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고전의 가치 속에서 느껴지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학과: 영어영문학과 이름:이*철, 선정연도: 2020
추천내용: 단테의 「신곡」을 읽어본 분이라면 다들 '베르길리우스' 라는 시인을 알 것이다. 지옥과 연옥을 여행을 하는 단테 옆에서 길잡이를 해주는 인물이다. 「아이네이스」는 그 베르길리우스가 지은 로마의 건국 서사시다. 트로이 전쟁에서 패배한, 트로이 장수 아이네아스가 모험을 하다가 이탈리아에 정착해서 원주민들과 전쟁하고, 그의 아들인 아스카니우스가 로마의 전신인 '알바 롱가' 라는 나라를 건국하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서사시의 구성이 재미있다.「오딧세이아」는 오딧세우스가 온갖 고난을 견디고 고향인 이타케로 돌아가는 구성인데, 「아이네이스」의 전반부는 아이네아스 일행이 온갖 고난을 견디고 이태리에 도착하는 구성이다.「일리아스」는 한 여자(헬레네)로 인해 그리스와 트로이가 전쟁을 하는 구성인데,「아이네이스」의 후반부는 한 여자(라비니아)로 인해 이태리 원주민과 아이네아스 일행이 전쟁을 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렇게 큰 구성 뿐만 아니라 작은 내용면에서도 「일리아스」와 「오딧세이아」를 차용한 부분이 많이 나타난다. 호메로스를 알고 읽는 것과 모르고 읽는 것이 천지차이일 정도로 대사, 내용, 구성 등에서 호메로스의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이런 호메로스의 영향에서 벗어난 장이 하나 있다. 바로 4장인 디도와 아이네아스의 사랑이야기다. 아이네아스를 보고 첫눈에 반한 카르타고의 디도여왕과 나라를 건국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떠나야만 하는 운명인 이 비극적인 러브스토리는 이 장 하나만으로도 2000년이 지난 「아이네이스」를 펼쳐볼 가치가 있게 한다. 아이네아스에게 버림받은 디도의 심리묘사는 정말이지 압권이어서 독자로 하여금 실연의 아픔을 생생하게 느끼게 할 정도다. 디도는 결국 자결을 하게 되는데, 뒷 장에 (오딧세우스처럼) 저승으로 내려간 아이네아스가, 디도에게 사랑의 말을 건네지만 디도가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 장면은 소름이 돋는다.

소장정보

도서예약
서가에없는책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자료배달신청
문자발송
청구기호출력
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