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4442namka2201381 k 4500 | ||
001 | 0000417360▲ | ||
005 | 20180519101416▲ | ||
007 | ta▲ | ||
008 | 991112s1999 ulk h000a kor ▲ | ||
020 | ▼a 8982064249▲ | ||
040 | ▼a 221016 ▼c 221016▲ | ||
082 | 0 | ▼a 398.2095146▼2 21▲ | |
090 | ▼a 398.2095146▼b 두811ㅎ▲ | ||
100 | 1 | ▼a 두창구▲ | |
245 | 1 | 0 | ▼a 韓國 江陵地域의 說話/▼d 杜창球 著.▲ |
260 | ▼a 서울:▼b 國學資料院,▼c 1999.▲ | ||
300 | ▼a 293 p.;▼c 23 cm.▲ | ||
505 | 0 | ▼a 진이 서낭당 유래. - 제주 솔과 용소. - 향호리와 땅재 지명 유래. -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 권 장군의 만용. - 초나라 임금의 세 아들. - 말똥바위. - 못된 아내 효부 만들기. - 집안을 일으킨 어린 아들. - 지네 각시와 맺은 가연. - 아기 풍수 선생. - 꾀 많은 사위. - 정승 딸과 혼인한 거지. - 방화하여 얻은 업. - 백정 사위와 정승의 딸. - 시아버지가 된 친정 아버지. - 엉큼한 시아버지. - 소금강 주변의 지명 유래. - 귀신과 육효점. - 호랑이를 혼낸 장사. - 철갑산과 신선바위. - 화재룰 예방하는 불금바위. - 사찰 살린 불가사리. - 큰돌바위. - 정승의 양자. - 남의 복으로 누린 부귀. - 외가 정기 받은 허봉. - 강감찬의 안목과 위세. - 대명천자 탄생담. - 새털 우장 때문에 당한 파직. - 떡이 커서 퇴계 떡. - 율곡 살린 나도밤나무. - 독수리가 잡아준 명당. - 원정공의 한. - 즈므 마을 범골. - 김주원의 삼왕릉. - 우물 마셔야 나는 인재. - 송정과 왜군. - 불한당굼과 전주봉. - 영감 덕을 본 청년. - 대관령 여서낭신. - 경포호와 적곡합. - 호랑이 잡은 덕구. - 짝바위 전설. - 용미암의 용. - 호랑이 덕에 얻는 복. - 모기와 짚단. - 재산 물린 며느리. - 위촌리 바위 전설. - 개좃바위. - 대장골의 장수 바위. -묘자리 이야기. - 뒤바뀐 아내. - 명당자리 훔쳐 쓴 묘자리. - 청렴한 맹사성. - 음행속인 가짜 풍수. - 뱀을 도와 얻은 복. - 할머니 잡아먹은 호랑이. - 대공산성과 칼. - 김주원 묘 찾기와 걱정재. - 보현사의 유래. - 부처 옮겨 부른 재앙. - 무월랑과 연화. - 원수 갚은 혼백. - 맹인과 친구 마누라. - 여자에게 속은 호랑이. - 해랑당 신. - 구리바위. - 등명 낙가사. - 기생바위와 선비. - 국사 서낭신과 강릉 단오제. - 우왕과 굴산사. - 범일국사 탄생담. - 제비 마을의 재앙. - 반석 바위와 와룡암. - 탑 쌓아 부자된 마을. - 육발 호랑이의 내기 두기. - 도깨비 장난. - 늑대와 여우의 피해. - 말탄봉과 용마. - 낙풍 마귀할멈 굴. - 낙풍에 얽힌 얘기들. - 쇠바위 전설. - 호랑바위 전설. - 송구봉의 출생담. - 구원병 얻어 온 지혜. - 처녀 원귀의 훼방. - 지장 도깨비. - 도래는 맞는데 질이는 짧다. - 오라버니 한 때 말 한 때. - 시루로 덮는 호식장. - 장모님 장모님 고루고루 색색. - 금진 개평의 물대기. - 도술로 들통난 아내의 위선. - 어머니 찾아 온 효자. - 아이 잡아먹은 부모. - 옥계의 지명 유래.▲ | |
740 | ▼a 호랑이 덕에 얻는 복▲ | ||
740 | ▼a 모기와 짚단▲ | ||
740 | ▼a 재산 불린 며느리▲ | ||
740 | ▼a 위촌리 바위 전설▲ | ||
740 | ▼a 개좃바위▲ | ||
740 | ▼a 대장골의 장수 바위▲ | ||
740 | ▼a 묘자리 이야기▲ | ||
740 | ▼a 뒤바뀐 아내▲ | ||
740 | ▼a 명당자리 훔쳐 쓴 묘자리▲ | ||
740 | ▼a 청렴한 맹사성▲ | ||
740 | ▼a 음행속인 가짜 풍수▲ | ||
740 | ▼a 뱀을 도와 얻은 복▲ | ||
740 | ▼a 할머니 잡아먹은 호랑이▲ | ||
740 | ▼a 대공산성과 칼▲ | ||
740 | ▼a 김주원 묘 찾기와 걱정재▲ | ||
740 | ▼a 보현사의 유래▲ | ||
740 | ▼a 부처 옮겨 부른 재앙▲ | ||
740 | ▼a 무월랑과 연화▲ | ||
740 | ▼a 원수 갚은 혼백▲ | ||
740 | ▼a 맹인과 친구 마누라▲ | ||
740 | ▼a 여자에게 속은 호랑이▲ | ||
740 | ▼a 해랑당 신▲ | ||
740 | ▼a 구리바위▲ | ||
740 | ▼a 등명 낙가사▲ | ||
740 | ▼a 기생바위와 선비▲ | ||
740 | ▼a 국사 서낭신과 강릉 단오제▲ | ||
740 | ▼a 우왕과 굴산사▲ | ||
740 | ▼a 범일국사 탄생담▲ | ||
740 | ▼a 제비 마을의 재앙▲ | ||
740 | ▼a 반석 바위와 와룡암▲ | ||
740 | ▼a 탑 쌓아 부자된 마을▲ | ||
740 | ▼a 육발 호랑이의 내기 두기▲ | ||
740 | ▼a 도깨비 장난▲ | ||
740 | ▼a 늑대와 여우의 피해▲ | ||
740 | ▼a 말탄봉과 용마▲ | ||
740 | ▼a 낙풍 마귀할멈 굴▲ | ||
740 | ▼a 낙풍에 얽힌 얘기들▲ | ||
740 | ▼a 쇠바위 전설▲ | ||
740 | ▼a 호랑바위 전설▲ | ||
740 | ▼a 송구봉의 출생담▲ | ||
740 | ▼a 구원병 얻어 온 지혜▲ | ||
740 | ▼a 처녀 원귀의 훼방▲ | ||
740 | ▼a 지장 도깨비▲ | ||
740 | ▼a 도래는 맞는데 질이는 짧다▲ | ||
740 | ▼a 오라버니 한 때 말 한 때▲ | ||
740 | ▼a 시루로 덮는 호식장▲ | ||
740 | ▼a 장모님 장모님 고루고루 색색▲ | ||
740 | ▼a 금진 개평의 물대기▲ | ||
740 | ▼a 도술로 들통난 아내의 위선▲ | ||
740 | ▼a 어머니 찾아 온 효자▲ | ||
740 | ▼a 아이 잡아먹은 부모▲ | ||
740 | ▼a 옥계의 지명 유래▲ | ||
740 | ▼a 진이 서낭당 유래▲ | ||
740 | ▼a 제주 솔과 용소▲ | ||
740 | ▼a 향호리와 땅재 지명 유래▲ | ||
740 | ▼a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 ||
740 | ▼a 권 장군의 만용▲ | ||
740 | ▼a 초나라 임금의 세 아들▲ | ||
740 | ▼a 말똥바위▲ | ||
740 | ▼a 못된 아내 효부 만들기▲ | ||
740 | ▼a 집안을 일으킨 어린 아들▲ | ||
740 | ▼a 지네 각시와 맺은 가연▲ | ||
740 | ▼a 아기 풍수 선생▲ | ||
740 | ▼a 꾀 많은 사위▲ | ||
740 | ▼a 정승 딸과 혼인한 거지▲ | ||
740 | ▼a 방화하여 얻은 업▲ | ||
740 | ▼a 백정 사위와 정승의 딸▲ | ||
740 | ▼a 시아버지가 된 친정 아버지▲ | ||
740 | ▼a 엉큼한 시아버지▲ | ||
740 | ▼a 소금강 주변의 지명 유래▲ | ||
740 | ▼a 귀신과 육효점▲ | ||
740 | ▼a 호랑이를 혼낸 장사▲ | ||
740 | ▼a 철갑산과 신선바위▲ | ||
740 | ▼a 화재룰 예방하는 불금바위▲ | ||
740 | ▼a 사찰 살린 불가사리▲ | ||
740 | ▼a 큰돌바위▲ | ||
740 | ▼a 정승의 양자▲ | ||
740 | ▼a 남의 복으로 누린 부귀▲ | ||
740 | ▼a 외가 정기 받은 허봉▲ | ||
740 | ▼a 강감찬의 안목과 위세▲ | ||
740 | ▼a 대명천자 탄생담▲ | ||
740 | ▼a 새털 우장 때문에 당한 파직▲ | ||
740 | ▼a 떡이 커서 퇴계 떡▲ | ||
740 | ▼a 율곡 살린 나도밤나무▲ | ||
740 | ▼a 독수리가 잡아준 명당▲ | ||
740 | ▼a 원정공의 한▲ | ||
740 | ▼a 즈므 마을 범골▲ | ||
740 | ▼a 김주원의 삼왕릉▲ | ||
740 | ▼a 우물 마셔야 나는 인재▲ | ||
740 | ▼a 송정과 왜군▲ | ||
740 | ▼a 불한당굼과 전주봉▲ | ||
740 | ▼a 영감 덕을 본 청년▲ | ||
740 | ▼a 대관령 여서낭신▲ | ||
740 | ▼a 경포호와 적곡합▲ | ||
740 | ▼a 호랑이 잡은 덕구▲ | ||
740 | ▼a 짝바위 전설▲ | ||
740 | ▼a 용미암의 용▲ | ||
890 | ▼h 245창▲ | ||
950 | 0 | ▼b ₩13000▲ | |
999 | ▼b 임정희▲ |

韓國 江陵地域의 說話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韓國 江陵地域의 說話 / 杜창球 著.
부출서명
호랑이 덕에 얻는 복
모기와 짚단
재산 불린 며느리
위촌리 바위 전설
개좃바위
대장골의 장수 바위
묘자리 이야기
뒤바뀐 아내
명당자리 훔쳐 쓴 묘자리
청렴한 맹사성
음행속인 가짜 풍수
뱀을 도와 얻은 복
할머니 잡아먹은 호랑이
대공산성과 칼
김주원 묘 찾기와 걱정재
보현사의 유래
부처 옮겨 부른 재앙
무월랑과 연화
원수 갚은 혼백
맹인과 친구 마누라
여자에게 속은 호랑이
해랑당 신
구리바위
등명 낙가사
기생바위와 선비
국사 서낭신과 강릉 단오제
우왕과 굴산사
범일국사 탄생담
제비 마을의 재앙
반석 바위와 와룡암
탑 쌓아 부자된 마을
육발 호랑이의 내기 두기
도깨비 장난
늑대와 여우의 피해
말탄봉과 용마
낙풍 마귀할멈 굴
낙풍에 얽힌 얘기들
쇠바위 전설
호랑바위 전설
송구봉의 출생담
구원병 얻어 온 지혜
처녀 원귀의 훼방
지장 도깨비
도래는 맞는데 질이는 짧다
오라버니 한 때 말 한 때
시루로 덮는 호식장
장모님 장모님 고루고루 색색
금진 개평의 물대기
도술로 들통난 아내의 위선
어머니 찾아 온 효자
아이 잡아먹은 부모
옥계의 지명 유래
진이 서낭당 유래
제주 솔과 용소
향호리와 땅재 지명 유래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권 장군의 만용
초나라 임금의 세 아들
말똥바위
못된 아내 효부 만들기
집안을 일으킨 어린 아들
지네 각시와 맺은 가연
아기 풍수 선생
꾀 많은 사위
정승 딸과 혼인한 거지
방화하여 얻은 업
백정 사위와 정승의 딸
시아버지가 된 친정 아버지
엉큼한 시아버지
소금강 주변의 지명 유래
귀신과 육효점
호랑이를 혼낸 장사
철갑산과 신선바위
화재룰 예방하는 불금바위
사찰 살린 불가사리
큰돌바위
정승의 양자
남의 복으로 누린 부귀
외가 정기 받은 허봉
강감찬의 안목과 위세
대명천자 탄생담
새털 우장 때문에 당한 파직
떡이 커서 퇴계 떡
율곡 살린 나도밤나무
독수리가 잡아준 명당
원정공의 한
즈므 마을 범골
김주원의 삼왕릉
우물 마셔야 나는 인재
송정과 왜군
불한당굼과 전주봉
영감 덕을 본 청년
대관령 여서낭신
경포호와 적곡합
호랑이 잡은 덕구
짝바위 전설
용미암의 용
모기와 짚단
재산 불린 며느리
위촌리 바위 전설
개좃바위
대장골의 장수 바위
묘자리 이야기
뒤바뀐 아내
명당자리 훔쳐 쓴 묘자리
청렴한 맹사성
음행속인 가짜 풍수
뱀을 도와 얻은 복
할머니 잡아먹은 호랑이
대공산성과 칼
김주원 묘 찾기와 걱정재
보현사의 유래
부처 옮겨 부른 재앙
무월랑과 연화
원수 갚은 혼백
맹인과 친구 마누라
여자에게 속은 호랑이
해랑당 신
구리바위
등명 낙가사
기생바위와 선비
국사 서낭신과 강릉 단오제
우왕과 굴산사
범일국사 탄생담
제비 마을의 재앙
반석 바위와 와룡암
탑 쌓아 부자된 마을
육발 호랑이의 내기 두기
도깨비 장난
늑대와 여우의 피해
말탄봉과 용마
낙풍 마귀할멈 굴
낙풍에 얽힌 얘기들
쇠바위 전설
호랑바위 전설
송구봉의 출생담
구원병 얻어 온 지혜
처녀 원귀의 훼방
지장 도깨비
도래는 맞는데 질이는 짧다
오라버니 한 때 말 한 때
시루로 덮는 호식장
장모님 장모님 고루고루 색색
금진 개평의 물대기
도술로 들통난 아내의 위선
어머니 찾아 온 효자
아이 잡아먹은 부모
옥계의 지명 유래
진이 서낭당 유래
제주 솔과 용소
향호리와 땅재 지명 유래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권 장군의 만용
초나라 임금의 세 아들
말똥바위
못된 아내 효부 만들기
집안을 일으킨 어린 아들
지네 각시와 맺은 가연
아기 풍수 선생
꾀 많은 사위
정승 딸과 혼인한 거지
방화하여 얻은 업
백정 사위와 정승의 딸
시아버지가 된 친정 아버지
엉큼한 시아버지
소금강 주변의 지명 유래
귀신과 육효점
호랑이를 혼낸 장사
철갑산과 신선바위
화재룰 예방하는 불금바위
사찰 살린 불가사리
큰돌바위
정승의 양자
남의 복으로 누린 부귀
외가 정기 받은 허봉
강감찬의 안목과 위세
대명천자 탄생담
새털 우장 때문에 당한 파직
떡이 커서 퇴계 떡
율곡 살린 나도밤나무
독수리가 잡아준 명당
원정공의 한
즈므 마을 범골
김주원의 삼왕릉
우물 마셔야 나는 인재
송정과 왜군
불한당굼과 전주봉
영감 덕을 본 청년
대관령 여서낭신
경포호와 적곡합
호랑이 잡은 덕구
짝바위 전설
용미암의 용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國學資料院 , 1999.
형태사항
293 p. ; 23 cm.
내용주기
진이 서낭당 유래. - 제주 솔과 용소. - 향호리와 땅재 지명 유래. -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 권 장군의 만용. - 초나라 임금의 세 아들. - 말똥바위. - 못된 아내 효부 만들기. - 집안을 일으킨 어린 아들. - 지네 각시와 맺은 가연. - 아기 풍수 선생. - 꾀 많은 사위. - 정승 딸과 혼인한 거지. - 방화하여 얻은 업. - 백정 사위와 정승의 딸. - 시아버지가 된 친정 아버지. - 엉큼한 시아버지. - 소금강 주변의 지명 유래. - 귀신과 육효점. - 호랑이를 혼낸 장사. - 철갑산과 신선바위. - 화재룰 예방하는 불금바위. - 사찰 살린 불가사리. - 큰돌바위. - 정승의 양자. - 남의 복으로 누린 부귀. - 외가 정기 받은 허봉. - 강감찬의 안목과 위세. - 대명천자 탄생담. - 새털 우장 때문에 당한 파직. - 떡이 커서 퇴계 떡. - 율곡 살린 나도밤나무. - 독수리가 잡아준 명당. - 원정공의 한. - 즈므 마을 범골. - 김주원의 삼왕릉. - 우물 마셔야 나는 인재. - 송정과 왜군. - 불한당굼과 전주봉. - 영감 덕을 본 청년. - 대관령 여서낭신. - 경포호와 적곡합. - 호랑이 잡은 덕구. - 짝바위 전설. - 용미암의 용. - 호랑이 덕에 얻는 복. - 모기와 짚단. - 재산 물린 며느리. - 위촌리 바위 전설. - 개좃바위. - 대장골의 장수 바위. -묘자리 이야기. - 뒤바뀐 아내. - 명당자리 훔쳐 쓴 묘자리. - 청렴한 맹사성. - 음행속인 가짜 풍수. - 뱀을 도와 얻은 복. - 할머니 잡아먹은 호랑이. - 대공산성과 칼. - 김주원 묘 찾기와 걱정재. - 보현사의 유래. - 부처 옮겨 부른 재앙. - 무월랑과 연화. - 원수 갚은 혼백. - 맹인과 친구 마누라. - 여자에게 속은 호랑이. - 해랑당 신. - 구리바위. - 등명 낙가사. - 기생바위와 선비. - 국사 서낭신과 강릉 단오제. - 우왕과 굴산사. - 범일국사 탄생담. - 제비 마을의 재앙. - 반석 바위와 와룡암. - 탑 쌓아 부자된 마을. - 육발 호랑이의 내기 두기. - 도깨비 장난. - 늑대와 여우의 피해. - 말탄봉과 용마. - 낙풍 마귀할멈 굴. - 낙풍에 얽힌 얘기들. - 쇠바위 전설. - 호랑바위 전설. - 송구봉의 출생담. - 구원병 얻어 온 지혜. - 처녀 원귀의 훼방. - 지장 도깨비. - 도래는 맞는데 질이는 짧다. - 오라버니 한 때 말 한 때. - 시루로 덮는 호식장. - 장모님 장모님 고루고루 색색. - 금진 개평의 물대기. - 도술로 들통난 아내의 위선. - 어머니 찾아 온 효자. - 아이 잡아먹은 부모. - 옥계의 지명 유래.
ISBN
8982064249
청구기호
398.2095146 두811ㅎ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