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447namka2200565 k 4500 | ||
001 | 0000613121▲ | ||
005 | 20180519232849▲ | ||
007 | ta▲ | ||
008 | 040618s2000 ulka 000a kor ▲ | ||
040 | ▼a 221016 ▼c 221016 ▼d 221016▲ | ||
082 | 0 | ▼a 320.951 ▼2 21▲ | |
090 | ▼a 320.951 ▼b A141▲ | ||
110 | ▼a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b 사무처▲ | ||
245 | 1 | 0 | ▼a 새 천년시대의 민족대화합/▼d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편].▲ |
260 | ▼a 서울:▼b 민주평화통일자문회,▼c 2000.▲ | ||
300 | ▼a 165 p.:▼b 삽도;▼c 22 cm.▲ | ||
500 | ▼a 「민주평통 」지령300호 기념 칼럼집▲ | ||
505 | 0 | ▼a 21세기 한민족 정체성과 열린 민족주의/임지현. - 새천년과 제2의 한민족 건설/임혁백. - 밀레니엄시대의 새로운 애국심/김용민. - 열린 민족주의를 제창한다/박효종. - 휴머니즘에 바탕한 민족주의/장의관. - 미국의 남북통합 사례가 주는 시사점/황혜성. - 민족대화합을 위한 남북한 공존공영/김인영. - 한민족 네트워크 공동체/전상인. - 새천년의 민족운동과 통일운동/김홍명. - 민족동질성 회복을 향한 새천년의 과제/함인희. - 민족화합의 21세기를 열며/임현진. - 민족대화합과 여성의 역할/백영옥. - 남북한 사이에 '제3의길'은 없는가/유팔무. - 정보네트워크 형성과 민족화합/서이종. - 신라와 고려의 민족통합정책 비교/김용선. -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제/양운철. - 평화운동으로서의 통일운동/박명규. - 전문가의 한계/김영명. - 한민족공동체라는 그림/김신동. - 열린 한민족 공동체/윤인진. - 민족통합의 사회학/이재열. - 50년간, 그리고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쟁/이재혁. - 아제는 심리적 통합을 준비할 띠/한성열. - 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형성 방향/정영훈. - 다문화 경험과 열려진 의식/정진성. - 남북화해는 성찰적 역사발전의 계기/장경섭. - 시민사회와 사회통합/송하중. - IMF3년의 회고와 고지/박길성. -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건설과 한민족 발전방안/성경륭. -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민족화해방안/임혁백.▲ | |
700 | 1 | ▼a 임지현/ ▼t 21세기 한 민족 정체성과 열린 민족주의▲ | |
700 | 1 | ▼a 임혁백/▼t 새천년과 제2의 한민족 건설▲ | |
700 | 1 | ▼a 김용민/▼t 밀레니엄시대의 새로운 애국심▲ | |
700 | 1 | ▼a 박효종/▼t 열린 민족주의를 제창한다▲ | |
700 | 1 | ▼a 장의관/▼t 휴머니즘에 바탕한 민족주의▲ | |
700 | 1 | ▼a 황혜성/▼t 미국의 남북통합 사례가 주의 시사점▲ | |
700 | 1 | ▼a 김인영/▼t 민족대화합을 위한 남북한 공존공영▲ | |
700 | 1 | ▼a 전상인/▼t 한민족 네트워크 공동체▲ | |
700 | 1 | ▼a 김홍명/▼t 새천년의 민족운동과 통일운동▲ | |
700 | 1 | ▼a 함인희/▼t 민족동질성 회복을 향한 새천년의 과제▲ | |
700 | 1 | ▼a 임현진/▼t 민족화합의 21세기를 열며▲ | |
700 | 1 | ▼a 백영옥/▼t 믹족대화합과 여성의 역할▲ | |
700 | 1 | ▼a 유팔무/▼t 남북한 사이에 '제3의 길'은 없는가▲ | |
700 | 1 | ▼a 서이종/▼t 정보네트워크 형성과 민족화합▲ | |
700 | 1 | ▼a 김용선/▼t 신라와고려의 민족통합정책 비교▲ | |
700 | 1 | ▼a 양운철/▼t 남부학 경제통합의 과제▲ | |
700 | 1 | ▼a 박명규/▼t 평화운동의서의 통일운동▲ | |
700 | 1 | ▼a 김영명/▼t 전문가의 한계▲ | |
700 | 1 | ▼a 김신동/▼t 한민족공동체라는 그림▲ | |
700 | 1 | ▼a 윤인진/▼t 열린 한민족 공동체▲ | |
700 | 1 | ▼a 이재열/▼t 민족통합의 사회학▲ | |
700 | 1 | ▼a 이재혁/▼t 50년간, 그리고 아지도 끝나지 않은 전쟁▲ | |
700 | 1 | ▼a 한성열/▼t 이제는 심리적 통합을 준비할 때▲ | |
700 | 1 | ▼a 정영훈/▼t 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형성 방향▲ | |
700 | 1 | ▼a 정진성/▼t 다문화 경험과 열려진 의식▲ | |
700 | 1 | ▼a 장경섭/▼t 남북화해는 성찰적 역사발전의 계기▲ | |
700 | 1 | ▼a 송하중/▼t 시민사회와 사회통합▲ | |
700 | 1 | ▼a 박길성/▼t IMF3년의 회고와 과제▲ | |
700 | 1 | ▼a 성경륭/▼t 한민족네트어크공동체 건설과 한민족 발전방안▲ | |
700 | 1 | ▼a 임혁백/▼t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민족화해방안▲ | |
950 | 1 | ▼a 비매품▲ | |
999 | ▼a 정지은▼b 박현우▲ |

새 천년시대의 민족대화합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새 천년시대의 민족대화합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편].
개인저자
임지현 / 21세기 한 민족 정체성과 열린 민족주의
임혁백 / 새천년과 제2의 한민족 건설
김용민 / 밀레니엄시대의 새로운 애국심
박효종 / 열린 민족주의를 제창한다
장의관 / 휴머니즘에 바탕한 민족주의
황혜성 / 미국의 남북통합 사례가 주의 시사점
김인영 / 민족대화합을 위한 남북한 공존공영
전상인 / 한민족 네트워크 공동체
김홍명 / 새천년의 민족운동과 통일운동
함인희 / 민족동질성 회복을 향한 새천년의 과제
임현진 / 민족화합의 21세기를 열며
백영옥 / 믹족대화합과 여성의 역할
유팔무 / 남북한 사이에 '제3의 길'은 없는가
서이종 / 정보네트워크 형성과 민족화합
김용선 / 신라와고려의 민족통합정책 비교
양운철 / 남부학 경제통합의 과제
박명규 / 평화운동의서의 통일운동
김영명 / 전문가의 한계
김신동 / 한민족공동체라는 그림
윤인진 / 열린 한민족 공동체
이재열 / 민족통합의 사회학
이재혁 / 50년간, 그리고 아지도 끝나지 않은 전쟁
한성열 / 이제는 심리적 통합을 준비할 때
정영훈 / 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형성 방향
정진성 / 다문화 경험과 열려진 의식
장경섭 / 남북화해는 성찰적 역사발전의 계기
송하중 / 시민사회와 사회통합
박길성 / IMF3년의 회고와 과제
성경륭 / 한민족네트어크공동체 건설과 한민족 발전방안
임혁백 /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민족화해방안
임혁백 / 새천년과 제2의 한민족 건설
김용민 / 밀레니엄시대의 새로운 애국심
박효종 / 열린 민족주의를 제창한다
장의관 / 휴머니즘에 바탕한 민족주의
황혜성 / 미국의 남북통합 사례가 주의 시사점
김인영 / 민족대화합을 위한 남북한 공존공영
전상인 / 한민족 네트워크 공동체
김홍명 / 새천년의 민족운동과 통일운동
함인희 / 민족동질성 회복을 향한 새천년의 과제
임현진 / 민족화합의 21세기를 열며
백영옥 / 믹족대화합과 여성의 역할
유팔무 / 남북한 사이에 '제3의 길'은 없는가
서이종 / 정보네트워크 형성과 민족화합
김용선 / 신라와고려의 민족통합정책 비교
양운철 / 남부학 경제통합의 과제
박명규 / 평화운동의서의 통일운동
김영명 / 전문가의 한계
김신동 / 한민족공동체라는 그림
윤인진 / 열린 한민족 공동체
이재열 / 민족통합의 사회학
이재혁 / 50년간, 그리고 아지도 끝나지 않은 전쟁
한성열 / 이제는 심리적 통합을 준비할 때
정영훈 / 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형성 방향
정진성 / 다문화 경험과 열려진 의식
장경섭 / 남북화해는 성찰적 역사발전의 계기
송하중 / 시민사회와 사회통합
박길성 / IMF3년의 회고와 과제
성경륭 / 한민족네트어크공동체 건설과 한민족 발전방안
임혁백 /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민족화해방안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민주평화통일자문회 , 2000.
형태사항
165 p. : 삽도 ; 22 cm.
일반주기
「민주평통 」지령300호 기념 칼럼집
내용주기
21세기 한민족 정체성과 열린 민족주의/임지현. - 새천년과 제2의 한민족 건설/임혁백. - 밀레니엄시대의 새로운 애국심/김용민. - 열린 민족주의를 제창한다/박효종. - 휴머니즘에 바탕한 민족주의/장의관. - 미국의 남북통합 사례가 주는 시사점/황혜성. - 민족대화합을 위한 남북한 공존공영/김인영. - 한민족 네트워크 공동체/전상인. - 새천년의 민족운동과 통일운동/김홍명. - 민족동질성 회복을 향한 새천년의 과제/함인희. - 민족화합의 21세기를 열며/임현진. - 민족대화합과 여성의 역할/백영옥. - 남북한 사이에 '제3의길'은 없는가/유팔무. - 정보네트워크 형성과 민족화합/서이종. - 신라와 고려의 민족통합정책 비교/김용선. -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제/양운철. - 평화운동으로서의 통일운동/박명규. - 전문가의 한계/김영명. - 한민족공동체라는 그림/김신동. - 열린 한민족 공동체/윤인진. - 민족통합의 사회학/이재열. - 50년간, 그리고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쟁/이재혁. - 아제는 심리적 통합을 준비할 띠/한성열. - 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형성 방향/정영훈. - 다문화 경험과 열려진 의식/정진성. - 남북화해는 성찰적 역사발전의 계기/장경섭. - 시민사회와 사회통합/송하중. - IMF3년의 회고와 고지/박길성. -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건설과 한민족 발전방안/성경륭. -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민족화해방안/임혁백.
청구기호
320.951 A141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