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691cgm a2200493 c 4500 | ||
001 | 0092105154▲ | ||
005 | 20230516112300▲ | ||
007 | vd cgaizs▲ | ||
008 | 130110s2011 ulk120 cvleng ▲ | ||
035 | ▼a(KERIS)BIB000012523720▲ | ||
040 | ▼a243001▼d221016▲ | ||
041 | 1 | ▼aeng▼beng▼bkor▲ | |
082 | 0 | 4 | ▼a172.2▼221▲ |
090 | ▼a172.2▼b2▲ | ||
100 | 1 | ▼aSandel, Michael J.,▼d1953-▲ | |
245 | 2 | 0 | ▼a(하버드 특강) 정의▼nDisc 4▼h[비디오녹화자료] /▼dMichael J. Sandel [강의] ;▼eEBS 기획▲ |
246 | 1 | 9 | ▼aJustice : ▼bwhat's the right thing to do?▲ |
246 | 3 | ▼aEBS하버드특강정의▲ | |
260 | ▼a[서울] :▼bEBS Media [공급] :▼b예인미디어 [DVD 제작],▼c2011▲ | ||
300 | ▼a비디오디스크 1매 (120분) :▼b유성, 천연색. ;▼c12 cm▲ | ||
306 | ▼a020000(2시간)▲ | ||
500 | ▼a레이블표제임▲ | ||
505 | 0 | 0 | ▼n07.▼t거짓말의 교훈 (A lesson in lying/A deal is a deal)▼g(60분) -- ▼n08.▼t공정한 출발 (What's a fair start?/What do we deserve?)▲ |
508 | ▼aProduced by Loen Kelly, David Paterson ; Director of Photography, Jan Maliszewski; Edited by Michael Rothenberg ; Music by John Keltonic, JDK Music.▲ | ||
511 | 8 | ▼a강의: 마이클 샌델▲ | |
520 | ▼a07. 거짓말의 교훈 - 임마누엘 칸트의 엄격한 도덕이론은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다. 칸트는 비록 '선의의 거짓말'이라도 거짓말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마이클 샌델은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칸트의 이론을 시험해보도록 한다. 또, 노골적인 거짓말과 상대를 오인하게 만드는 호도성 진술의 차이를 생각해본다. 이것을 통해 칸트가 말한, 진실을 말함으로써 도덕법(정언명령)을 준수하는 것이 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행동인지 살펴본다.또한, 현대철학자 존 롤스의 정의론을 살펴본다. 롤스에 따르면 정의의 원칙들은 실제계약이 아닌 '가상의 사회계약'으로부터만 도출될 수 있다. 실제계약은 각 이해세력의 출신배경이나 협상력, 지식의 차이와 같은 임의적 요소들이 개입되므로 항상 공정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를 공동으로 지배할 정의의 원칙들은 실제계약이 아닌 가상의 계약으로부터 도출된다. 마이클 샌델이 제시한 재미있는 사례들을 통해 공정한 계약이란 무엇인지, 정의의 원칙들은 어떻게 도출되는지 알아본다▲ | ||
520 | ▼a08. 공정한 출발 - 정의로운 분배원칙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존 롤스의 대답은 평등의 원칙과 차등의 원칙이다. 특히 차등의 원칙은 분배정의를 논하는 핵심으로 선천적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그 재능을 발휘해 얻은 이익의 일부를 사회적 약자를 돕는 일에 쓴다는 조건 하에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용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은데 자기소유나 노력, 동기부여를 강조하는 반박과 그에 대한 롤스의 대답이 설득력이 있는지 평가해본다. 또한, 지금까지 토론한 내용을 자유주의사회, 능력주의사회와 롤스의 평등이론으로 요약하고, 현대사회의 임금격차가 공정한지 토론해본다. 존 롤스는 개인이 성공하는 데는 후천적 노력과는 무관한, 도덕적으로 볼 때 자의적인 요소들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다고 한다. 이런 자의적 요소들이 분배의 기준이 된다면 그 원칙은 정당하다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공정한 분배정의는 무엇일까? 롤스는 분배의 문제를 도덕적 자격이 아닌 합법적 권한의 문제로 본다. 이 둘을 구분하는 도덕적 함의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 ||
521 | ▼a전체 관람가▲ | ||
538 | ▼aDVD ; 오디오, Dolby Digital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3, NTSC ; 디스크, Dual Layer▲ | ||
546 | ▼a사운드트랙: 영어 ; 자막: 한국어, 영어▲ | ||
653 | ▼a다큐멘터리▼a하버드특강▼a정의▼a정의론▼a명강의▼aJUSTICE▼a강의▼a거짓말▼a도덕이론▼a분배원칙▼a분배정의▲ | ||
700 | 1 | ▼aKant, Immanuel▲ | |
700 | 1 | ▼aRawls, John▲ | |
710 | ▼a한국교육방송공사▲ | ||
740 | ▼aLesson in lying▲ | ||
740 | ▼aDeal is a deal▲ | ||
740 | ▼aWhat's a fair start?▲ | ||
740 | ▼aWhat do we deserve?▲ | ||
900 | 1 | 0 | ▼a칸트, 임마누엘▲ |
900 | 1 | 0 | ▼a칸트, 이마누엘▲ |
900 | 1 | 0 | ▼a롤스, 존▲ |
910 | 1 | ▼aEBS▲ | |
910 | 1 | ▼a이비에스▲ | |
999 | ▼a이은해▼c이은해▲ |

(하버드 특강) 정의Disc 4[비디오녹화자료]
자료유형
국내비디오
서명/책임사항
(하버드 특강) 정의 Disc 4 [비디오녹화자료] / Michael J. Sandel [강의] ; EBS 기획
원서명
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부출서명
Lesson in lying
Deal is a deal
What's a fair start?
What do we deserve?
Deal is a deal
What's a fair start?
What do we deserve?
개인저자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EBS Media [공급] : 예인미디어 [DVD 제작] , 2011
형태사항
비디오디스크 1매 (120분) : 유성, 천연색. ; 12 cm
일반주기
레이블표제임
내용주기
07. 거짓말의 교훈 (A lesson in lying/A deal is a deal) (60분) -- 08. 공정한 출발 (What's a fair start?/What do we deserve?)
제작진주기
Produced by Loen Kelly, David Paterson ; Director of Photography, Jan Maliszewski; Edited by Michael Rothenberg ; Music by John Keltonic, JDK Music.
연주자와 배역진
강의: 마이클 샌델
요약주기
07. 거짓말의 교훈 - 임마누엘 칸트의 엄격한 도덕이론은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다. 칸트는 비록 '선의의 거짓말'이라도 거짓말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마이클 샌델은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칸트의 이론을 시험해보도록 한다. 또, 노골적인 거짓말과 상대를 오인하게 만드는 호도성 진술의 차이를 생각해본다. 이것을 통해 칸트가 말한, 진실을 말함으로써 도덕법(정언명령)을 준수하는 것이 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행동인지 살펴본다.또한, 현대철학자 존 롤스의 정의론을 살펴본다. 롤스에 따르면 정의의 원칙들은 실제계약이 아닌 '가상의 사회계약'으로부터만 도출될 수 있다. 실제계약은 각 이해세력의 출신배경이나 협상력, 지식의 차이와 같은 임의적 요소들이 개입되므로 항상 공정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를 공동으로 지배할 정의의 원칙들은 실제계약이 아닌 가상의 계약으로부터 도출된다. 마이클 샌델이 제시한 재미있는 사례들을 통해 공정한 계약이란 무엇인지, 정의의 원칙들은 어떻게 도출되는지 알아본다/08. 공정한 출발 - 정의로운 분배원칙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존 롤스의 대답은 평등의 원칙과 차등의 원칙이다. 특히 차등의 원칙은 분배정의를 논하는 핵심으로 선천적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그 재능을 발휘해 얻은 이익의 일부를 사회적 약자를 돕는 일에 쓴다는 조건 하에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용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은데 자기소유나 노력, 동기부여를 강조하는 반박과 그에 대한 롤스의 대답이 설득력이 있는지 평가해본다. 또한, 지금까지 토론한 내용을 자유주의사회, 능력주의사회와 롤스의 평등이론으로 요약하고, 현대사회의 임금격차가 공정한지 토론해본다. 존 롤스는 개인이 성공하는 데는 후천적 노력과는 무관한, 도덕적으로 볼 때 자의적인 요소들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다고 한다. 이런 자의적 요소들이 분배의 기준이 된다면 그 원칙은 정당하다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공정한 분배정의는 무엇일까? 롤스는 분배의 문제를 도덕적 자격이 아닌 합법적 권한의 문제로 본다. 이 둘을 구분하는 도덕적 함의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이용대상
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
DVD ; 오디오, Dolby Digital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3, NTSC ; 디스크, Dual Layer
언어주기
사운드트랙: 영어 ; 자막: 한국어, 영어
청구기호
172.2 2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