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593nam a2200637 k 4500 | ||
001 | 0000419743▲ | ||
005 | 20180520123858▲ | ||
007 | ta▲ | ||
008 | 000020s1999 ulk 000a kor ▲ | ||
020 | ▼a 894602643x▼g 94330▲ | ||
040 | ▼a 221016▼c 221016 ▼d 221016▲ | ||
041 | 1 | ▼a kor.▼h eng▲ | |
082 | 0 | ▼a 306▼2 21▲ | |
090 | ▼a 306▼b C968c한▲ | ||
245 | 0 | 0 | ▼a대중문화와 문화연구/▼d제임스 커런;▼e데이비드 몰리;▼e발레리 워커딘 [공]엮음;▼e백선기 옮김.▲ |
246 | 1 | 9 | ▼a Cultural studies and communications▲ |
260 | ▼a서울:▼b한울,▼c1999.▲ | ||
300 | ▼a670 p.;▼c23 cm.▲ | ||
440 | 0 | 0 | ▼a방송문화진흥총서;▼v26▲ |
505 | 0 | ▼a 의미작용,재현,이데올로기:알튀세르와 후기 구조주의자와의 논쟁/스튜어트 홀. -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폴 질로이. - 포스트모더니즘:개략적 입문/데이비드 몰리. - 불가능한 목적:숭고의 사회학을 향하여. - 예고 없이 변하는 주체:정신분석학,포스트모더니티 그리고 대중/발레리 워커딘.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재고찰/제임스 커런. - ≪모어!≫:소녀 및 여성 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안젤라 맥로비. - 록과 소울을 뒤이은 대중음악에 대한 재고찰/데이비드 헤스몬드할프. - 새로운 할리우드에 대한 접근들/이본느 태스커. - 페미니즘,테크놀러지 그리고 재현/사라 켐버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신수정주의:재평가/제임스 커런. - 대중주의,수정주의 그리고 '신'수용자연구/데이비드 몰리. - 미디어 대화:하나의 응답/제임스 커런. - 미디어대화:해석의 해석을 해석하기/데이비드 몰리. -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크리스틴 제라프티. - 대중문화 그리고 어린 소녀들의 에로틱화/발레리 워커딘. - 민속지학,인류학 그리고 문화연구:그 연계와 관계. -▲ | |
700 | 1 | ▼a 백선기▲ | |
700 | 1 | ▼a Curran, James▲ | |
700 | 1 | ▼a David, Morley▲ | |
700 | 1 | ▼a Walkerdine, Valerie▲ | |
700 | 1 | ▼a Hall, Stuart/▼t 의미작용,재현,이데올로기:알튀세르와 후기 구조주의자와의 논쟁▲ | |
700 | 1 | ▼a Gilroy, Paul/▼t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 | |
700 | 1 | ▼a Morley, David/▼t 포스트모더니즘:개략적 입문▲ | |
700 | 1 | ▼a Hebdige, Dick/▼t 불가능한 목적:숭고의 사회학을 향하여▲ | |
700 | 1 | ▼a Walkerdine, Valerie/▼t 예고 없이 변하는 주체:정신분석학,포스트모더니티 그리고 대중▲ | |
700 | 1 | ▼a Curran, James/▼t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재고찰▲ | |
700 | 1 | ▼a McRobbie, Angela/▼t ≪모어!≫:소녀 및 여성 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 | |
700 | 1 | ▼a Hesmondhalgh, David/▼t 록과 소울을 뒤이은 대중음악에 대한 재고찰▲ | |
700 | 1 | ▼a Tasker, Yvonne/▼t 새로운 할리우드에 대한 접근들▲ | |
700 | 1 | ▼a Kember, Sarah/▼t 페미니즘,테크놀러지 그리고 재현▲ | |
700 | 1 | ▼a Curran, James/▼t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신수정주의:재평가▲ | |
700 | 1 | ▼a Morley, David/▼t 대중주의,수정주의 그리고 '신'수용자연구▲ | |
700 | 1 | ▼a Curran, James/▼t 미디어 대화:하나의 응답▲ | |
700 | 1 | ▼a Morley, David/▼t 미디어 대화:해석의 해석을 해석하기▲ | |
700 | 1 | ▼a Geraghty, Christine/▼t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 |
700 | 1 | ▼a Walkerdine, Valerie/▼t 대중문화 그리고 어린 소녀들의 에로틱화▲ | |
700 | 1 | ▼a Stanton, Gareth/▼t 민속지학,인류학 그리고 문화연구:그 연계와 관계▲ | |
900 | 1 | 1 | ▼a 홀, 스튜어트▲ |
900 | 1 | 1 | ▼a 질로이, 폴▲ |
900 | 1 | 1 | ▼a 헵디지, 딕▲ |
900 | 1 | 1 | ▼a 커런, 제임스▲ |
900 | 1 | 1 | ▼a 맥로비, 안젤라▲ |
900 | 1 | 1 | ▼a 헤스몬드할프, 데이비드▲ |
900 | 1 | 1 | ▼a 태스커, 이본느▲ |
900 | 1 | 1 | ▼a 켐버, 사라▲ |
900 | 1 | 1 | ▼a 제라프티, 크리스틴▲ |
900 | 1 | 1 | ▼a 스탠튼, 거레스▲ |
900 | 1 | 1 | ▼a 커런, 제임스▲ |
900 | 1 | 1 | ▼a 몰리, 데이비드▲ |
900 | 1 | 1 | ▼a 워커딘, 발레리▲ |
950 | 0 | ▼b ₩25000▲ | |
999 | ▼a SYSTEM▼b장숙희▲ |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 제임스 커런 ; 데이비드 몰리 ; 발레리 워커딘 [공]엮음 ; 백선기 옮김.
원서명
Cultural studies and communications
개인저자
백선기
Curran, James
David, Morley
Walkerdine, Valerie
Hall, Stuart / 의미작용,재현,이데올로기:알튀세르와 후기 구조주의자와의 논쟁
Gilroy, Paul /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
Morley, David / 포스트모더니즘:개략적 입문
Hebdige, Dick / 불가능한 목적:숭고의 사회학을 향하여
Walkerdine, Valerie / 예고 없이 변하는 주체:정신분석학,포스트모더니티 그리고 대중
Curran, James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재고찰
McRobbie, Angela / ≪모어!≫:소녀 및 여성 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
Hesmondhalgh, David / 록과 소울을 뒤이은 대중음악에 대한 재고찰
Tasker, Yvonne / 새로운 할리우드에 대한 접근들
Kember, Sarah / 페미니즘,테크놀러지 그리고 재현
Curran, James /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신수정주의:재평가
Morley, David / 대중주의,수정주의 그리고 '신'수용자연구
Curran, James / 미디어 대화:하나의 응답
Morley, David / 미디어 대화:해석의 해석을 해석하기
Geraghty, Christine /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Walkerdine, Valerie / 대중문화 그리고 어린 소녀들의 에로틱화
Stanton, Gareth / 민속지학,인류학 그리고 문화연구:그 연계와 관계
Curran, James
David, Morley
Walkerdine, Valerie
Hall, Stuart / 의미작용,재현,이데올로기:알튀세르와 후기 구조주의자와의 논쟁
Gilroy, Paul /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
Morley, David / 포스트모더니즘:개략적 입문
Hebdige, Dick / 불가능한 목적:숭고의 사회학을 향하여
Walkerdine, Valerie / 예고 없이 변하는 주체:정신분석학,포스트모더니티 그리고 대중
Curran, James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재고찰
McRobbie, Angela / ≪모어!≫:소녀 및 여성 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
Hesmondhalgh, David / 록과 소울을 뒤이은 대중음악에 대한 재고찰
Tasker, Yvonne / 새로운 할리우드에 대한 접근들
Kember, Sarah / 페미니즘,테크놀러지 그리고 재현
Curran, James /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신수정주의:재평가
Morley, David / 대중주의,수정주의 그리고 '신'수용자연구
Curran, James / 미디어 대화:하나의 응답
Morley, David / 미디어 대화:해석의 해석을 해석하기
Geraghty, Christine /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
Walkerdine, Valerie / 대중문화 그리고 어린 소녀들의 에로틱화
Stanton, Gareth / 민속지학,인류학 그리고 문화연구:그 연계와 관계
발행사항
서울 : 한울 , 1999.
형태사항
670 p. ; 23 cm.
총서사항
방송문화진흥총서 ; 26
내용주기
의미작용,재현,이데올로기:알튀세르와 후기 구조주의자와의 논쟁/스튜어트 홀. -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폴 질로이. - 포스트모더니즘:개략적 입문/데이비드 몰리. - 불가능한 목적:숭고의 사회학을 향하여. - 예고 없이 변하는 주체:정신분석학,포스트모더니티 그리고 대중/발레리 워커딘.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재고찰/제임스 커런. - ≪모어!≫:소녀 및 여성 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안젤라 맥로비. - 록과 소울을 뒤이은 대중음악에 대한 재고찰/데이비드 헤스몬드할프. - 새로운 할리우드에 대한 접근들/이본느 태스커. - 페미니즘,테크놀러지 그리고 재현/사라 켐버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신수정주의:재평가/제임스 커런. - 대중주의,수정주의 그리고 '신'수용자연구/데이비드 몰리. - 미디어 대화:하나의 응답/제임스 커런. - 미디어대화:해석의 해석을 해석하기/데이비드 몰리. - 페미니즘과 미디어 소비/크리스틴 제라프티. - 대중문화 그리고 어린 소녀들의 에로틱화/발레리 워커딘. - 민속지학,인류학 그리고 문화연구:그 연계와 관계. -
ISBN
894602643x
청구기호
306 C968c한
원문 등 관련정보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