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19건

[ 학습 ] 켈스의 서
전 세계적으로 중세 기독교 예술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의 하나인 『켈스의 서(Book of Kells)』는 일반적으로 아일랜드의 역사가 남긴 가장 귀중한 보배로 간주된다. 서기 800년경에 제작된 이 책은 라틴어로 작성되었으며, 네 복음서와 예수의 전기, 그리고 몇몇 보충적인 텍스트가 들어 있다.

[ 학습 ] 조하리의 창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은 나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내가 어떤 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보여주고 어떤 면을 개선하면 좋을지를 보여주는 데 유용한 분석틀이다. 조하리의 창 이론은 조셉 러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햄(Harry Ingham)이라는 두 심리학자가 1955년에 한 논문에서 개발했다. 조하리(Johari)는 두 사람 이름의 앞부분을 합성해 만든 용어다. 1969년에 조셉 러프트가 쓴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Of Human Interaction)’에 보다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

[ 학습 ] 잡스 & 워즈니악
스티브 잡스는 1955년 2월 24일에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친부모는 당시 대학원생이고 미혼이었기 때문에 아이를 키울 수 없었고, 결국 그는 생후 몇 주 만에 양부모인 잡스 부부에게 입양되었다. 젊은 시절부터 환각제와 신비주의에 열중했고, 나중에는 선불교의 신봉자가 되었다. 대학을 중퇴한 직후에는 컴퓨터 게임 회사인 아타리에 취직했지만, 사실상 전자공학이나 컴퓨터에 대한 그의 지식은 그리 대단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탁월한 직관을 지닌 몽상가였고, 잔머리 굴리기에 능숙한 수완가였으며, 이런 성격은 훗날 그의 성공과 실패 모두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 학습 ] 음식의 역사
음식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이다. 음식은 곧 인간의 존재를 일차적으로 규정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잘생긴 사람도, 아무리 많은 돈과 권력을 가지고 있어도 먹지 않고는 유지할 수 없다. 그런데 음식은 단순히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사고에까지 영향을 준다. 결국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사람의 정신세계도 달라진다. 인간의 문화 중 중요한 부분은 음식의 산물이다. 그래서 음식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비례한다.

[ 학습 ] 모차르트의 오페라「이도메네오」
B.C. 1200년경 크레타 왕궁을 배경으로 한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오페라 [이도메네오]에서는 트로이 전쟁 직후의 상황을 보여줍니다. 트로이 프리아모스 왕의 딸인 일리아 공주(소프라노)는 전쟁 포로로 잡혀와 크레타 왕궁에 살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일리아 공주는 크레타 이도메네오 왕(테너)의 아들인 이다만테 왕자(테너 또는 메조소프라노)를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이다만테는 일리아에게 격정적으로 사랑을 고백하지만, 조국과 명예, 그리고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일리아는 자신의 사랑을 억제합니다.

[ 학습 ] 부산 사람도 모르는 부산이야기, 산만디
산이 많은 부산에는 산중턱에도 마을이 들어서 있다. 이 마을들을 따라 산허리에 해당하는 곳에 산복도로도 굽이굽이 이어져 있다. 부산 사람들은 산동네를 ‘산만디’라고 부른다. '만디'란 산이나 언덕의 정상을 뜻하는 말로 어느 곳에서나 제일 높은 곳을 가리키는 경상도 사투리다. 그래서 산중턱에 있는 마을은 ‘만디마을’이다. 도시 곳곳에서 재개발 붐이 불면서 부산의 옛 모습이 사라져 가고 있지만, 이곳만큼은 부산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 학습 ] 아우구스투스왕의 도자기에 대한 열망
숙종과 영조가 왕위에 있던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한양(서울)에서 직선거리로 약 8200km 떨어진 오늘날의 독일 동부 작센주 드레스덴에는 인기 많고 야심 만만한 왕이 있었다. 신성로마제국 하 작센의 선제후(選帝侯·황제 선거 자격을 가진 제후)이자 폴란드 왕이었던 ‘강건왕 아우구스투스(Augustus the Strong·1670~1733)’다. 그는 프랑스의 루이 14세(1643~1715)를 동경하며 절대 왕권을 꿈꿨고, 아름다운 것들을 소유함으로써 권위를 드러내려 했다. 웅장한 궁전을 짓고 독일 전역은 물론 유럽·아시아에서 수집한 보석·도자기·수공예품으로 그 안을 채웠다.

[ 학습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신입사원의 눈물 나는 패션계 ‘극한직업’을 다룬 영화 는 2006년 개봉되자마자 국내외 전역에서 대흥행을 거둔 작품이다. 를 본 모든 관객들이 혀를 내두르며 욕했던 ‘악마’, ‘미란다’가 사실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의 원작자인 로렌 와이스버거는 세계적인 패션지 ‘보그’에서 어시스턴트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집필했는데, 그때 로렌의 상사가 패션계의 교황이라고 불리던 안나 윈투어였고 그녀가 바로 ‘미란다’의 모티브가 되었다.

[ 학습 ] 일본 전국시대 흑인 사무라이 “야스케”
1500년대 일본 전국시대에 일본인을 주군으로 섬기던 흑인이 있었다. 이름은 “야스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군이었던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던 가신이었다. 전국시대에는 포르투갈이나 스페인 등 유럽인이 일본을 방문하게 되었고, 그때 “야스케”도 유럽인의 노예로서 일본에 오게 되었다.

[ 학습 ] 인공지능은 소설작가가 될 수 있을까?
2016년 일본에서는 AI가 쓴 SF 단편소설 이 호시 신이치 문학상의 1차 예심을 통과한 적이 있고, 2018년 국내에서 KT가 주관하는 '인공지능소설공모전'이 개최되기도 했다.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었던 소설 창작에 AI의 도전이 이뤄지고 있다. 인공지능의 글쓰기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창의성이 없다는 관점이 대부분이며, 인공지능의 소설 창작에 대하여 학계는 두 가지의 상반된 반응을 보여주었다. 그중 하나는 인공지능의 예술이란 창의라기에는 미흡한 의사(pseudo) 예술품을 대량 생산하는 작업이 될 것이고 예술적 글쓰기는 인간의 영역에 머물 것이라는 반응이고, 다른 하나는 창작 행위의 주도권이 인간에서 인공지능으로 넘어가기 시작했으며 인간이 만든 도구가 인간보다 훨씬 우월한 사고와 표현력을 지닌 창작의 주체가 될 것이라는 반응이다.

[ 학습 ] 손대지 않고 그림을 그리는 기술
사진술이 탄생하기 이전에 사물의 이미지를 기록하고 기억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림밖에 없었다. 하지만 당시 미술은 대부분 사물에 담긴 속성이나 진실을 드러내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대개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신(神)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만들어 그 자체를 숭배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 학습 ] 초연결 시대의 시작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