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000nwmaa2200000 k | ||
001 | 0100582285▲ | ||
005 | 20221206145921▲ | ||
007 | oe ▲ | ||
008 | 221123s1860 ko kor ▲ | ||
040 | ▼a221016▲ | ||
041 | ▼akor▲ | ||
085 | 5 | ▼a5-1▼2四分改修法▲ | |
090 | ▼a5-1▲ | ||
245 | 0 | 0 | ▼a[簡札] /▼d趙性家 發信 ; ▼e鄭奎元 受信▲ |
250 | ▼a筆寫本▲ | ||
260 | ▼a[刊寫地未詳] :▼b[刊寫者未詳], ▼c哲宗 11(1860)▲ | ||
300 | ▼a1張 ;▼c32.2 x 48.5 cm ▲ | ||
500 | ▼a行草書임▲ | ||
500 | ▼a發信日: 1860년(철종 11) 2월 15일[보름, 망(望)]▲ | ||
500 | ▼a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
520 | 4 | ▼a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벗 지와(芝窩) 정규원(鄭奎元, 1818∼1877, 一名 冕敎ㆍ漢敎, 字 國喬, 號 芝窩, 本貫 海州)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봄이 이미 반 이상 지났는데 삼가 생각건대 고요하게 지내시는 체후(體候)의 기거(起居)가 어떠한지 묻고 또 지난번 백온(伯溫) 형(兄)을 만났는데 산골로 집을 이사할 계획은 반드시 이번 봄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들었다고 하였지만 아직도 소식을 듣지 못하고 있는데 그간 혹 중지한 것은 아닌지 묻고는, 자신은 상대방의 이웃이 되어 살게 될 것이라는 기대에 상대방이 자신이 사는 산골로 이사해올 것을 간절하게 바라고 있는데 가을을 기다려 한다면 오히려 사람들의 도움이 없이도 할 수 있다고 한 다음, 이어서 상대방이 과거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는 일에 대해 언급하였다.▲ | |
541 | ▼a월고문고▼b조몽(경상남도 양산시, 부산대의학과 교수)▼c기증▼d2020.6.26.▲ | ||
546 | ▼a한국한자임▲ | ||
650 | 4 | ▼a고문서▲ | |
653 | ▼a간찰▼a월고문고▼a月皐6-55▲ | ||
700 | 1 | ▼a조성가, ▼d1824-1904▼e발신▲ | |
700 | 1 | ▼a정규원, ▼d1818-1877▼e수신▲ |
[簡札]
자료유형
국내고서
서명/책임사항
[簡札] / 趙性家 發信 ; 鄭奎元 受信
판사항
筆寫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 哲宗 11(1860)
형태사항
1張 ; 32.2 x 48.5 cm
일반주기
行草書임
發信日: 1860년(철종 11) 2월 15일[보름, 망(望)]
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發信日: 1860년(철종 11) 2월 15일[보름, 망(望)]
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요약주기
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벗 지와(芝窩) 정규원(鄭奎元, 1818∼1877, 一名 冕敎ㆍ漢敎, 字 國喬, 號 芝窩, 本貫 海州)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봄이 이미 반 이상 지났는데 삼가 생각건대 고요하게 지내시는 체후(體候)의 기거(起居)가 어떠한지 묻고 또 지난번 백온(伯溫) 형(兄)을 만났는데 산골로 집을 이사할 계획은 반드시 이번 봄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들었다고 하였지만 아직도 소식을 듣지 못하고 있는데 그간 혹 중지한 것은 아닌지 묻고는, 자신은 상대방의 이웃이 되어 살게 될 것이라는 기대에 상대방이 자신이 사는 산골로 이사해올 것을 간절하게 바라고 있는데 가을을 기다려 한다면 오히려 사람들의 도움이 없이도 할 수 있다고 한 다음, 이어서 상대방이 과거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는 일에 대해 언급하였다.
언어주기
한국한자임
주제(일반주제명)
청구기호
5-1
원문 등 관련정보
관련 파일
해제
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벗 지와(芝窩) 정규원(鄭奎元, 1818∼1877, 一名 冕敎ㆍ漢敎, 字 國喬, 號 芝窩, 本貫 海州)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봄이 이미 반 이상 지났는데 삼가 생각건대 고요하게 지내시는 체후(體候)의 기거(起居)가 어떠한지 묻고 또 지난번 백온(伯溫) 형(兄)을 만났는데 산골로 집을 이사할 계획은 반드시 이번 봄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들었다고 하였지만 아직도 소식을 듣지 못하고 있는데 그간 혹 중지한 것은 아닌지 묻고는, 자신은 상대방의 이웃이 되어 살게 될 것이라는 기대에 상대방이 자신이 사는 산골로 이사해올 것을 간절하게 바라고 있는데 가을을 기다려 한다면 오히려 사람들의 도움이 없이도 할 수 있다고 한 다음, 이어서 상대방이 과거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는 일에 대해 언급하였다. 독실(篤實)한 상대방조차도 과거시험에 응시하는 일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상대방이 일찍이 외우던 우계(牛溪) 선생이 율곡(栗谷) 선생에 대한 만사(挽詞)에서 “관직이 없는 것이 어찌 좋지 않으랴, 일신이 한가하여 서책을 읽는다오.[無官豈不好 身閒且讀書]”라는 구절을 들고는 어찌하여 한가한 가운데 스스로 어지럽고 바쁜 일을 구하는 것이냐고 묻고, 또 호숙(胡宿)이 “부귀와 빈천은 명이 있지 아니함이 없으니 마땅히 몸을 닦아 조용히 기다릴 것이고 조물주의 비웃음을 받지 말아야 할 것이다.[富貴貧賤 莫不有命 當修身靜俟 而無爲造物者所嗤]”라고 한 말을 들어서 상대방의 과거시험 응시가 온당하지 못함을 완곡하게 지적하였다. 자신이 더는 과거시험에 응시하지 않기로 한 것은 명리(名利)를 좇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몸이 허약하기 때문에 지금 약물을 복용하는 것조차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인데, 이렇게 논란을 일으키는 말을 하게 되니 도리어 가소롭다고 하였다. 인편(人便)을 구해 회답해 주기를 바란다는 말로 서찰을 끝맺고 있다. 이 서찰은 경신년(庚申年, 1860, 철종11) 2월 15일[보름, 망(望)]에 발송하였다. 조성가의 월고집(月皐集) 권7에 「여정국교 경신(與鄭國喬 庚申)」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원본(原本)이고, 문집(文集)에 실린 것은 수록하는 과정에 내용 중 일부가 수정(修訂) 또는 산삭(刪削)되었다.
번역서
본문(本文), 봄이 이미 반 이상 지났는데 삼가 생각건대 고요하게 지내시는 체후(體候)의 기거(起居)가 어떠신지요? 지난번 백온(伯溫) 형(兄) 백온(伯溫) 형(兄): 최효숙(崔孝淑)의 자이다. 본관은 삭녕(朔寧)이다.
을 만났는데 산골짜기로 집을 옮길 계획은 반드시 이번 봄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들었다고 하였지만 아직도 소식을 듣지 못하고 있으니 그간에 혹 중지하신 것인지요? 바야흐로 왕한(王翰) 왕한(王翰): 당(唐)나라 시인이다. 병주(并州) 진양(晋陽) 출신으로 자(字)는 자우(子羽)이다. 성격이 호방하고 술을 즐기며 벗을 사귀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두보(杜甫, 712∼770)의 시 〈위 좌승에게 주다[贈韋左丞]〉에 “이옹은 나와 사귀기를 요구하고, 왕한은 내 이웃에 살기를 원하네.[李邕求面識, 王翰願卜鄰.]”라고 하였다. 상대방과 이웃해 살고 싶은 자신을 왕한에게 비긴 것이다.
에게 이웃에 살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에 간절하게 바라는 마음이 참으로 깊었습니다. 정초에 서찰로 부탁하신 것은 비록 부응할 물건이 없다는 뜻으로 답을 드렸지만 도모함에 어찌 마음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그간 한 가지 일이 있어서 가히 부탁하신 것을 헛되게 하지 않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또한 이미 늦고 말았으니 어찌하여 속히 도모하지 못한 것인지요. 만약 가을을 기다리려고 한다면 오히려 처리하기가 반드시 여유로울 것이고 마땅히 사람마다 도움을 주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서울로 가는 행차는 언제 출발하시는지요? 반드시 출발하지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형의 독실(篤實)함으로도 오히려 명리(名利)를 좇는데 급급함을 면치 못하니 진실로 저의 좁은 국량(局量)으로 가히 우러러 헤아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형은 일찍이 우계(牛溪) 선생이 율곡(栗谷) 선생에 대한 만사(挽詞) 우계(牛溪)……만사(挽詞) : 우계집(牛溪集) 권1의 「율곡에 대한 만사[挽栗谷]」을 말한다. 이 서찰에서 든 것은 그중 제1∼2구이다. 우계(牛溪) 선생은 성혼(成渾, 1535∼1598)으로 우계는 그의 호이고, 율곡(栗谷) 선생은 이이(李珥, 1536∼1584)로 율곡은 그의 호이다.
에서 “관직이 없는 것이 어찌 좋지 않으랴, 일신이 한가하여 서책을 읽는다오.[無官豈不好 身閒且讀書]”라는 구절을 외웠는데, 어찌하여 이에 한가한 가운데 스스로 어지럽고 바쁜 일을 구한 것인지요? 호숙(胡宿) 호숙(胡宿) : 995∼1067. 송(宋)나라 문신으로서 벼슬은 추밀부사(樞密副使)에 이르렀다.
이 말하기를 “부귀와 빈천은 명이 있지 아니함이 없으니 마땅히 몸을 닦아 조용히 기다릴 것이고 조물주의 비웃음을 받지 말아야 할 것이다.[富貴貧賤 莫不有命 當修身靜俟 而無爲造物者所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참으로 지론(至論)입니다. 가만히 형을 위해 외워드립니다. 제가 과거시험에 응시하는 일을 중지한 것은 감히 명리를 좇고 싶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몸이 허약하기 때문에 지금 약물을 복용하는 것조차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단지 이 메마르고 분란을 부르는 말씀을 드리게 되니 도리어 가소롭습니다. 인편(人便)을 구해 회답해 주기를 바랍니다. 나머지는 서찰을 보내는 법식(法式)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 착서(着署), 경신년(庚申年, 1860, 철종11) 2월 15일[보름, 망(望)]. 제(弟) 조성가(趙性家) 돈수돈수(頓首頓首) 돈수돈수(頓首頓首): 서찰의 끝 착서(着署) 뒤에 쓰는 투식(套式)으로서 재배(再拜, 올림)와 같은 말다. 돈수(頓首)는 머리를 조아려 공손하게 절한다는 뜻이다.
.
을 만났는데 산골짜기로 집을 옮길 계획은 반드시 이번 봄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들었다고 하였지만 아직도 소식을 듣지 못하고 있으니 그간에 혹 중지하신 것인지요? 바야흐로 왕한(王翰) 왕한(王翰): 당(唐)나라 시인이다. 병주(并州) 진양(晋陽) 출신으로 자(字)는 자우(子羽)이다. 성격이 호방하고 술을 즐기며 벗을 사귀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두보(杜甫, 712∼770)의 시 〈위 좌승에게 주다[贈韋左丞]〉에 “이옹은 나와 사귀기를 요구하고, 왕한은 내 이웃에 살기를 원하네.[李邕求面識, 王翰願卜鄰.]”라고 하였다. 상대방과 이웃해 살고 싶은 자신을 왕한에게 비긴 것이다.
에게 이웃에 살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에 간절하게 바라는 마음이 참으로 깊었습니다. 정초에 서찰로 부탁하신 것은 비록 부응할 물건이 없다는 뜻으로 답을 드렸지만 도모함에 어찌 마음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그간 한 가지 일이 있어서 가히 부탁하신 것을 헛되게 하지 않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또한 이미 늦고 말았으니 어찌하여 속히 도모하지 못한 것인지요. 만약 가을을 기다리려고 한다면 오히려 처리하기가 반드시 여유로울 것이고 마땅히 사람마다 도움을 주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서울로 가는 행차는 언제 출발하시는지요? 반드시 출발하지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형의 독실(篤實)함으로도 오히려 명리(名利)를 좇는데 급급함을 면치 못하니 진실로 저의 좁은 국량(局量)으로 가히 우러러 헤아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형은 일찍이 우계(牛溪) 선생이 율곡(栗谷) 선생에 대한 만사(挽詞) 우계(牛溪)……만사(挽詞) : 우계집(牛溪集) 권1의 「율곡에 대한 만사[挽栗谷]」을 말한다. 이 서찰에서 든 것은 그중 제1∼2구이다. 우계(牛溪) 선생은 성혼(成渾, 1535∼1598)으로 우계는 그의 호이고, 율곡(栗谷) 선생은 이이(李珥, 1536∼1584)로 율곡은 그의 호이다.
에서 “관직이 없는 것이 어찌 좋지 않으랴, 일신이 한가하여 서책을 읽는다오.[無官豈不好 身閒且讀書]”라는 구절을 외웠는데, 어찌하여 이에 한가한 가운데 스스로 어지럽고 바쁜 일을 구한 것인지요? 호숙(胡宿) 호숙(胡宿) : 995∼1067. 송(宋)나라 문신으로서 벼슬은 추밀부사(樞密副使)에 이르렀다.
이 말하기를 “부귀와 빈천은 명이 있지 아니함이 없으니 마땅히 몸을 닦아 조용히 기다릴 것이고 조물주의 비웃음을 받지 말아야 할 것이다.[富貴貧賤 莫不有命 當修身靜俟 而無爲造物者所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참으로 지론(至論)입니다. 가만히 형을 위해 외워드립니다. 제가 과거시험에 응시하는 일을 중지한 것은 감히 명리를 좇고 싶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몸이 허약하기 때문에 지금 약물을 복용하는 것조차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단지 이 메마르고 분란을 부르는 말씀을 드리게 되니 도리어 가소롭습니다. 인편(人便)을 구해 회답해 주기를 바랍니다. 나머지는 서찰을 보내는 법식(法式)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 착서(着署), 경신년(庚申年, 1860, 철종11) 2월 15일[보름, 망(望)]. 제(弟) 조성가(趙性家) 돈수돈수(頓首頓首) 돈수돈수(頓首頓首): 서찰의 끝 착서(着署) 뒤에 쓰는 투식(套式)으로서 재배(再拜, 올림)와 같은 말다. 돈수(頓首)는 머리를 조아려 공손하게 절한다는 뜻이다.
.
원서
春序已中 伏惟伏惟靜體起居何如 向見伯溫兄 聞峽計必不過了今春 而尙不聞消息 間或坐停耶 方擬與王翰結隣 懸望實深 正初所示 雖以無物未副之意答去 而謀豈不忠 間有一事 可以不虛成囑 而今亦已晩矣 何不速圖耶 若欲待秋 猶置必優 宜不待人人助矣 西行以何日啓程 必不得不發矣 以兄篤實 猶不免役役趨營 實非筲量所可仰度者也 兄嘗誦無官豈不好 身閒且讀書之句 而胡乃於閒中自求紛忙耶 胡宿有言曰 富貴貧賤 莫不有命 當修身靜俟 而無爲造物者所嗤 此眞至論也 竊爲兄誦之 弟之坐停 非敢不欲趍營 以榮衛之虛弱 方營服藥未果 祗爲此枯槁□端之論 還可一笑也 討便回答是望 餘不備
庚申二月望
弟 趙性家 頓首頓首
庚申二月望
弟 趙性家 頓首頓首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