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주제 | 역병에 맞선 조선시대 의서 |
---|---|
일 시 | 2022. 9. 1. ~ 9. 30. |
장 소 | 중앙도서관 3층 인문사회자료관 |
전시대상 | 조선시대에 간행된 의서 중 전염병 관련 문헌 |
전시내용 |
2020년 발생한 코로나 19로 인하여 우리는 아직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역병의 발생은 현재 뿐만 아니라 과거 조선시대에도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역병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의서들이 간행되어 유통되었는지 우리 도서관 고문헌자료실 소장자료를 통해 살펴봅시다. |
자료명 | 동의보감(東醫寶鑑) |
---|---|
저자/발행년 | 허준(許浚) / 英祖 30(1754) |
판사항 | 木板本 |
형태사항 | 25卷25冊 : 四周雙邊 半郭 24.7 ×16.8 ㎝, 有界, 10行24字 註雙行, 白口, 上下內向3葉花紋魚尾 ; 35.0 ×21.8 ㎝ |
자료소개 |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613년 선조(宣祖)의 명에 따라 허준(許浚, 1546~1615)이 편찬한 의학지식과 치료법에 관한 백과사전적 의서이다.
책은 인체의 내부 양생을 다룬 내경편(4책)과 인체 외부를 다룬 외경편(4책), 다양한 병을 다룬 잡병편(11책),약재를 다룬 탕액편(3책), 침과 뜸을 다룬 침구편(1책)으로 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동의보감(東醫寶鑑)』의 권차별 내용이며 잡병편(17책)에서 학질 등 전염병의 치료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권차별 내용 제1책(목록 상) 제2책(목록 하) 제3책(내경편 1) 신형(身形)·정(精)·기(氣)·신(神) 제4책(내경편 2) 혈(血)·몽(夢)·성음(聲音)·언어(言語) 등 제5책(내경편 3) 오장육부(五臟六腑)·간장(肝腸)·비장(脾臟) 등 제6책(내경편 4) 소변(小便)·대변(大便) 제7책(외형편 1) 두(頭)·면(面)·안(眼) 제8책(외형편 2) 이(耳)·비(鼻)·구설(口舌) 등 제9책(외형편 3) 흉(胷)·유(乳)·복(腹) 등 제10책(외형편 4) 수(手)·족(足)·모발(毛髮) 등 제11책(잡병편 1) 천지운기(天地運氣)·심병(審病)·변증(辨證) 등 제12책(잡병편 2) 풍(風)·한(寒) 제13책(잡병편 3) 한(寒)·서(暑)·습(濕)·조(燥) 등 제14책(잡병편 4) 내상(內傷)·허로(虛勞) 제15책(잡병편 5) 곽란(霍亂)·구토(嘔吐)·해수(咳嗽) 등 제16책(잡병편 6) 적취(積聚)·부종(浮腫)·창만(脹滿) 등 제17책(잡병편 7) 해학(痎瘧)·온역(瘟疫)·옹저(癰疽) 등 제18책(잡병편 8) 옹저(癰疽)·제창(諸瘡) 등 제19책(잡병편 9) 제상(諸傷)·해독(解毒)·구급(救急) 등 제20책(잡병편 10) 부인(婦人) 제21책(잡병편 11) 소아(小兒) 제22책(탕액편 1) 탕액서례(湯液序例)·수부(水部)·토부(土部) 등 제23책(탕액편 2) 어부(魚部)·충부(蟲部)·과부(果部) 등 제24책(탕액편 3) 초부(草部)·목부(木部)·곡부(穀部) 등 제25책(침구편) 『동의보감』은 국가 의료 사업으로 편찬된 최초의 의학서적이자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책으로 높이 평가되어 초간본 국립중앙도서관(25권 25책/보물 제1085호)과 한국학중앙연구원(25권 25책/보물 제1085-2호)이 2009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 책의 저자 허준은 『동의보감(東醫寶鑑)』외에도 임진왜란 중 창궐하는 전염병을 다스리기 위하여 『신찬벽온방』, 『벽역신방』, 『언해두창집요』등을 저술하였다. |
자료명 | 두진회통(痘疹會通) |
---|---|
저자/ 발행년 | 증향전(曾香田, 淸) 著 / 純祖 34(1834) |
판사항 | 木板本 |
형태사항 | 5卷4冊 : 揷圖, 上下單邊 左右雙邊 半郭 15.4 ×11.6 ㎝, 有界, 9行20字 註雙行, 花口, 上下向黑魚尾 ; 21.0 ×15.5 ㎝ |
자료소개 | 『두진회통(痘疹會通)』은 1786년에 중국 청나라 증향전(曾香田)이 편찬한 두창(痘瘡, 천연두)과 마진(麻疹, 홍역)에 관한 의서이다. 1834년 대구 영영(嶺營)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총 5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구성은 두원(痘原), 두진(痘疹)의 병변의 성질과 증상과(제1권~제3권), 치료방법(제4권~제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에서 두창(천연두)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기존의 종두법 외에도 청나라 의서를 입수해 다양한 치료를 시도하였음을 보여준다. |
자료명 | 보유신편(保幼新編) |
---|---|
저자/ 발행년 | 노광리(盧光履) 編/憲宗 11(1845)序 |
판사항 | 木板本 |
형태사항 | 1冊(不分卷) : 揷圖, 四周單邊 半郭 19.8 ×15.9 ㎝, 有界, 12行20字 註雙行,白口,上下內向2葉花紋魚尾 ; 28.1 ×19.0 ㎝ |
자료소개 | 『보유신편(保幼新編)』은 헌종 11년(1845) 노광리(盧光履, 1775-1856)가 편찬한 소아과 전문의서이다.
소아들의 각 병증을 운기(運氣)·유행(流行)·학질(瘧疾) 등 112항목으로 나누어 그 주요 병증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그것에 대한 약방문을 부기한 소아과 전문방서로서, 소아병목록·범례·운기유행법(運氣流行法)·처방 등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
자료명 | 신증증맥방약합편(新增證脈方藥合編) |
---|---|
저자/ 발행년 | 황필수(黃泌秀) / [高宗 22(1885)] |
판사항 | 木板本 |
형태사항 |
1冊 : 四周單邊 半郭 20.7 ×15.7 ㎝, 有界, 14行36字註雙行, 花口, 上下向黑魚尾 ; 27.2 ×18.4 ㎝
|
자료소개 | 『신증증맥방약합편(新增證脈方藥合編)』은 현공렴(玄公廉)이 황필수(黃泌秀)의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증정하여 간행된 의서다.
책의 본문 혜암심서방약합편(惠庵心書方藥合編)은 약의 효능(1단)과 약물의 사용법(2-4단)을 4단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단 : 약성가(藥性歌), 개별 약재의 효능을 쉽게 노래 형식으로 써놓은 것) 책의 내용 중 전염병 ‘학질’과 관련된 처방인 상통(上統) 육십익(六十益)에 하인음(何人飮)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처방 : 何人飮, 위와 같이 『방약합편(方藥合編)』은 임상에서 이용하기에 매우 간편하고 실용적이었기때문에 당시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활용되고 있다. |
자료명 | 손익본초(損益本草) |
---|---|
저자/ 발행년 | 황도연(黃度淵)/ [조선후기] |
판사항 | 筆寫本 |
형태사항 | 1冊 : 無界, 10行19字 註雙行 ; 27.9 ×17.6 ㎝ |
자료소개 | 『손익본초(損益本草)』는 조선시대 황도연(黃度淵)이 약재의 정보를 담고 있는 약성가(藥性歌)를 모아 만든 책으로 표지에는 약성가(藥性歌)로 묵서되어 있다.
『손익본초(損益本草)』에 나오는 약초 중 전염병과 관련된 약재인 ‘갈근’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葛根味甘解傷寒 酒毒溫瘧渴幷安 갈근은 맛이 달고 상한을 풀어주고 주독(술독)과 온학(학질)을 다스리고 번갈(갈증)도 멈추게 한다 『손익본초(損益本草)』의 약성가(藥性歌)는 약재에 대한 정보를 노래 형식으로 기록하여 독자로 하여금 약물의 성질과 효능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임상에서의 활용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였다. |
자료명 | 홍진방(紅疹方) |
---|---|
저자/ 발행년 | 未詳/ [조선후기] |
판사항 | 筆寫本 |
형태사항 | 1冊(缺帙) : 無界, 行字數不定 ; 22.4 ×21.8 ㎝ |
자료소개 | 홍진(紅疹)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유행성 전염병을 말한다. 이 책은 홍역(紅疫)에 대한 전통의학 처방을 담고 있는 저자 미상의 필사본 형태의 의서다. |
자료명 | 주촌신방(舟村新方) |
---|---|
저자/ 발행년 | 서우석(徐雨錫) 著/ 昭和 5(1930) |
판사항 | 新鉛活字本 |
형태사항 | 2卷1冊(全3卷2冊) : 四周雙邊 半郭 19.8 ×13.8 ㎝, 有界, 12行26字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 25.4 ×17.5 ㎝ |
자료소개 | 『주촌신방(舟村新方)』,은 숙종 13(1687년) 에 신만(申曼)이 저술한 의서(醫書)이다. 이 책은 1930년 충청북도 옥천에서 서우석이 3권 2책으로 발행한 것이다.
권차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 1권 : 소아편(小兒編), 소아의 치료 94문 이 중 제 3권 대인편에서는 학질(瘧疾)과 온역(瘟疫) 등 전염병의 대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소장본은 총 제 2-3권에 해당하는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