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570camka2200601 k 4500 | ||
001 | 0000418614▲ | ||
005 | 20240710131136▲ | ||
007 | ta▲ | ||
008 | 991229s1996 ulk 000a kor ▲ | ||
040 | ▼a211009 ▼c211009 ▼d221016▲ | ||
082 | 0 | ▼a811.09▼221▲ | |
090 | ▼a811.09 ▼b한17ㄱ▲ | ||
245 | 1 | 0 | ▼a韓國 古小說史의 視角 /▼d石軒 丁奎福 博士 古稀記念論叢 刊行委員會 編.▲ |
260 | ▼a서울 :▼b국학자료원,▼c1996.▲ | ||
300 | ▼a31, 994p. ;▼c23 cm.▲ | ||
505 | 0 | ▼a韓國古小說史의 技術方法에 대하여/丁奎福. - 韓國 漢文小說 簡史/張孝鉉.- 朝鮮朝 儒學者의 小說觀/金光淳. - 古小說의 作者에 대하여/吳春澤. - 朝鮮 後期 小說論에 있어 構成의 문제/鄭雨峰. - 朝鮮 後期의 貰冊 再論/大谷森繁. - 完山 李氏 『中國小說繪模本』에 대하여/朴在淵. - 國文小說과 俗惡性/黃浿江. -조선조의 교육과열 풍조에 대한 문학적 반응/金一烈. - 古小說에 나타난 어른(老人)의 태도 및 염원/李金喜. - 艶情小說에 나타난 愛情樣相攷/柳玗善. - 英雄小說의 神異敍事類型 硏究/朴湧植. - 국내 중국소설 자료와 최근의 소설연구개황/崔溶澈. - 국학의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ㆍ전망/이상택. - <元曉不覇>의 文學的 硏究/史在東. - 元昊와 <元生夢遊錄>/元容文. - <紅桃이야기>의 受容 敷衍樣相과 그 意味/申海鎭. - <운영전>의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정출헌. - 張維의 <氷壺先生傳>연구/鄭然峰. - <黃陵夢還記>硏究/禹快濟. - <薔花紅蓮傳>의 한 異本/金基鉉. - <東廂記>硏究/孫燦植. - <沈生傳>의 인문형상과 자가가의식/李尙九. - <심청전>의 용사상적 고찰/이혜화. - 변신형<두껍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변신의 의미/김기형. - <九雲夢>的 佛敎傾向/李岩. - <창선감의록>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무의식적 의미/姜祥淳. - 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심재숙. - <옥린몽>의 자가 고증과 이본 양상/정창권. - <현본쌍의록>연구(1)/田城芸. - <玉樓夢> -朝鮮王朝時期文學中的‘戰爭與和平’/韋旭昇.▲ | |
700 | 1 | ▼a정규복.▼t한국고소설사의 기술방법에 대하여▲ | |
700 | 1 | ▼a장효현.▼t한국 한문소설 간사▲ | |
700 | 1 | ▼a김광순.▼t조선조 유학자의 소설관▲ | |
700 | 1 | ▼a오춘택.▼t고소설의 작자에 대하여▲ | |
700 | 1 | ▼a정우봉.▼t조선 후기 소설론에 있어 구성의 문제▲ | |
700 | 1 | ▼a대곡, 삼번,▼g大谷森繁,▼d1932-▼0313306▲ | |
700 | 1 | ▼a박재연.▼t완산 이씨 『중국소설회모본』에 대하여▲ | |
700 | 1 | ▼a황패강.▼t국문소설과 속악성▲ | |
700 | 1 | ▼a김일열.▼t조선조의 교육과열 풍조에 대한 문학적 반응▲ | |
700 | 1 | ▼a이금희.▼t고소설에 나타난 어른(노인)의 태도 및 염원▲ | |
700 | 1 | ▼a유우선.▼t염정소설에 나타난 애정양상고▲ | |
700 | 1 | ▼a박용식.▼t영웅소설의 신이서사유형 연구▲ | |
700 | 1 | ▼a최용철.▼t국내 중국소설 자료와 최근의 소설연구개황▲ | |
700 | 1 | ▼a이상택.▼t국학의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ㆍ전망▲ | |
700 | 1 | ▼a사재동.▼t<원효불패>의 문학적 연구▲ | |
700 | 1 | ▼a원용문.▼t원호와 <원생몽유록>▲ | |
700 | 1 | ▼a신해진.▼t<홍도이야기>의 수용 부연양상과 그 의미▲ | |
700 | 1 | ▼a정출헌.▼t<운영전>의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 |
700 | 1 | ▼a정연봉.▼t장유의 <빙호선생전>연구▲ | |
700 | 1 | ▼a우쾌제.▼t<황능몽환기>연구▲ | |
700 | 1 | ▼a김기현.▼t<장화홍련전>의 한 이본▲ | |
700 | 1 | ▼a손찬식.▼t<동상기>연구▲ | |
700 | 1 | ▼a이상구.▼t<심생전>의 인문형상과 자가가의식▲ | |
700 | 1 | ▼a이혜화.▼t<심청전>의 용사상적 고찰▲ | |
700 | 1 | ▼a김기형.▼t변신형<두껍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변신의 의미▲ | |
700 | 1 | ▼a이암.▼t<구운몽>적 불교경향▲ | |
700 | 1 | ▼a강상순.▼t<창선감의록>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무의식적 의미▲ | |
700 | 1 | ▼a심재숙.▼t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 | |
700 | 1 | ▼a정창권.▼t<옥린몽>의 자가 고증과 이본 양상▲ | |
700 | 1 | ▼a전성운.▼t<현본쌍의록>연구(1)▲ | |
700 | 1 | ▼a위욱승.▼t<옥루몽>-조선왕조시기문학중적‘전쟁여화평’▲ | |
700 | 1 | ▼a정규복▲ | |
740 | ▼a석헌 정규복 박사 고희기념논총▲ | ||
900 | 1 | 1 | ▼a대곡삼번▲ |
900 | 1 | 1 | ▼a오타니, 모리시게▲ |
950 | 0 | ▼b₩35000▲ | |
999 | ▼b정영주▼c김수선▲ |

韓國 古小說史의 視角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韓國 古小說史의 視角 / 石軒 丁奎福 博士 古稀記念論叢 刊行委員會 編.
부출서명
석헌 정규복 박사 고희기념논총
개인저자
정규복. 한국고소설사의 기술방법에 대하여
장효현. 한국 한문소설 간사
김광순. 조선조 유학자의 소설관
오춘택. 고소설의 작자에 대하여
정우봉. 조선 후기 소설론에 있어 구성의 문제
대곡, 삼번 , 大谷森繁 , 1932-
박재연. 완산 이씨 『중국소설회모본』에 대하여
황패강. 국문소설과 속악성
김일열. 조선조의 교육과열 풍조에 대한 문학적 반응
이금희. 고소설에 나타난 어른(노인)의 태도 및 염원
유우선. 염정소설에 나타난 애정양상고
박용식. 영웅소설의 신이서사유형 연구
최용철. 국내 중국소설 자료와 최근의 소설연구개황
이상택. 국학의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ㆍ전망
사재동. <원효불패>의 문학적 연구
원용문. 원호와 <원생몽유록>
신해진. <홍도이야기>의 수용 부연양상과 그 의미
정출헌. <운영전>의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정연봉. 장유의 <빙호선생전>연구
우쾌제. <황능몽환기>연구
김기현. <장화홍련전>의 한 이본
손찬식. <동상기>연구
이상구. <심생전>의 인문형상과 자가가의식
이혜화. <심청전>의 용사상적 고찰
김기형. 변신형<두껍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변신의 의미
이암. <구운몽>적 불교경향
강상순. <창선감의록>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무의식적 의미
심재숙. 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
정창권. <옥린몽>의 자가 고증과 이본 양상
전성운. <현본쌍의록>연구(1)
위욱승. <옥루몽>-조선왕조시기문학중적‘전쟁여화평’
정규복
장효현. 한국 한문소설 간사
김광순. 조선조 유학자의 소설관
오춘택. 고소설의 작자에 대하여
정우봉. 조선 후기 소설론에 있어 구성의 문제
대곡, 삼번 , 大谷森繁 , 1932-
박재연. 완산 이씨 『중국소설회모본』에 대하여
황패강. 국문소설과 속악성
김일열. 조선조의 교육과열 풍조에 대한 문학적 반응
이금희. 고소설에 나타난 어른(노인)의 태도 및 염원
유우선. 염정소설에 나타난 애정양상고
박용식. 영웅소설의 신이서사유형 연구
최용철. 국내 중국소설 자료와 최근의 소설연구개황
이상택. 국학의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ㆍ전망
사재동. <원효불패>의 문학적 연구
원용문. 원호와 <원생몽유록>
신해진. <홍도이야기>의 수용 부연양상과 그 의미
정출헌. <운영전>의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정연봉. 장유의 <빙호선생전>연구
우쾌제. <황능몽환기>연구
김기현. <장화홍련전>의 한 이본
손찬식. <동상기>연구
이상구. <심생전>의 인문형상과 자가가의식
이혜화. <심청전>의 용사상적 고찰
김기형. 변신형<두껍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변신의 의미
이암. <구운몽>적 불교경향
강상순. <창선감의록>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무의식적 의미
심재숙. 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
정창권. <옥린몽>의 자가 고증과 이본 양상
전성운. <현본쌍의록>연구(1)
위욱승. <옥루몽>-조선왕조시기문학중적‘전쟁여화평’
정규복
발행사항
서울 : 국학자료원 , 1996.
형태사항
31, 994p. ; 23 cm.
내용주기
韓國古小說史의 技術方法에 대하여/丁奎福. - 韓國 漢文小說 簡史/張孝鉉.- 朝鮮朝 儒學者의 小說觀/金光淳. - 古小說의 作者에 대하여/吳春澤. - 朝鮮 後期 小說論에 있어 構成의 문제/鄭雨峰. - 朝鮮 後期의 貰冊 再論/大谷森繁. - 完山 李氏 『中國小說繪模本』에 대하여/朴在淵. - 國文小說과 俗惡性/黃浿江. -조선조의 교육과열 풍조에 대한 문학적 반응/金一烈. - 古小說에 나타난 어른(老人)의 태도 및 염원/李金喜. - 艶情小說에 나타난 愛情樣相攷/柳玗善. - 英雄小說의 神異敍事類型 硏究/朴湧植. - 국내 중국소설 자료와 최근의 소설연구개황/崔溶澈. - 국학의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ㆍ전망/이상택. - <元曉不覇>의 文學的 硏究/史在東. - 元昊와 <元生夢遊錄>/元容文. - <紅桃이야기>의 受容 敷衍樣相과 그 意味/申海鎭. - <운영전>의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정출헌. - 張維의 <氷壺先生傳>연구/鄭然峰. - <黃陵夢還記>硏究/禹快濟. - <薔花紅蓮傳>의 한 異本/金基鉉. - <東廂記>硏究/孫燦植. - <沈生傳>의 인문형상과 자가가의식/李尙九. - <심청전>의 용사상적 고찰/이혜화. - 변신형<두껍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변신의 의미/김기형. - <九雲夢>的 佛敎傾向/李岩. - <창선감의록>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무의식적 의미/姜祥淳. - 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심재숙. - <옥린몽>의 자가 고증과 이본 양상/정창권. - <현본쌍의록>연구(1)/田城芸. - <玉樓夢> -朝鮮王朝時期文學中的‘戰爭與和平’/韋旭昇.
청구기호
811.09 한17ㄱ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