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229namka2200385 k 4500 | ||
001 | 0000566872▲ | ||
005 | 20180519091749▲ | ||
007 | ta▲ | ||
008 | 030429s2003 ulka 000a kor ▲ | ||
020 | ▼a 8982816453▲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30.9 ▼2 21▲ | |
090 | ▼a 830.9 ▼b 이44ㄷ▲ | ||
100 | 1 | ▼a 이병애▲ | |
245 | 1 | 0 | ▼a 독일문학의 장면들:▼b 문학, 영화, 음악 속의 여성들=▼x Szenen aus der deutschen Literatur : Frauen in Literatur, Film und Musik/▼d 이병애 엮음.▲ |
260 | ▼a 서울:▼b 문학동네,▼c 2003.▲ | ||
300 | ▼a 431 p.:▼b 삽도;▼c 23 cm.▲ | ||
505 | 0 | ▼a 계몽주의 시대 연극을 개혁한 여성-프리데리커 C.노이버/김미란. - 애정소설로서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박광자. - 좌절된 창작의지-드로스테 휠스호프의 베르타/이영희. - 푸른수염 모티프의 페미니즘적 변주-세편의 푸른수염 오페라에 나타난 페미니즘의 양상/이용숙. - 에로스적 가능성의 유희-A.슈니츨러의 꿈의 노벨레와 S.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최민숙. - 여성권리의 개척자 슈니츨러와소설 테레제/송소민. - 생물학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브레히트 드라마 속의 어머니상/윤시향. - 에리카 룽에의 기록문학-보트로프 보고서를 중심으로/오청자. - 막힌 사회에서의 여성의 자아찾기-여성문학으로 읽는 크리스타 볼프의 크리스타 T 에 대한 추념/김숙희. - 희망 없는 현실에서 여성이 살아가기-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단편집 '동시에'/윤현자. - 모계사회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우월성-권터 그라스의 소설 '넙치'에서/권진숙. - 질비아 보벤셴의 페미니즘 문예학/이병진. - 크리스토프 하인의 '낯선 친구/용의피'에서 나타나 죽음의 모티프와 상징/이온화. - 행동으로서의 부적응-하인리히 뵐의 '강 풍경을 마주한 여인들'/서용좌. - 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의 소설'유혹'과 '리자의 사랑'에 나타난 통속성 비판-메타서사 파괴를 위한 여성적 글스기/이병애.▲ | |
700 | 1 | ▼a 김미란/▼t 계몽주의 시대 연극을 개혁한 여성-프리데리커 C.노이버▲ | |
700 | 1 | ▼a 박광자/▼t 애정소설로서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 | |
700 | 1 | ▼a 이영희/▼t 좌절된 창작의지-드로스테 휠스호프의 베르타▲ | |
700 | 1 | ▼a 이용숙/▼t 푸른수염 모티프의 페미니즘적 변주-세편의 푸른수염 오페라에 나타난 페미니즘의 양상▲ | |
700 | 1 | ▼a 최민숙/▼t 에로스적 가능성의 유희-A.슈니츨러의 꿈의 노벨레와 S.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 |
700 | 1 | ▼a 송소민/▼t 여성권리의 개척자 슈니츨러와소설 테레제▲ | |
700 | 1 | ▼a 윤시향/▼t 생물학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브레히트 드라마 속의 어머니상▲ | |
700 | 1 | ▼a 오청자/▼t 에리카 룽에의 기록문학-보트로프 보고서를 중심으로▲ | |
700 | 1 | ▼a 김숙희/▼t 막힌 사회에서의 여성의 자아찾기-여성문학으로 읽는 크리스타 볼프의 크리스타 T 에 대한 추념▲ | |
700 | 1 | ▼a 윤현자/▼t 희망 없는 현실에서 여성이 살아가기-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단편집 '동시에'▲ | |
700 | 1 | ▼a 권진숙/▼t 모계사회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우월성-권터 그라스의 소설 '넙치'에서▲ | |
700 | 1 | ▼a 이병진/▼t 질비아 보벤셴의 페미니즘 문예학▲ | |
700 | 1 | ▼a 이온화/▼t 크리스토프 하인의 '낯선 친구/용의피'에서 나타나 죽음의 모티프와 상징▲ | |
700 | 1 | ▼a 서용좌/▼t 행동으로서의 부적응-하인리히 뵐의 '강 풍경을 마주한 여인들'▲ | |
700 | 1 | ▼a 이병애/▼t 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의 소설'유혹'과 '리자의 사랑'에 나타난 통속성 비판-메타서사 파괴를 위한 여성적 글쓰기▲ | |
950 | 0 | ▼b ₩12000▲ | |
999 | ▼a 도양희 ▼b 장영남▲ |

독일문학의 장면들: 문학, 영화, 음악 속의 여성들= Szenen aus der deutschen Literatur : Frauen in Literatur, Film und Musik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독일문학의 장면들 : 문학, 영화, 음악 속의 여성들 = Szenen aus der deutschen Literatur : Frauen in Literatur, Film und Musik / 이병애 엮음.
개인저자
이병애
김미란 / 계몽주의 시대 연극을 개혁한 여성-프리데리커 C.노이버
박광자 / 애정소설로서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
이영희 / 좌절된 창작의지-드로스테 휠스호프의 베르타
이용숙 / 푸른수염 모티프의 페미니즘적 변주-세편의 푸른수염 오페라에 나타난 페미니즘의 양상
최민숙 / 에로스적 가능성의 유희-A.슈니츨러의 꿈의 노벨레와 S.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송소민 / 여성권리의 개척자 슈니츨러와소설 테레제
윤시향 / 생물학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브레히트 드라마 속의 어머니상
오청자 / 에리카 룽에의 기록문학-보트로프 보고서를 중심으로
김숙희 / 막힌 사회에서의 여성의 자아찾기-여성문학으로 읽는 크리스타 볼프의 크리스타 T 에 대한 추념
윤현자 / 희망 없는 현실에서 여성이 살아가기-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단편집 '동시에'
권진숙 / 모계사회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우월성-권터 그라스의 소설 '넙치'에서
이병진 / 질비아 보벤셴의 페미니즘 문예학
이온화 / 크리스토프 하인의 '낯선 친구/용의피'에서 나타나 죽음의 모티프와 상징
서용좌 / 행동으로서의 부적응-하인리히 뵐의 '강 풍경을 마주한 여인들'
이병애 / 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의 소설'유혹'과 '리자의 사랑'에 나타난 통속성 비판-메타서사 파괴를 위한 여성적 글쓰기
김미란 / 계몽주의 시대 연극을 개혁한 여성-프리데리커 C.노이버
박광자 / 애정소설로서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
이영희 / 좌절된 창작의지-드로스테 휠스호프의 베르타
이용숙 / 푸른수염 모티프의 페미니즘적 변주-세편의 푸른수염 오페라에 나타난 페미니즘의 양상
최민숙 / 에로스적 가능성의 유희-A.슈니츨러의 꿈의 노벨레와 S.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송소민 / 여성권리의 개척자 슈니츨러와소설 테레제
윤시향 / 생물학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브레히트 드라마 속의 어머니상
오청자 / 에리카 룽에의 기록문학-보트로프 보고서를 중심으로
김숙희 / 막힌 사회에서의 여성의 자아찾기-여성문학으로 읽는 크리스타 볼프의 크리스타 T 에 대한 추념
윤현자 / 희망 없는 현실에서 여성이 살아가기-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단편집 '동시에'
권진숙 / 모계사회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우월성-권터 그라스의 소설 '넙치'에서
이병진 / 질비아 보벤셴의 페미니즘 문예학
이온화 / 크리스토프 하인의 '낯선 친구/용의피'에서 나타나 죽음의 모티프와 상징
서용좌 / 행동으로서의 부적응-하인리히 뵐의 '강 풍경을 마주한 여인들'
이병애 / 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의 소설'유혹'과 '리자의 사랑'에 나타난 통속성 비판-메타서사 파괴를 위한 여성적 글쓰기
발행사항
서울 : 문학동네 , 2003.
형태사항
431 p. : 삽도 ; 23 cm.
내용주기
계몽주의 시대 연극을 개혁한 여성-프리데리커 C.노이버/김미란. - 애정소설로서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박광자. - 좌절된 창작의지-드로스테 휠스호프의 베르타/이영희. - 푸른수염 모티프의 페미니즘적 변주-세편의 푸른수염 오페라에 나타난 페미니즘의 양상/이용숙. - 에로스적 가능성의 유희-A.슈니츨러의 꿈의 노벨레와 S.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최민숙. - 여성권리의 개척자 슈니츨러와소설 테레제/송소민. - 생물학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브레히트 드라마 속의 어머니상/윤시향. - 에리카 룽에의 기록문학-보트로프 보고서를 중심으로/오청자. - 막힌 사회에서의 여성의 자아찾기-여성문학으로 읽는 크리스타 볼프의 크리스타 T 에 대한 추념/김숙희. - 희망 없는 현실에서 여성이 살아가기-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단편집 '동시에'/윤현자. - 모계사회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 우월성-권터 그라스의 소설 '넙치'에서/권진숙. - 질비아 보벤셴의 페미니즘 문예학/이병진. - 크리스토프 하인의 '낯선 친구/용의피'에서 나타나 죽음의 모티프와 상징/이온화. - 행동으로서의 부적응-하인리히 뵐의 '강 풍경을 마주한 여인들'/서용좌. - 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의 소설'유혹'과 '리자의 사랑'에 나타난 통속성 비판-메타서사 파괴를 위한 여성적 글스기/이병애.
ISBN
8982816453
청구기호
830.9 이44ㄷ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