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167namka2200637 k 4500 | ||
001 | 0000579675▲ | ||
005 | 20180521075753▲ | ||
007 | ta▲ | ||
008 | 030926s2002 ulka 000a kor▲ | ||
020 | ▼a8952103408▲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411.5▼221▲ | |
090 | ▼a411.5▼b문43ㄱ▲ | ||
245 | 0 | 0 | ▼a문법과 텍스트/▼d고영근...[등저]▲ |
260 | ▼a서울:▼b서울대학교출판부,▼c2002.▲ | ||
300 | ▼aix, 793 p.:▼b삽도;▼c23 cm.▲ | ||
500 | ▼a이 책은 금산(金山) 고영근 선생의 정년퇴임을 기념하기 위한 논문집임▲ | ||
505 | 0 | ▼a문법과 텍스트과학/고영근. -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정관. - 훈민정음의 자소적 독창석/이상억. - 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이승재. -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권인한. - 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안상철. -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권경근. - 중세·근대 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이현희. - 11세기 문법 형태들을 찾아서/김영욱. -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구본관. - 단어를 바라보는 눈/시정곤. - 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채현식. -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김정남. - 형태소와 어소 재론/최형용. -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송원용. - 신어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김진형. -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이필영. - 선어말어미 ' -ナ-(-겨-)에 대하여/정재영.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한재영. -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최동주. -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연재훈. -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신선경. - '七(人)'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권용경. -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양정호. - {-느라(고)}에 대하여/이카라시, 고이치. - 간택스트성, 변형, 다시쓰기/박금자. -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장경희. -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이기갑. -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 」의 화자 문제/유동석. -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장소원. -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고성환. - 『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신지연. -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윤석민. -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이홍식. -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이은경. - 텍스트이론과 만화 /양명희.▲ | |
700 | 1 | ▼a고영근 /▼t문법과 텍스트과학▲ | |
700 | 1 | ▼a정관 /▼t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 |
700 | 1 | ▼a이상억 /▼t훈민정음의 자소적 독창성▲ | |
700 | 1 | ▼a이승재 /▼t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 | |
700 | 1 | ▼a권인한 /▼t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 | |
700 | 1 | ▼a안상철 /▼t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 | |
700 | 1 | ▼a권경근 /▼t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 | |
700 | 1 | ▼a이현희 /▼t중세 ·근대 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 |
700 | 1 | ▼a김영욱 /▼t11세기 문법 형태들을 찾아서▲ | |
700 | 1 | ▼a구본관 /▼t'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 |
700 | 1 | ▼a시정곤 /▼t단어를 바라보는 눈▲ | |
700 | 1 | ▼a채현식 /▼t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 | |
700 | 1 | ▼a김정남 /▼t'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 | |
700 | 1 | ▼a최형용 /▼t형태소와 어소 재론▲ | |
700 | 1 | ▼a송원용 /▼t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 | |
700 | 1 | ▼a김진형 /▼t신어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 | |
700 | 1 | ▼a이필영 /▼t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 |
700 | 1 | ▼a정재영 /▼t선어말어미 ' -ナ-(-겨-)에 대하여▲ | |
700 | 1 | ▼a한재영 /▼t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 |
700 | 1 | ▼a최동주 /▼t'-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 | |
700 | 1 | ▼a연재훈 /▼t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 | |
700 | 1 | ▼a신선경 /▼t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 | |
700 | 1 | ▼a권용경 /▼t'七(人)'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 |
700 | 1 | ▼a양정호 /▼t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 |
700 | 1 | ▼a이카라시, 고이치 /▼t{-느라(고)}에 대하여▲ | |
700 | 1 | ▼a박금자 /▼t간택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 |
700 | 1 | ▼a장경희 /▼t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 | |
700 | 1 | ▼a이기갑 /▼t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 | |
700 | 1 | ▼a유동석 /▼t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 」의 화자 문제▲ | |
700 | 1 | ▼a장소원 /▼t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
700 | 1 | ▼a고성환 /▼t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 |
700 | 1 | ▼a신지연 /▼t『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 |
700 | 1 | ▼a윤석민 /▼t『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 |
700 | 1 | ▼a이홍식 /▼t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 |
700 | 1 | ▼a이은경 /▼t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 | |
700 | 1 | ▼a양명희 /▼t텍스트이론과 만화▲ | |
950 | 0 | ▼b₩26000▲ | |
999 | ▼a도양희▼b도양희▲ |

문법과 텍스트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문법과 텍스트 / 고영근...[등저]
개인저자
고영근 / 문법과 텍스트과학
정관 /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이상억 / 훈민정음의 자소적 독창성
이승재 / 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
권인한 /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
안상철 / 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
권경근 /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
이현희 / 중세 ·근대 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김영욱 / 11세기 문법 형태들을 찾아서
구본관 /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시정곤 / 단어를 바라보는 눈
채현식 / 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
김정남 /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
최형용 / 형태소와 어소 재론
송원용 /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
김진형 / 신어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
이필영 /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정재영 / 선어말어미 ' -ナ-(-겨-)에 대하여
한재영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최동주 /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
연재훈 /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
신선경 /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
권용경 / '七(人)'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양정호 /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이카라시, 고이치 / {-느라(고)}에 대하여
박금자 / 간택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장경희 /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
이기갑 /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
유동석 /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 」의 화자 문제
장소원 /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고성환 /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신지연 / 『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윤석민 /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이홍식 /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이은경 /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
양명희 / 텍스트이론과 만화
정관 /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이상억 / 훈민정음의 자소적 독창성
이승재 / 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
권인한 /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
안상철 / 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
권경근 /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
이현희 / 중세 ·근대 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김영욱 / 11세기 문법 형태들을 찾아서
구본관 /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시정곤 / 단어를 바라보는 눈
채현식 / 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
김정남 /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
최형용 / 형태소와 어소 재론
송원용 /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
김진형 / 신어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
이필영 /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정재영 / 선어말어미 ' -ナ-(-겨-)에 대하여
한재영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최동주 /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
연재훈 /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
신선경 /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
권용경 / '七(人)'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양정호 /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이카라시, 고이치 / {-느라(고)}에 대하여
박금자 / 간택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장경희 /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
이기갑 /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
유동석 /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 」의 화자 문제
장소원 /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고성환 /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신지연 / 『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윤석민 /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이홍식 /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이은경 /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
양명희 / 텍스트이론과 만화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
형태사항
ix, 793 p. : 삽도 ; 23 cm.
일반주기
이 책은 금산(金山) 고영근 선생의 정년퇴임을 기념하기 위한 논문집임
내용주기
문법과 텍스트과학/고영근. -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정관. - 훈민정음의 자소적 독창석/이상억. - 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이승재. -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권인한. - 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안상철. -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권경근. - 중세·근대 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이현희. - 11세기 문법 형태들을 찾아서/김영욱. -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구본관. - 단어를 바라보는 눈/시정곤. - 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채현식. -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김정남. - 형태소와 어소 재론/최형용. -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송원용. - 신어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김진형. -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이필영. - 선어말어미 ' -ナ-(-겨-)에 대하여/정재영.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한재영. -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최동주. -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연재훈. -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신선경. - '七(人)'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권용경. -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양정호. - {-느라(고)}에 대하여/이카라시, 고이치. - 간택스트성, 변형, 다시쓰기/박금자. -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장경희. -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이기갑. -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 」의 화자 문제/유동석. -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장소원. -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고성환. - 『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신지연. -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윤석민. -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이홍식. -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이은경. - 텍스트이론과 만화 /양명희.
ISBN
8952103408
청구기호
411.5 문43ㄱ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