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 Style 작성법

[참고문헌 작성 #1]

APA 스타일(APA style)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가 정한 문헌 작성 양식이다.
주로 사회과학 분야(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많이 사용하며, 일부 자연과학 분야(생물학, 식물학, 지구과학)에서도 사용한다. 최근 제7판까지 출판되었다.

APA 스타일 공식 사이트

기본 규칙

  • 본문에서는 “(저자명, 출판연도)” 또는 “(저자, 출판연도, p. 단일페이지)” 또는 “(저자, 출판연도, pp. 시작페이지-끝페이지)“로 작성한다.
  • 논문의 끝부분에 자세한 참고문헌을 작성한다. APA에서는 참고문헌을 페이지 하단에 기재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 참고문헌은 “저자명. (출판연도). 서명(판사항-판본이 여러개인 경우),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로 작성한다.
  • 영문 저자명은 본문에서는 성(Last name)만 기재한다. 참고문헌에는 성(Last name), 이름(First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으로 작성하고, 이름과 중간이름은 약자(Initial)로 기재한다.
  • 저자가 2명인 경우 이름 사이에 ‘&’ 표기, 3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 저자만 기재하고 ‘et al.’  또는 ‘외’, ‘등’을 표기한다.

Tip> 본문에 표기하는 방식을 내주(In-text Citation), 페이지 하단에 표기하는 방식을 각주(Footnote), 논문의 끝부분에 표기하는 방식을 미주(Endnote)라고 한다.

본문에서 작성 예시
  • ~에 의하면… 이다(나태주, 2025).
  • ~에 의하면… 이다(홍길동 & 이철수, 2025, p. 33).
  • 나태주(2025)는 위로, 사랑, 행복, 희망의 4가지 키워드로…
  • 홍길동과 이철수(2025)는 한국 교과서의 등장 인물을 설명하며…
  • ~에 의하면… 이다(Smith & Johnson, 2025, pp. 11-20).
  • ~에 의하면… 이다(Hemingway et al., 2025).
참고문헌에서 작성 예시
  • 나태주. (2024). 오늘도 이것으로 좋았습니다. 파주: 열림원.
  • Hemingway, E. M. (1952).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 조태진. (1996). 절리암반의 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역해석 모델 개발. 한국암반공학회지, 6(1), 19-29.

단행본

단행본은 책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출판사를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 또는 ‘출판사명’을 기재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에 의하면… 이다(나태주, 2019).
  • 2개 이상을 동시에 인용한 본문에서는 이렇게 표시한다(Jackson, 2019; Sapolsky, 2017).

참고문헌에서 예시

  • 나태주. (2019). 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 서울: 시공사.
  • Jackson, L. M. (2019). The psychology of prejudice: From attitudes to social action (2nd 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Sapolsky, R. M. (2017). Behave: The biology of humans at our best and worst. Penguin Books
2인 이상의 저자, 단체 저자, 저자를 모를 경우
  • 저자가 2명인 경우 두 저자의 이름 사이에 ‘&’를 표기한다.
  • 저자가 3~20명인 경우 ‘,’을 사용하여 저자 순서대로 나열한 후 마지막 저자 앞에 ‘&’로 표기한다.
  • 저자가 21명 이상인 경우 19명의 저자를 나열한 후 생략부호 ‘…’를 사용하고 마지막 저자명을 기재한다.
  • 단체명은 약어가 아니라 전체 이름을 작성하고, 다수인 경우 ‘&’을 사용해 작성한다.
  • 저자를 확인 할 수 없는 경우 저자를 생략하고 제목부터 작성한다. 단, 작품의 저자가 ‘작자미상’ 혹은 ‘Anonymous’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작성한다. 본문에서도 제목을 기재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에 의하면… 이다(Svendsen & Løber, 2020).
  • ~에 의하면… 이다(김선양 외, 1984).
  • ~에 의하면… 이다(Smith et al., 2020)
  • ~에 의하면… 이다(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2020). ~ 두번째 인용(IMF, 2020)
  • ~에 의하면… 이다(“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 2019)

참고문헌에서 예시

  • Svendsen, S., & Løber, L. (2020). The big picture/Academic writing: The one-hour guide. Hans Reitzel Forlag.
  • 김선양, 김신일, 김지자, 손직수, & 이동희(편). (1984). 韓國社會와 敎育. 서울: 교육과학사.
  • Smith, J., Brown, P. R., Johnson, M. T., Lee, A., Kim, H., Garcia, L., Patel, R., Wilson, D., Hall, C., Evans, S., … & Thompson, B. (2020). Advanced neuroscience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1977). Surveys of African economies. Washington DC.: Author.
  • 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 (2019). 서울: 시공사.
단행본의 일부, 번역서, 출판년도 불명, 출처정보 표시 등
  • 여러 저자의 글이 포함된 책에서 특정 저자의 글을 인용할 경우에는 그 글의 표제와 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작성한다.
    (형식) 저자명. (출판연도). 서명. 편집자(편저), 표제: 부제 (pp. 시작페이지-끝페이지). 출판사명.
  • 제목을 기재한 후 번역서의 역자명은 괄호 안에 기재한다. 마지막에 원서의 출판연도를 괄호 안에 기재한다.
  • 출판연도를 알 수 없으면 ‘n.d.'(No Date) 또는 ‘출판일 불명’을 표기한다.
  • 웹 자원은 웹사이트 이름, URL, DOI등 검색이 가능한 정보를 기재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에 의하면… 이다(이철수, 2020, p. 130).
  • ~에 의하면… 이다(Hemingway,1956/1959).
  • ~에 의하면… 이다(나태주, n.d.).
  • ~에 의하면… 이다(Watson & Rayner, 1920/2013).

참고문헌에서 예시

  • 이철수. (2020). 한국 경제의 성장 과정. 박영준(편저), 한국 경제의 이해 (pp. 120-145). 한울아카데미.
  • Hemingway, E. M. (1959).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김형일, 옮김). 서울: 동학사. (원서출판 1956).
  • 나태주. (출판일 불명). 오늘도 이것으로 좋았습니다. 파주: 열림원.
  • Watson, J. B., & Rayner, R. (2013). Conditioned emotional reactions: The case of Little Albert (D. Webb, Ed.).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http://a.co/06Se6Na (Original work published 1920)

연속간행물

  • 학술지, 저널 등 연속간행물에 등재된 논문의 표기 방법으로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형식) 저자명. (발행년).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시작페이지-끝페이지.
  • 저자의 작성 방법은 단행본과 동일하다. 2명은 ‘&’를 사용하고, 3~20명은 ‘,’로 나열한 후 마지막 저자 앞에 ‘&’를 표기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이은주(2016)의 연구에 따르면…
  • ~에 의하면… 이다(Kandel & Squire, 2000).

참고문헌에서 예시

  • 이은주. (2016). 국내 기관 리포지터리에서 Dspace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465-687.
  • Kandel, E. R. & Squire, L. R. (2000, November 10). Neuroscience: Breaking down scientific barriers to the study of brain and mind. Science, 290(5494), 113-120.

학위논문, 보고서, 신문기사

  • 학위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URL이 있을 경우 기관명 이후에 기재한다.
    (형식)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제목 (논문유형). 기관명. DOI 또는 URL.
  • 비공개 학위논문은 논문제목 이후에 괄호 안에 기재한다.
  • 보고서는 단행본의 표기 방식을 따르고, 보고서 번호는 ‘보고서 제목. (보고서 번호).’로 작성한다.
  • 신문기사는 기사명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인쇄 기사는 마지막에 페이지수를 기재하고 온라인 기사는 페이지수 대신 URL로 기재한다.
  • 영문기사는 발행일을 ‘(Year, Month Day).’로 기재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김민송(2024)의 연구에 따르면…
  • ~에 의하면… 이다(Lee, 2018).
  • ~에 의하면… 이다(한국환경연구원, 2023).
  • ~중앙일보 기사에 의하면… 이다(김민수, 2024).
  • Smith(2024)의 기사에 따르면…

참고문헌에서 예시

  • 김민송. (2024). AI 학습 보조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효과 분석 : 고등학교 화학 과목 원자모형 학습 중심으로 (석사논문). 부산대학교. https://dcollection.pusan.ac.kr/common/orgView/000000164189
  • Lee, J. (2018).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mental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 한국환경연구원. (2023). 기후 변화와 정책 대응 방안 (보고서 No. 2023-15). 환경부. https://www.keei.re.kr/report2023
  • 김민수. (2024년 2월 14일).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변화.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1234567
  • Smith, J. (2024, February 14). How AI is changing the future of work.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24/02/14/ai-future-work.html

시청각 자료

  • 유튜브 영상은 강연자가 직접 업로드한 경우 강연자를 저자로 기재하고 공식 채널에서 업로드한 경우 채널명을 저자로 기재한다.
    (형식) 강연자. (연도, 월 일). 강연제목 [영상]. YouTube. URL.
  • 영화 혹은 다큐멘터리는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대괄호 “[]” 안에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를 기재한다.
    (형식) 감독이름. (감독). (연도). 영화제목 [영화]. 제작사.
  • 웹페이지는 사이트명을 이탤릭체로 작성하고, 웹페이지 저자가 기관이거나 단체일 경우 저자명에 기재한다.
  • 웹페이지의 저자가 없을 경우 웹사이트 이름을 저자 자리에 기재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에 의하면… 이다(TED, 2023).
  • 봉준호 (2019)의 영화 기생충은 빈부격차를 풍자적으로 표현했다.
  • ~에 의하면… 이다(Hong, 2023).
  • ~에 의하면… 이다(한국연구재단, 2022).

참고문헌에서 예시

  • TED. (2023, October 12). The power of vulnerability | Brené Brown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iCvmsMzlF7o
  • 봉준호. (감독). (2019). 기생충 [영화]. 바른손E&A.
  • Hong, J. S. (2023, June 15). The impact of AI on global economy. Korea Economic Review. https://www.kereview.com/articles/ai-impact
  • 한국연구재단. (2022). 연구 윤리 가이드라인. https://www.nrf.or.kr/ethics

생성형AI, ChatGPT

ChatGPT와 같은 생성형AI를 활용한 경우 관련 인용 및 출처 작성방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본 자료는 참고용이며, 학과 및 교수님의 가이드라인을 우선적으로 따르기를 권장합니다.

  • 저자명은 AI를 개발한 회사, 출판 연도는 AI를 사용한 연도를 기재하고, 제목에 AI 모델의 이름과 버전을 기재한다. 사용된 프롬프트는 본문에 함께 작성한다.
    (형식) 개발사. (연도). 모델명 (버전) [Large language model]. URL.

본문(내주)에서 예시

  • ~에 의하면… 이다(OpenAI, 2024).

참고문헌에서 예시

  • OpenAI. (2024). ChatGPT (GPT-4) [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마지막 업데이트 2025. 2. 2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