨(Carol Duncan) 작품에 드러난 신체들: 여성의 비재현적 회화의 미학과 정치학 / 로즈마리 베터튼(Rosemary Betterton) 미리엄 샤피로와 '페마주':20세기 미술에 나타난 장식과 추상의 대립에 관한 고찰 / 노마 부르드(Norma Broude) 여성성의 창조 / 로지카 파커(Rozsika Parker) 퀼트: 위대한 미국 미술 / 패트리샤 마이나르디(Patricia Mainardi) '남성문제':재현의 위기 / 에비게일 솔로몬-고도(Abigail Solomon-Godeau) 포스트휴먼 신체의 생식:체외수정 태아, 대리모, 임신한 남성 / 수잔 M. 스퀴어(Susan M. Squier) 성, 젠더, 욕망의 주체들 /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키워드
ISBN
9788974094171
청구기호
709.04 윤211ㅍ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