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082camka2201129 k 4500 | ||
001 | 0000418329▲ | ||
005 | 20180520230139▲ | ||
007 | ta▲ | ||
008 | 991215s1999 ulka 000a kor ▲ | ||
020 | ▼a8970123253 ▼g03810▲ | ||
040 | ▼a211009 ▼c211009 ▼d221016▲ | ||
082 | 0 | ▼a811.1608▼221▲ | |
090 | ▼a811.1608▼b소67ㅁ▲ | ||
245 | 1 | 0 | ▼a소월시문학상 작품집▼n14 /▼d김정란...[등저] ▲ |
260 | ▼a서울 :▼b문학사상사,▼c1999.▲ | ||
300 | ▼a209 p. :▼b삽도 ;▼c21 cm.▲ | ||
505 | 0 | ▼a사랑으로 나는, 여자들 고요히 나뭇잎처럼, 천사, 눈물의 방, 單性(단성) 생식, 멀리서 온 발자국, 눈 내리는 마을, -낡은-푸댓자루를-끌고가다-만난- 보름달-과-초록-실-과-, 당신의 어깨, 나비의 꿈, 사랑, 이웃, 늦봄, 여자의 말-세기말 적극적인 죽음, 비, 여자의 말-연두색 잎사귀들과 낮은 태양, 건너편의 여자, 말에 의하여 깨어나는 짐승, 이미지들, 장난스러운 죽음, 그 잎사귀 바람 만지며 돌아누울 때, 홀로그램 / 김정란. - 푸른 자전거의 때, 능금밭 앞을 서성이다, 나락밭에 순금이 일면, 하동 포구에서 굽이굽이, 원두막 한 채를 치다, 겨울 남한강 길에서 / 고재종. - 흙 속의 풍경, 일곱 살 때의 독서, 갠지즈 강가에서,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가다, 어떤 그물, 사과밭을 지나며 / 나희덕. - 검은머리 동백, 동백의 등을 타고 오신 그대, 동백열차, 동백 선생, 山經(산경)에 가서 놀다, 山經 가는 길 / 송찬호. - 기찻소리를 듣는다, 갑오징어, 길, 정지된 표면, 눈보라, 무화과 / 이윤학. - 겨울 모과나무, 젖먹이 송아지가 젖 먹을 때 다른 젖 바꿔 물며 들이받는 힘, 감, 배[船]를 매며, 나주, 기별 / 장석남. - 강진 편지, 흰 책, 아(我)집을 관(棺)통하다, 자작나무 등치와 숟가락, 내 안 저놈들, 행복 / 정끝별. - 옥탑방, 횡단보도 앞에서, 귀향, 고향, 폐타이어, 논 속의 산 그림자 / 함민복. - 틈, 신륵사 목어, 강화도 시첩 2, 강화도 시첩 3, 남해금산 / 임영조.▲ | |
700 | 1 | ▼a김정란▲ | |
700 | 1 | ▼a고재종▲ | |
700 | 1 | ▼a나희덕▲ | |
700 | 1 | ▼a송찬호▲ | |
700 | 1 | ▼a이윤학▲ | |
700 | 1 | ▼a장석남▲ | |
700 | 1 | ▼a정끝별▲ | |
700 | 1 | ▼a함민복▲ | |
700 | 1 | ▼a임영조▲ | |
740 | ▼a옥탑방▲ | ||
740 | ▼a횡단보도 앞에서▲ | ||
740 | ▼a귀향▲ | ||
740 | ▼a고향▲ | ||
740 | ▼a폐타이어▲ | ||
740 | ▼a논 속의 산 그림자▲ | ||
740 | ▼a틈▲ | ||
740 | ▼a신륵사 목어▲ | ||
740 | ▼a강화도 시첩▲ | ||
740 | ▼a남해금산▲ | ||
740 | ▼a사랑으로 나는▲ | ||
740 | ▼a여자들 고요히 나뭇잎처럼▲ | ||
740 | ▼a천사▲ | ||
740 | ▼a눈물의 방▲ | ||
740 | ▼a단성 생식▲ | ||
740 | ▼a멀리서 온 발자국▲ | ||
740 | ▼a눈 내리는 마을▲ | ||
740 | ▼a낡은 푸댓자루를 끌고가다 만난 보름달과 초록 실과▲ | ||
740 | ▼a당신의 어깨▲ | ||
740 | ▼a나비의 꿈▲ | ||
740 | ▼a사랑, 이웃▲ | ||
740 | ▼a늦봄▲ | ||
740 | ▼a여자의 말▲ | ||
740 | ▼a세기말, 적극적인 죽음▲ | ||
740 | ▼a비▲ | ||
740 | ▼a연두색 잎사귀들과 낮은 태양▲ | ||
740 | ▼a건너편의 여자▲ | ||
740 | ▼a말에 의하여 깨어나는 짐승▲ | ||
740 | ▼a이미지들▲ | ||
740 | ▼a장난스러운 죽음▲ | ||
740 | ▼a그 잎사귀 바람 만지며 돌아누울 때▲ | ||
740 | ▼a홀로그램▲ | ||
740 | ▼a푸른 자전거의 때▲ | ||
740 | ▼a능금밭 앞을 서성이다▲ | ||
740 | ▼a나락밭에 순금이 일면▲ | ||
740 | ▼a하동 포구에서 굽이굽이▲ | ||
740 | ▼a원두막 한 채를 치다▲ | ||
740 | ▼a겨울 남한강 길에서▲ | ||
740 | ▼a흙 속의 풍경▲ | ||
740 | ▼a일곱 살 때의 독서▲ | ||
740 | ▼a갠지즈 강가에서▲ | ||
740 | ▼a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가다▲ | ||
740 | ▼a어떤 그물▲ | ||
740 | ▼a사과밭을 지나며▲ | ||
740 | ▼a검은머리 동백▲ | ||
740 | ▼a동백의 등을 타고 오신 그대▲ | ||
740 | ▼a동백열차▲ | ||
740 | ▼a동백 선생▲ | ||
740 | ▼a산경에 가서 놀다▲ | ||
740 | ▼a산경 가는 길▲ | ||
740 | ▼a기찻소리를 듣는다▲ | ||
740 | ▼a갑오징어▲ | ||
740 | ▼a길▲ | ||
740 | ▼a정지된 표면▲ | ||
740 | ▼a눈보라▲ | ||
740 | ▼a무화과▲ | ||
740 | ▼a겨울 모과나무▲ | ||
740 | ▼a젖먹이 송아지가 젖 먹을 때 다른 젖 바꿔 물며 들이받는 힘▲ | ||
740 | ▼a감▲ | ||
740 | ▼a배를 매며▲ | ||
740 | ▼a나주▲ | ||
740 | ▼a기별▲ | ||
740 | ▼a강진 편지▲ | ||
740 | ▼a흰 책▲ | ||
740 | ▼a아집을 관통하다▲ | ||
740 | ▼a자작나무 둥치와 숟가락▲ | ||
740 | ▼a내 안 저놈들▲ | ||
740 | ▼a행복▲ | ||
780 | 0 | 0 | ▼t소월시문학상 수상작품집▲ |
950 | 0 | 1 | ▼b₩5500▲ |
999 | ▼b신주영▲ |

소월시문학상 작품집14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14 / 김정란...[등저]
부출서명
옥탑방
횡단보도 앞에서
귀향
고향
폐타이어
논 속의 산 그림자
틈
신륵사 목어
강화도 시첩
남해금산
사랑으로 나는
여자들 고요히 나뭇잎처럼
천사
눈물의 방
단성 생식
멀리서 온 발자국
눈 내리는 마을
낡은 푸댓자루를 끌고가다 만난 보름달과 초록 실과
당신의 어깨
나비의 꿈
사랑, 이웃
늦봄
여자의 말
세기말, 적극적인 죽음
비
연두색 잎사귀들과 낮은 태양
건너편의 여자
말에 의하여 깨어나는 짐승
이미지들
장난스러운 죽음
그 잎사귀 바람 만지며 돌아누울 때
홀로그램
푸른 자전거의 때
능금밭 앞을 서성이다
나락밭에 순금이 일면
하동 포구에서 굽이굽이
원두막 한 채를 치다
겨울 남한강 길에서
흙 속의 풍경
일곱 살 때의 독서
갠지즈 강가에서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가다
어떤 그물
사과밭을 지나며
검은머리 동백
동백의 등을 타고 오신 그대
동백열차
동백 선생
산경에 가서 놀다
산경 가는 길
기찻소리를 듣는다
갑오징어
길
정지된 표면
눈보라
무화과
겨울 모과나무
젖먹이 송아지가 젖 먹을 때 다른 젖 바꿔 물며 들이받는 힘
감
배를 매며
나주
기별
강진 편지
흰 책
아집을 관통하다
자작나무 둥치와 숟가락
내 안 저놈들
행복
횡단보도 앞에서
귀향
고향
폐타이어
논 속의 산 그림자
틈
신륵사 목어
강화도 시첩
남해금산
사랑으로 나는
여자들 고요히 나뭇잎처럼
천사
눈물의 방
단성 생식
멀리서 온 발자국
눈 내리는 마을
낡은 푸댓자루를 끌고가다 만난 보름달과 초록 실과
당신의 어깨
나비의 꿈
사랑, 이웃
늦봄
여자의 말
세기말, 적극적인 죽음
비
연두색 잎사귀들과 낮은 태양
건너편의 여자
말에 의하여 깨어나는 짐승
이미지들
장난스러운 죽음
그 잎사귀 바람 만지며 돌아누울 때
홀로그램
푸른 자전거의 때
능금밭 앞을 서성이다
나락밭에 순금이 일면
하동 포구에서 굽이굽이
원두막 한 채를 치다
겨울 남한강 길에서
흙 속의 풍경
일곱 살 때의 독서
갠지즈 강가에서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가다
어떤 그물
사과밭을 지나며
검은머리 동백
동백의 등을 타고 오신 그대
동백열차
동백 선생
산경에 가서 놀다
산경 가는 길
기찻소리를 듣는다
갑오징어
길
정지된 표면
눈보라
무화과
겨울 모과나무
젖먹이 송아지가 젖 먹을 때 다른 젖 바꿔 물며 들이받는 힘
감
배를 매며
나주
기별
강진 편지
흰 책
아집을 관통하다
자작나무 둥치와 숟가락
내 안 저놈들
행복
발행사항
서울 : 문학사상사 , 1999.
형태사항
209 p. : 삽도 ; 21 cm.
내용주기
사랑으로 나는, 여자들 고요히 나뭇잎처럼, 천사, 눈물의 방, 單性(단성) 생식, 멀리서 온 발자국, 눈 내리는 마을, -낡은-푸댓자루를-끌고가다-만난- 보름달-과-초록-실-과-, 당신의 어깨, 나비의 꿈, 사랑, 이웃, 늦봄, 여자의 말-세기말 적극적인 죽음, 비, 여자의 말-연두색 잎사귀들과 낮은 태양, 건너편의 여자, 말에 의하여 깨어나는 짐승, 이미지들, 장난스러운 죽음, 그 잎사귀 바람 만지며 돌아누울 때, 홀로그램 / 김정란. - 푸른 자전거의 때, 능금밭 앞을 서성이다, 나락밭에 순금이 일면, 하동 포구에서 굽이굽이, 원두막 한 채를 치다, 겨울 남한강 길에서 / 고재종. - 흙 속의 풍경, 일곱 살 때의 독서, 갠지즈 강가에서,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가다, 어떤 그물, 사과밭을 지나며 / 나희덕. - 검은머리 동백, 동백의 등을 타고 오신 그대, 동백열차, 동백 선생, 山經(산경)에 가서 놀다, 山經 가는 길 / 송찬호. - 기찻소리를 듣는다, 갑오징어, 길, 정지된 표면, 눈보라, 무화과 / 이윤학. - 겨울 모과나무, 젖먹이 송아지가 젖 먹을 때 다른 젖 바꿔 물며 들이받는 힘, 감, 배[船]를 매며, 나주, 기별 / 장석남. - 강진 편지, 흰 책, 아(我)집을 관(棺)통하다, 자작나무 등치와 숟가락, 내 안 저놈들, 행복 / 정끝별. - 옥탑방, 횡단보도 앞에서, 귀향, 고향, 폐타이어, 논 속의 산 그림자 / 함민복. - 틈, 신륵사 목어, 강화도 시첩 2, 강화도 시첩 3, 남해금산 / 임영조.
선행저록
ISBN
8970123253
청구기호
811.1608 소67ㅁ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