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612namka2200445 k 4500 | ||
001 | 0000421632▲ | ||
005 | 20180518235412▲ | ||
007 | ta▲ | ||
008 | 000412s1996 ulka 000a kor ▲ | ||
020 | ▼a 8971492457 ▼g 9390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951.02▼2 21▲ | |
090 | ▼a 951.02 ▼b 한17ㅎ▲ | ||
110 | 1 | ▼a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
245 | 1 | 0 | ▼a 韓國上古史의 諸問題/▼d 韓國精神文化硏究院 [편].▲ |
260 | ▼a 서울: ▼b 精神文化硏究院, ▼c 1996.▲ | ||
300 | ▼a 329 p.:▼b 삽도;▼c 26 cm.▲ | ||
490 | 0 | 0 | ▼a 報告論叢;▼v 87-1▲ |
505 | 0 | ▼a 新石器時代 韓國과 中國 遼寧地方과의 文化的 關聯性에 對하여/任孝宰. - 遼寧地方의 靑銅器文化/尹武炳. - 中國東北地方의 古墳/姜人求. - 考古學上으로 본 古朝鮮/金延鶴. - "新石器時代 韓國과 遼寧地方과의 文化的 關聯性"에 對하여/鄭澄元. - "遼寧地方의 靑銅器文化"에 대하여/林炳泰. - "中國東北地方의 古墳"에 대하여/崔茂藏. - "考古學上으로 본 古朝鮮"에 대하여/崔夢龍. - 古朝鮮의 몇가지 問題/千寬宇. - 古朝鮮의 疆域과 社會/尹乃鉉. - 檀君記事와 관련된 "古記"의 性格/金貞培. - 韓國古代國家起源論의 現段階/李基東. - 論評 1/林承國. - 論評 2/朴時仁. - 論評 3/徐永大. - 論評 4/朴成壽. -論評 5/丁仲煥. - 論評 6/徐榮洙▲ | |
700 | 1 | ▼a 임효재/▼t 신석기시대 한국과 중국 요녕지방과의 문화적 관련성에 대하여▲ | |
700 | 1 | ▼a 윤무병/▼t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 | |
700 | 1 | ▼a 강인구/▼t 중국동북지방의 고분▲ | |
700 | 1 | ▼a 김연학/▼t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 | |
700 | 1 | ▼a 정징원/▼t "신석기시대 한국과 요녕지방과의 문화적 관련성"에 대하여▲ | |
700 | 1 | ▼a 임병태/▼t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에 대하여▲ | |
700 | 1 | ▼a 최무장/▼t "중국동북지방의 고분"에 대하여▲ | |
700 | 1 | ▼a 최몽룡/▼t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에 대하여▲ | |
700 | 1 | ▼a 천관우/▼t 고조선의 몇가지 문제▲ | |
700 | 1 | ▼a 윤내현/▼t 고조선의 강역과 사회▲ | |
700 | 1 | ▼a 김정배/▼t 단국기사와 관련된 "고기"의 성격▲ | |
700 | 1 | ▼a 이기동/▼t 한국고대국가기원론의 현단계▲ | |
700 | 1 | ▼a 임승국/▼t 논평 1▲ | |
700 | 1 | ▼a 박시인/▼t 논평 2▲ | |
700 | 1 | ▼a 서영대/▼t 논평 3▲ | |
700 | 1 | ▼a 박성수/▼t 논평 4▲ | |
700 | 1 | ▼a 정중환/▼t 논평 5▲ | |
700 | 1 | ▼a 성영수/▼t 논평 6▲ | |
830 | 0 | ▼a 報告論叢(韓國精神文化硏究院);▼v 87-1▲ | |
950 | 0 | ▼b ₩13000▲ | |
999 | ▼b 도양희▲ |

韓國上古史의 諸問題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韓國上古史의 諸問題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편].
개인저자
임효재 / 신석기시대 한국과 중국 요녕지방과의 문화적 관련성에 대하여
윤무병 /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
강인구 / 중국동북지방의 고분
김연학 /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
정징원 / "신석기시대 한국과 요녕지방과의 문화적 관련성"에 대하여
임병태 /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에 대하여
최무장 / "중국동북지방의 고분"에 대하여
최몽룡 /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에 대하여
천관우 / 고조선의 몇가지 문제
윤내현 / 고조선의 강역과 사회
김정배 / 단국기사와 관련된 "고기"의 성격
이기동 / 한국고대국가기원론의 현단계
임승국 / 논평 1
박시인 / 논평 2
서영대 / 논평 3
박성수 / 논평 4
정중환 / 논평 5
성영수 / 논평 6
윤무병 /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
강인구 / 중국동북지방의 고분
김연학 /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
정징원 / "신석기시대 한국과 요녕지방과의 문화적 관련성"에 대하여
임병태 / "요녕지방의 청동기문화"에 대하여
최무장 / "중국동북지방의 고분"에 대하여
최몽룡 /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에 대하여
천관우 / 고조선의 몇가지 문제
윤내현 / 고조선의 강역과 사회
김정배 / 단국기사와 관련된 "고기"의 성격
이기동 / 한국고대국가기원론의 현단계
임승국 / 논평 1
박시인 / 논평 2
서영대 / 논평 3
박성수 / 논평 4
정중환 / 논평 5
성영수 / 논평 6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精神文化硏究院 , 1996.
형태사항
329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내용주기
新石器時代 韓國과 中國 遼寧地方과의 文化的 關聯性에 對하여/任孝宰. - 遼寧地方의 靑銅器文化/尹武炳. - 中國東北地方의 古墳/姜人求. - 考古學上으로 본 古朝鮮/金延鶴. - "新石器時代 韓國과 遼寧地方과의 文化的 關聯性"에 對하여/鄭澄元. - "遼寧地方의 靑銅器文化"에 대하여/林炳泰. - "中國東北地方의 古墳"에 대하여/崔茂藏. - "考古學上으로 본 古朝鮮"에 대하여/崔夢龍. - 古朝鮮의 몇가지 問題/千寬宇. - 古朝鮮의 疆域과 社會/尹乃鉉. - 檀君記事와 관련된 "古記"의 性格/金貞培. - 韓國古代國家起源論의 現段階/李基東. - 論評 1/林承國. - 論評 2/朴時仁. - 論評 3/徐永大. - 論評 4/朴成壽. -論評 5/丁仲煥. - 論評 6/徐榮洙
ISBN
8971492457
청구기호
951.02 한17ㅎ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