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 스타일(APA style)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가 정한 문헌 작성 양식이다.
주로 사회과학 분야(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많이 사용하며, 일부 자연과학 분야(생물학, 식물학, 지구과학)에서도 사용한다. 최근 제7판까지 출판되었다.
기본 규칙
- 본문에서는 “(저자명, 출판연도)” 또는 “(저자, 출판연도, p. 단일페이지)” 또는 “(저자, 출판연도, pp. 시작페이지-끝페이지)“로 작성한다.
- 논문의 끝부분에 자세한 참고문헌을 작성한다. APA에서는 참고문헌을 페이지 하단에 기재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 참고문헌은 “저자명. (출판연도). 서명(판사항-판본이 여러개인 경우),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로 작성한다.
- 영문 저자명은 본문에서는 성(Last name)만 기재한다. 참고문헌에는 성(Last name), 이름(First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으로 작성하고, 이름과 중간이름은 약자(Initial)로 기재한다.
- 저자가 2명인 경우 이름 사이에 ‘&’ 표기, 3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 저자만 기재하고 ‘et al.’ 또는 ‘외’, ‘등’을 표기한다.
Tip> 본문에 표기하는 방식을 내주(In-text Citation), 페이지 하단에 표기하는 방식을 각주(Footnote), 논문의 끝부분에 표기하는 방식을 미주(Endnote)라고 한다.
본문에서 작성 예시
- ~에 의하면… 이다(나태주, 2025).
- ~에 의하면… 이다(홍길동 & 이철수, 2025, p. 33).
- 나태주(2025)는 위로, 사랑, 행복, 희망의 4가지 키워드로…
- 홍길동과 이철수(2025)는 한국 교과서의 등장 인물을 설명하며…
- ~에 의하면… 이다(Smith & Johnson, 2025, pp. 11-20).
- ~에 의하면… 이다(Hemingway et al., 2025).
참고문헌에서 작성 예시
- 나태주. (2024). 오늘도 이것으로 좋았습니다. 파주: 열림원.
- Hemingway, E. M. (1952).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 조태진. (1996). 절리암반의 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역해석 모델 개발. 한국암반공학회지, 6(1), 19-29.
단행본
단행본은 책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출판사를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 또는 ‘출판사명’을 기재한다.
2인 이상의 저자, 단체 저자, 저자를 모를 경우
- 저자가 2명인 경우 두 저자의 이름 사이에 ‘&’를 표기한다.
- 저자가 3~20명인 경우 ‘,’을 사용하여 저자 순서대로 나열한 후 마지막 저자 앞에 ‘&’로 표기한다.
- 저자가 21명 이상인 경우 19명의 저자를 나열한 후 생략부호 ‘…’를 사용하고 마지막 저자명을 기재한다.
- 단체명은 약어가 아니라 전체 이름을 작성하고, 다수인 경우 ‘&’을 사용해 작성한다.
- 저자를 확인 할 수 없는 경우 저자를 생략하고 제목부터 작성한다. 단, 작품의 저자가 ‘작자미상’ 혹은 ‘Anonymous’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작성한다. 본문에서도 제목을 기재한다.
단행본의 일부, 번역서, 출판년도 불명, 출처정보 표시 등
- 여러 저자의 글이 포함된 책에서 특정 저자의 글을 인용할 경우에는 그 글의 표제와 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작성한다.
(형식) 저자명. (출판연도). 서명. 편집자(편저), 표제: 부제 (pp. 시작페이지-끝페이지). 출판사명. - 제목을 기재한 후 번역서의 역자명은 괄호 안에 기재한다. 마지막에 원서의 출판연도를 괄호 안에 기재한다.
- 출판연도를 알 수 없으면 ‘n.d.'(No Date) 또는 ‘출판일 불명’을 표기한다.
- 웹 자원은 웹사이트 이름, URL, DOI등 검색이 가능한 정보를 기재한다.
연속간행물
- 학술지, 저널 등 연속간행물에 등재된 논문의 표기 방법으로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형식) 저자명. (발행년).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시작페이지-끝페이지. - 저자의 작성 방법은 단행본과 동일하다. 2명은 ‘&’를 사용하고, 3~20명은 ‘,’로 나열한 후 마지막 저자 앞에 ‘&’를 표기한다.
학위논문, 보고서, 신문기사
- 학위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URL이 있을 경우 기관명 이후에 기재한다.
(형식)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제목 (논문유형). 기관명. DOI 또는 URL. - 비공개 학위논문은 논문제목 이후에 괄호 안에 기재한다.
- 보고서는 단행본의 표기 방식을 따르고, 보고서 번호는 ‘보고서 제목. (보고서 번호).’로 작성한다.
- 신문기사는 기사명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인쇄 기사는 마지막에 페이지수를 기재하고 온라인 기사는 페이지수 대신 URL로 기재한다.
- 영문기사는 발행일을 ‘(Year, Month Day).’로 기재한다.
시청각 자료
- 유튜브 영상은 강연자가 직접 업로드한 경우 강연자를 저자로 기재하고 공식 채널에서 업로드한 경우 채널명을 저자로 기재한다.
(형식) 강연자. (연도, 월 일). 강연제목 [영상]. YouTube. URL. - 영화 혹은 다큐멘터리는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대괄호 “[]” 안에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를 기재한다.
(형식) 감독이름. (감독). (연도). 영화제목 [영화]. 제작사. - 웹페이지는 사이트명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웹페이지 저자가 기관이거나 단체일 경우 저자명에 기재한다.
- 웹페이지의 저자가 없을 경우 웹사이트 이름을 저자 자리에 기재한다.
생성형AI, ChatGPT
ChatGPT와 같은 생성형AI를 활용한 경우 관련 인용 및 출처 작성방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본 자료는 참고용이며, 학과 및 교수님의 가이드라인을 우선적으로 따르기를 권장합니다.
- 저자명은 AI를 개발한 회사, 출판 연도는 AI를 사용한 연도를 기재하고, 제목에 AI 모델의 이름과 버전을 기재한다. 사용된 프롬프트는 본문에 함께 작성한다.
(형식) 개발사. (연도). 모델명 (버전) [Large language model]. URL.
마지막 업데이트 2025.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