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060camka22004931 4500 | ||
001 | 0000059585▲ | ||
005 | 20180519022546▲ | ||
008 | 930724s1990 ulk 000a kor▲ | ||
020 | ▼a8942810675▼g94000▲ | ||
040 | ▼d221016▲ | ||
056 | ▼a813.509▲ | ||
082 | ▼a811.09▼221▲ | ||
090 | ▼a811.09▼b한17ㅎC▲ | ||
110 | ▼a한국고소설연구회▲ | ||
245 | 1 | 0 | ▼a韓國 古小說의 照明/▼d韓國古小說硏究會 編.▲ |
260 | ▼a서울 :▼b亞細亞文化社,▼c1990.▲ | ||
300 | ▼a513 p.;▼c23 cm.▲ | ||
440 | 0 | 0 | ▼a고소설연구총서;▼v제1집▲ |
505 | ▼a[金鰲神話]의 文學的 價値 / 蘇在英. - [안락국전]의 硏究 / 史在東. - [雲英傳]의 葛藤樣相에 반영된 作家意識 / 車溶柱. - [洪吉童傳]에 나타난 抵抗性考察 / 柳玗善. - [田禹治傳]의 道仙思想 硏究 / 催三龍. - [구운몽]의 주인공론 / 설성경. - [春香傳]의 人物構造로 본 社會的 性格 / 薛重煥. - [癸亥反正錄] 小考 / 閔泳大. - [李ㆍ趙兩門錄]硏究-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 李樹鳳. - [閔翁傳] 構成考 / 두창구. - [호섬전(虎蟾傳)]에 대하여 / 임성래. - 연암소설의 비극성-[허생전]을 중심으로 / 金明順. - 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 황패강. - 古小說의 變身모티프와 神話的 思惟 / 朴湧植. - [第一奇諺]에 대하여 / 정규복. - 列女傳의 受容樣相 考察-[謝 氏南征記]를 중심으로 / 禹快濟. - 實事의 小說化-[柳淵傳]을 중심으로 / 李憲洪. - [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 金光淳. - 釋息影菴의 정체와 그의 문학-息影은 德興君 혜이다 / 金鉉龍. - [별주부전] 漢文本考 / 印權煥. - 古小說의 異本硏究 / 崔雲植. - [호질]과 [의산문답]의 관련 / 김태준. - 일본人刊行 한글活字本 [催忠傳]考 / 柳譯一▲ | ||
700 | 1 | ▼a蘇在英▼t[金鰲神話]의 文學的 價値 / 蘇在英▲ | |
700 | 1 | ▼a史在東▼t[안락국전]의 硏究▲ | |
700 | 1 | ▼a車溶柱▼t[雲英傳]의 葛藤樣相에 반영된 作家意識▲ | |
700 | 1 | ▼a柳玗善▼t[洪吉童傳]에 나타난 抵抗性考察▲ | |
700 | 1 | ▼a催三龍▼t[田禹治傳]의 道仙思想 硏究▲ | |
700 | 1 | ▼a설성경▼t[구운몽]의 주인공론▲ | |
700 | 1 | ▼a薛重煥▼t[春香傳]의 人物構造로 본 社會的 性格▲ | |
700 | 1 | ▼a閔泳大▼t[癸亥反正錄] 小考▲ | |
700 | 1 | ▼a李樹鳳▼t[李ㆍ趙兩門錄]硏究-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 |
700 | 1 | ▼a두창구▼t閔翁傳] 構成考▲ | |
700 | 1 | ▼a임성래▼t[호섬전(虎蟾傳)]에 대하여▲ | |
700 | 1 | ▼a金明順▼t연암소설의 비극성-[허생전]을 중심으로▲ | |
700 | 1 | ▼a황패강▼t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 |
700 | 1 | ▼a朴湧植▼t古小說의 變身모티프와 神話的 思惟▲ | |
700 | 1 | ▼a정규복▼t[第一奇諺]에 대하여▲ | |
700 | 1 | ▼a禹快濟▼t列女傳의 受容樣相 考察-[謝 氏南征記]를 중심으로▲ | |
700 | 1 | ▼a李憲洪▼t實事의 小說化-[柳淵傳]을 중심으로▲ | |
700 | 1 | ▼a金光淳▼t[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 |
700 | 1 | ▼a金鉉龍▼t釋息影菴의 정체와 그의 문학-息影은 德興君 혜이다▲ | |
700 | 1 | ▼a印權煥▼t[별주부전] 漢文本考▲ | |
700 | 1 | ▼a崔雲植▼t古小說의 異本硏究▲ | |
700 | 1 | ▼a김태준▼t[호질]과 [의산문답]의 관련▲ | |
700 | 1 | ▼a柳譯一▼t일본人刊行 한글活字本 [催忠傳]考▲ | |
950 | ▼b₩9500▲ | ||
990 | ▼b권선영▲ |

韓國 古小說의 照明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韓國 古小說의 照明 / 韓國古小說硏究會 編.
개인저자
蘇在英 [金鰲神話]의 文學的 價値 / 蘇在英
史在東 [안락국전]의 硏究
車溶柱 [雲英傳]의 葛藤樣相에 반영된 作家意識
柳玗善 [洪吉童傳]에 나타난 抵抗性考察
催三龍 [田禹治傳]의 道仙思想 硏究
설성경 [구운몽]의 주인공론
薛重煥 [春香傳]의 人物構造로 본 社會的 性格
閔泳大 [癸亥反正錄] 小考
李樹鳳 [李ㆍ趙兩門錄]硏究-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두창구 閔翁傳] 構成考
임성래 [호섬전(虎蟾傳)]에 대하여
金明順 연암소설의 비극성-[허생전]을 중심으로
황패강 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朴湧植 古小說의 變身모티프와 神話的 思惟
정규복 [第一奇諺]에 대하여
禹快濟 列女傳의 受容樣相 考察-[謝 氏南征記]를 중심으로
李憲洪 實事의 小說化-[柳淵傳]을 중심으로
金光淳 [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金鉉龍 釋息影菴의 정체와 그의 문학-息影은 德興君 혜이다
印權煥 [별주부전] 漢文本考
崔雲植 古小說의 異本硏究
김태준 [호질]과 [의산문답]의 관련
柳譯一 일본人刊行 한글活字本 [催忠傳]考
史在東 [안락국전]의 硏究
車溶柱 [雲英傳]의 葛藤樣相에 반영된 作家意識
柳玗善 [洪吉童傳]에 나타난 抵抗性考察
催三龍 [田禹治傳]의 道仙思想 硏究
설성경 [구운몽]의 주인공론
薛重煥 [春香傳]의 人物構造로 본 社會的 性格
閔泳大 [癸亥反正錄] 小考
李樹鳳 [李ㆍ趙兩門錄]硏究-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두창구 閔翁傳] 構成考
임성래 [호섬전(虎蟾傳)]에 대하여
金明順 연암소설의 비극성-[허생전]을 중심으로
황패강 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朴湧植 古小說의 變身모티프와 神話的 思惟
정규복 [第一奇諺]에 대하여
禹快濟 列女傳의 受容樣相 考察-[謝 氏南征記]를 중심으로
李憲洪 實事의 小說化-[柳淵傳]을 중심으로
金光淳 [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金鉉龍 釋息影菴의 정체와 그의 문학-息影은 德興君 혜이다
印權煥 [별주부전] 漢文本考
崔雲植 古小說의 異本硏究
김태준 [호질]과 [의산문답]의 관련
柳譯一 일본人刊行 한글活字本 [催忠傳]考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亞細亞文化社 , 1990.
형태사항
513 p. ; 23 cm.
총서사항
고소설연구총서 ; 제1집
내용주기
[金鰲神話]의 文學的 價値 / 蘇在英. - [안락국전]의 硏究 / 史在東. - [雲英傳]의 葛藤樣相에 반영된 作家意識 / 車溶柱. - [洪吉童傳]에 나타난 抵抗性考察 / 柳玗善. - [田禹治傳]의 道仙思想 硏究 / 催三龍. - [구운몽]의 주인공론 / 설성경. - [春香傳]의 人物構造로 본 社會的 性格 / 薛重煥. - [癸亥反正錄] 小考 / 閔泳大. - [李ㆍ趙兩門錄]硏究-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 李樹鳳. - [閔翁傳] 構成考 / 두창구. - [호섬전(虎蟾傳)]에 대하여 / 임성래. - 연암소설의 비극성-[허생전]을 중심으로 / 金明順. - 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 황패강. - 古小說의 變身모티프와 神話的 思惟 / 朴湧植. - [第一奇諺]에 대하여 / 정규복. - 列女傳의 受容樣相 考察-[謝 氏南征記]를 중심으로 / 禹快濟. - 實事의 小說化-[柳淵傳]을 중심으로 / 李憲洪. - [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 金光淳. - 釋息影菴의 정체와 그의 문학-息影은 德興君 혜이다 / 金鉉龍. - [별주부전] 漢文本考 / 印權煥. - 古小說의 異本硏究 / 崔雲植. - [호질]과 [의산문답]의 관련 / 김태준. - 일본人刊行 한글活字本 [催忠傳]考 / 柳譯一
ISBN
8942810675
청구기호
811.09 한17ㅎC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