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769camka2200517 c 4500 | ||
001 | 0000469878▲ | ||
005 | 20180519213803▲ | ||
007 | ta▲ | ||
008 | 020308s2001 ulka 000a kor▲ | ||
020 | ▼a8972181773▼g94810▲ | ||
020 | 1 | ▼a8972181765 (세트)▲ | |
040 | ▼a221016▼d221016▲ | ||
085 | ▼a951.058▼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951.058▼b한17ㅅ▲ | ||
110 | ▼a한국학연구소▲ | ||
245 | 1 | 0 | ▼a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d한국학연구소 편▲ |
260 | ▼a서울 :▼b한양대학교출판부,▼c2001▲ | ||
300 | ▼a453 p. :▼b삽화 ;▼c23 cm▲ | ||
440 | 0 | 0 | ▼a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학술총서 ;▼v1▲ |
505 | 0 | ▼a우정의 윤리학과 진정성의 구조/박성순. - 北學思想과 洛論의 관계/김도환. - '過庭錄'에 나타난 연암의 몇 면모/김윤조. - 연암 박지원의 사유 방식/박수밀. - 李德懋의 농촌시에 대한 고찰/유재일. - '宋史筌'에 나타난 李德懋의 역사인식/김문식. - 朴齊家 詩의 사물·인간·사회/안대희. - 惠寰 李用休의 '眞' 문학론과 '眞'시/박준호. - 李用休 小品文의 미학/안대희. - 18세기 우정론의 맥락에서 본 이용휴의 生誌銘攷/정민. - 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하성래. - 이용휴 한시와의 대비로 본 李家煥 한시의 특징/김동준. - 楓石 徐有榘의 산문론/강명관. - '游藝志'에 나타난 19세기초 음악의 향유 양상/임미선. - 서유구의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박은순.▲ | |
700 | 1 | ▼a김도환.▼t北學思想과 洛論의 관계▲ | |
700 | 1 | ▼a김윤조.▼t'過庭錄'에 나타난 연암의 몇 면모▲ | |
700 | 1 | ▼a박수밀.▼t연암 박지원의 사유 방식▲ | |
700 | 1 | ▼a유재일.▼t李德懋의 농촌시에 대한 고찰▲ | |
700 | 1 | ▼a안대희.▼t朴齊家 詩의 사물·인간·사회▲ | |
700 | 1 | ▼a박준호.▼t惠寰 李用休의 '眞' 문학론과 '眞'시▲ | |
700 | 1 | ▼a안대희.▼t李用休 小品文의 미학▲ | |
700 | 1 | ▼a하성래.▼t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 | |
700 | 1 | ▼a강명관.▼t楓石 徐有榘의 산문론▲ | |
700 | 1 | ▼a박은순.▼t서유구의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 | |
700 | 1 | ▼a홍대용▲ | |
700 | 1 | ▼a박지원▲ | |
700 | 1 | ▼a이덕무▲ | |
700 | 1 | ▼a박제가▲ | |
700 | 1 | ▼a이용휴▲ | |
700 | 1 | ▼a이가환▲ | |
700 | 1 | ▼a서유구▲ | |
700 | 1 | ▼a임미선,▼g林美善,▼d1960-▼0280552▲ | |
700 | 1 | ▼a정민,▼g鄭珉,▼d1961-▼0222424▲ | |
700 | 1 | ▼a김문식,▼g金文植,▼d1962-▼0150179▲ | |
700 | 1 | ▼a김동준,▼g金東俊,▼d1968-▼0143749▲ | |
700 | 1 | ▼a박성순,▼g朴成淳,▼d1970-▼071417▲ | |
940 | ▼a십팔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 ||
940 | ▼a십팔세기 우정론의 맥락에서 본 이용휴의 생지명고▲ | ||
950 | 0 | ▼b₩13000▲ | |
999 | ▼a신주영▼b정영주▼c김정이▲ |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 한국학연구소 편
개인저자
김도환. 北學思想과 洛論의 관계
김윤조. '過庭錄'에 나타난 연암의 몇 면모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사유 방식
유재일. 李德懋의 농촌시에 대한 고찰
안대희. 朴齊家 詩의 사물·인간·사회
박준호. 惠寰 李用休의 '眞' 문학론과 '眞'시
안대희. 李用休 小品文의 미학
하성래. 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
강명관. 楓石 徐有榘의 산문론
박은순. 서유구의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
홍대용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이용휴
이가환
서유구
임미선 , 林美善 , 1960-
정민 , 鄭珉 , 1961-
김문식 , 金文植 , 1962-
김동준 , 金東俊 , 1968-
박성순 , 朴成淳 , 1970-
김윤조. '過庭錄'에 나타난 연암의 몇 면모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사유 방식
유재일. 李德懋의 농촌시에 대한 고찰
안대희. 朴齊家 詩의 사물·인간·사회
박준호. 惠寰 李用休의 '眞' 문학론과 '眞'시
안대희. 李用休 小品文의 미학
하성래. 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
강명관. 楓石 徐有榘의 산문론
박은순. 서유구의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
홍대용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이용휴
이가환
서유구
임미선 , 林美善 , 1960-
정민 , 鄭珉 , 1961-
김문식 , 金文植 , 1962-
김동준 , 金東俊 , 1968-
박성순 , 朴成淳 , 1970-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출판부 , 2001
형태사항
453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내용주기
우정의 윤리학과 진정성의 구조/박성순. - 北學思想과 洛論의 관계/김도환. - '過庭錄'에 나타난 연암의 몇 면모/김윤조. - 연암 박지원의 사유 방식/박수밀. - 李德懋의 농촌시에 대한 고찰/유재일. - '宋史筌'에 나타난 李德懋의 역사인식/김문식. - 朴齊家 詩의 사물·인간·사회/안대희. - 惠寰 李用休의 '眞' 문학론과 '眞'시/박준호. - 李用休 小品文의 미학/안대희. - 18세기 우정론의 맥락에서 본 이용휴의 生誌銘攷/정민. - 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하성래. - 이용휴 한시와의 대비로 본 李家煥 한시의 특징/김동준. - 楓石 徐有榘의 산문론/강명관. - '游藝志'에 나타난 19세기초 음악의 향유 양상/임미선. - 서유구의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박은순.
ISBN
8972181773
8972181765 (세트)
8972181765 (세트)
청구기호
951.058 한17ㅅ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