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A Style 작성법

[참고문헌 작성 #2]

MLA 스타일(MLA style)은 Modern Language Association에서 정한 문헌 작성 양식이다
1977년 초판 출간 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2016년에 8번째 판이 출판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인용 스타일 중 하나이며 인문학 분야(특히 언어학, 문학 등)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MLA 스타일 공식 사이트

기본 규칙

  • MLA 스타일내주(본문 내 간단 표기)참고문헌(상세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 본문에서 간략히 (저자명 페이지) 형태로 표시하고, 문헌의 완전한 정보는 참고문헌에서 찾는 방식이다
  • 영문 저자명은 본문에서는 성(Last Name)만 기재한다.
  • 본문에 인용한 부분을 표시할 때는 참고문헌 목록을 정확히 가리켜야 한다.
  • 본문에서는 “(저자명 페이지)” 형태로 저자명과 페이지 번호를 함께 표기한다.
  • 2차 문헌(재인용)은 권장하지 않으나 불가피할 경우 “qtd. in”(영어) 또는 “재인용”(한국어)로 표기한다.
  • 참고문헌에서는 저자, 표제, 출판사, 출판연도 등 요소를 순서대로 작성한다
  • 영어의 경우 참고문헌에서는 성(Last Name, Surname), 이름(First Name, Given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서로 표기한다.
  • 한국어의 경우 참고문헌에서는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 일반적인 경우 표제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표제는 타이틀 페이지에 나타난 대로 표기한다.

Tip> 본문에 표기하는 방식을 내주(In-text Citation), 페이지 하단에 표기하는 방식을 각주(Footnote), 논문의 끝부분에 표기하는 방식을 미주(Endnote)라고 한다.

본문에서 작성 예시
  • ~에 의하면… (John 100).
  • ~에 의하면… (한강 100).
  • (qtd. in John 100)
  • (한강 100 재인용)
  • (Hemingway and Rolling 20)
  • (정해연, 조영주 35)
  • (Hemingway et al. 45)
  • (한강 외 100)
참고문헌에서 작성 예시
  • Hemingway, Ernest Miller.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1952.
  •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1996.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두 명일 때(영어의 경우)
  • 저자가 두 명일 때 타이틀 페이지표기된 순서대로 저자를 나열한다.
  • 첫번째 저자는 성, 이름, 중간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 두번째 저자는 이름, 중간이름, 성 순서로 표기한다.
  • 저자를 나열할 때 사이에 ‘and‘를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두 명일 때(한국어의 경우)
  • 저자가 두 명일 때 타이틀 페이지에 표기된 순서대로 저자나열한다.
  • 모든 저자는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합니다.
  • 저자를 나열할 때 사이에 ‘쉼표‘를 표기합니다.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두 명일 때(영어) 작성 예시
  • Hemingway, Ernest Miller and Joanna Rolling.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1952.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두 명일 때(한국어) 작성 예시
  • 김영하, 김철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1996.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세 명 이상일 때(영어의 경우)
  • 첫번째 저자만 표시.
  • 첫번째 저자는 성, 이름, 중간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 첫번째 저자를 표기한 다음 ‘el al.‘을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세 명 이상일 때(한국어의 경우)
  • 첫번째 저자만 표시.
  •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 첫번째 저자를 표기한 다음 ‘‘을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세 명 이상일 때(영어) 작성 예시
  • Hemingway, Ernest Miler et al.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1952.
참고문헌에서 저자가 세 명 이상일 때(한국어) 작성 예시
  • 김영하 외.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1996.

단행본

단행본은 책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며 참고문헌에서 작성 순서는 “저자. 제목. 출판사, 연도.” 순으로 작성한다

  • 단독 저자: 영어는 “성, 이름.” / 한국어는 “성이름.”
  • 두 명: 영어는 “성, 이름 and 이름 성.” / 한국어는 “성이름, 성이름.”
  • 세 명 이상: 영어는 “첫 저자, et al.” / 한국어는 “첫 저자 외.”
  • MLA에서는 표제를 이탤릭체로 작성
  • 예: The Old Man and the Sea,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영어 단독저자:  (Hemingway 23).
  • 영어 저자 2명:  (Hemingway and Rolling 45).
  • 영어 저자 3명 이상:  (Hemingway et al. 55).
  • 한국어 단독저자: (김영하 33)
  • 한국어 저자 2명: (김영하, 김철수 4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영하 외 77).

참고문헌에서 예시

  • 영어 단독저자: Hemingway, Ernest. The Old Man and the Sea. Scribner, 1952.
  • 영어 저자 2명: Hemingway, Ernest and Joanna Rolling. Adventures at Sea. Scribner, 2023.
  • 영어 저자 3명 이상: Hemingway, Ernest, et al. New Tales of the Sea. Scribner, 2025.
  • 한국어 단독저자: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1996.
  • 한국어 저자 2명: 김영하, 김철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2023.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영하 외.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2024.
단행본의 일부(챕터 등)
  • 책의 일부(챕터나 특정 글)의 저자를 먼저 표기.
  • 만약 책에서 특정 저자의 글만 인용한다면 “저자. ‘챕터 제목.’ 책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형태로 쓸 수 있음.
  • 책의 부분/챕터 제목은 큰따옴표(“ ”)로 표기
  • “Map of Cuba,” “마라의 죽음” 등

본문(내주) 예시

  • 영어 단독저자:  (Hemingway 23).
  • 영어 저자 2명:  (Hemingway and Rolling 45).
  • 영어 저자 3명 이상:  (Hemingway et al. 55).
  • 한국어 단독저자: (김영하 33)
  • 한국어 저자 2명: (김영하, 김철수 4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영하 외 77).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Hemingway, Ernest. “Map of Cuba.” The Old Man and the Sea, Scribner, 1952, pp. 10–20.
  • 영어 저자 2명: Hemingway, Ernest and Joanna Rolling. “Discovering Islands.” Adventures at Sea, Scribner, 2023, pp. 15–30.
  • 영어 저자 3명 이상: Hemingway, Ernest, et al. “Exploring the Depths.” New Tales of the Sea, Scribner, 2025, pp. 40–60.
  • 한국어 단독저자: 김영하. “마라의 죽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1996, pp. 55–70.
  • 한국어 저자 2명: 김영하, 김철수. “마라의 죽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2023, pp. 90–10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영하 외. “마라의 죽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2024, pp. 100–120.

연속간행물(저널, 학술대회논문집 등)

  • 학술지, 저널 등 연속간행물에 등재된 논문의 표기 방법으로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 형식은 저자. “표제”. 정기간행물명, vol.##, no.##, 출판연도, PP-PP

본문(내주) 예시

  • 영어 단독저자: (Peng 26)
  • 영어 저자 2명: (Peng and Locke 33)
  • 영어 저자 3명 이상: (Peng et al. 40)
  • 한국어 단독저자: (홍길동 15)
  • 한국어 저자 2명: (홍길동, 김철수 27)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홍길동 외 35)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Peng, Gang. “Do computer skills affect worker employ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74, no. 1, 2017, pp. 26–34.
  • 영어 저자 2명: Peng, Gang and John Locke. “Advanced AI Trend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80, no. 2, 2019, pp. 33–45.
  • 영어 저자 3명 이상: Peng, Gang, et al. “Neural Networks and Employ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85, no. 3, 2021, pp. 40–50.
  • 한국어 단독저자: 홍길동. “고래생태관광 활성화방안.”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2017, no. 4, 2017, pp. 63–63.
  • 한국어 저자 2명: 홍길동, 김철수. “국내 어업 동향 분석.” 한국해양학술지, vol. 2020, no. 3, 2020, pp. 100–11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홍길동 외. “연근해 어업의 미래.” 해양연구논문집, vol. 2021, no. 2, 2021, pp. 50–60.

학위논문

  • 형식은 저자. 표제, 출판연도. 대학명, 학위명. 기재한다.
  • 논문의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 대학명은 대학교의 이름을 먼저 기재하고 다음으로 학위 과정을 기재한다.

본문(내주) 예시

  • 영어 단독저자: (Choudhury 15)
  • 영어 저자 2명: (Choudhury and Carter 20)
  • 영어 저자 3명 이상: (Choudhury et al. 30)
  • 한국어 단독저자: (김민송 33)
  • 한국어 저자 2명: (김민송, 이철수 5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민송 외 70)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Choudhury, Parichoy Pal. Statistical Inference with Multiple Data Sources. 20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octorate.
  • 영어 저자 2명: Choudhury, Parichoy Pal and Mike Carter. Advanced Biostatistics Research. 2018. Harvard University, Doctorate.
  • 영어 저자 3명 이상: Choudhury, Parichoy Pal, et al. Data Integration in Neuroscience. 2020. MIT, Doctorate.
  • 한국어 단독저자: 김민송. AI 학습 보조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효과 분석. 2024.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 한국어 저자 2명: 김민송, 이철수. 고등학교 화학 과목 원자모형 학습 중심 연구. 2025.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김민송 외. 초등과학 교재 개선방안 연구. 2026.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보고서

  • 영어 형식은 저자. 표제. 출판사, 출판연도. report num.: 보고서 번호 표기한다 
  • 한국어 형식은 저자. 표제. 출판사, 출판연도. 보고서 번호: 보고서 번호 표기한다
  •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본문(내주) 예시

  • 영어 단독저자: (Roth 5)
  • 영어 저자 2명: (Roth and Nelson 12)
  • 영어 저자 3명 이상: (Roth et al. 20)
  • 한국어 단독저자: (황영우 33)
  • 한국어 저자 2명: (황영우, 박철수 50)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황영우 외 99)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Roth, Bryan L. DREADDs for Neuroscientist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7, report num.: r20171012.
  • 영어 저자 2명: Roth, Bryan L. and Adam Nelson. New Approaches in Neuroscien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0. report num.: r20200055.
  • 영어 저자 3명 이상: Roth, Bryan L., et al. Neural Signal Analysis. NIH, 2022. report num.: r20220077.
  • 한국어 단독저자: 황영우. 부산광역시 해안역 활용과 보존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16. 보고서 번호: 2016-10.
  • 한국어 저자 2명: 황영우, 박철수. 도시재생과 해안환경 관리. 부산발전연구원, 2018. 보고서 번호: 2018-03.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황영우 외. 해안도시의 지속가능성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21. 보고서 번호: 2021-02.

생성형AI, ChatGPT

MLA는 아직 ChatGPT 등 생성형 AI 인용 형식을 확립하지 않았으며 기관, 교수별 가이드를 우선 적용하며 사용해야 한다.

  • 프롬프트 텍스트에 질문한 내용을 쌍따옴표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이어서 프롬프트를 기재한다.
  • 제목에는 ChatGPT와 버전을 기재한다.
  • 기관명에는 OpenAI를 입력하고, 이어서 질문 생성 날짜를 작성한다.
  • Chat GPT의 URL을 http://는 제외하고 작성합니다.
  • 형식 영어: “Text of prompt” prompt. Title, Version, Institution Name, Day of prompt, URL.
  • 형식 한국어: “프롬프트 텍스트” 프롬프트. 제목, 버전, 기관명, 질문 생성 날짜, URL.

본문(내주) 예시

  • 영어 단독저자:   (“Tell me about MLA style,” ChatGPT)
  • 영어 저자 2명:   (“Tell me about MLA style,” ChatGPT and Copilot)
  • 영어 저자 3명 이상: (“Tell me about MLA style,” ChatGPT et al.)
  • 한국어 단독저자: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tGPT)
  • 한국어 저자 2명: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tGPT, Copilot)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tGPT 외)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Tell me about MLA style.” ChatGPT, version 3.5, OpenAI, 24 Nov. 2023, chat.openai.com.
  • 영어 저자 2명: “Tell me about MLA style,” prompt by ChatGPT and Copilot. ChatGPT, version 3.5, OpenAI, 2023, chat.openai.com.
  • 영어 저자 3명 이상: “Tell me about MLA style,” prompt by ChatGPT et al. ChatGPT, version 3.5, OpenAI, 2023, chat.openai.com.
  • 한국어 단독저자: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tGPT, 3.5 버전, OpenAI, 2023년 11월 24일, chat.openai.com.
  • 한국어 저자 2명: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프롬프트 by ChatGPT, Copilot. ChatGPT, 3.5 버전, OpenAI, 2023년 11월 24일, chat.openai.com.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MLA스타일에 대해 알려주세요,” 프롬프트 by ChatGPT 외. ChatGPT, 3.5 버전, OpenAI, 2023년 11월 24일, chat.openai.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