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젠테이션과 발표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질문을 할까?

질문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질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질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 이외에도 궁금한 것들을 알고자 할 때나 관련된 생각과 의문들로 시작될 때이다. 이러한 의문이 자신과 타인까지도 발전하는 첫 단추가 된다. 스스로에게 지속적으로 질문하다보면 자신의 또 다른 생각을 확장할 수 있고 발전시킨다. 이뿐인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가치있는 질문을 하면서 함께 성장하고 좋은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여러분은 세종대왕의 질문에 대한 <일화>를 알고 있는가? 최해산이 어떤 노인이 제주에 용이 나타났다고 하여 제주에 난리가 났다고 임금에게 전하러 온 사건이다. 당시 실록의 내용을 보면 “다섯 마리의 용이 한꺼번에 하늘로 올라가는 기이한 일이 일어났고, 그 중 한 마리가 수풀에 떨어지더니 한동안 빙빙 돌다가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만약 당신이 이런 보고를 들었다면 어떤 질문을 했을까? 이를 들은 세종은 최해산에게 돌아가서 노인에게 좀 더 자세히 질문하여 물어오라고 했다. 당시 세종은 10여 개의 질문을 던졌는데 질문이 구체적이고 명확했다. <질문에 능한 임금, 세종>에 대한 내용은 세종실록 22년(1월30일)에 기록되어 있다.… <출처:한국강사신문>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프레젠테이션과 토론’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언어적, 비언어적 매체를 통하여 타인 및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2 [분반:001]

본 강의는 대면으로 진행된다. PPT중심의 강의라서 교재는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다. 강의를 통해서 발표에 필요한 실용적인 스킬을 배우며, 과제를 통해 자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장점과 보완할 점을 공유하며 학생들간 의견을 발표하기도 한다. 시험은 부담 없는 편이다. 강의 중 재밌는 동영상이나 뉴스를 보여주시고, 핵심 포인트는 PPT 요약본으로 올려 주신다. 개념을 외우는 것 보다 지식을 이해하고 발표와 토론 시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좋다. 팀플은 총 2회로 각각 경쟁PT와 교차토론이다. 수업 평가는 1,000점 기준 700점 이상이면 PASS이다. 평가 비중은 출석(10%), 중간고사(20%), 기말고사(20%), 발표(40%), 기타(10%)이다.

2024-2 [분반:001]

<강의정보>
중간고사 이전 강의는 발표 위주의 수업이고, 기말고사까지의 강의는 토론 위주로 진행된다. 심도있게 발표 스킬을 배울 수 있다.
(전반부) 의사소통 유형, 언어적&비언어적 특성, 스피치 유형 등을 다룬다. PT의 유형에 따라 전개 방식이 다르고 제스처, 글꼴, 목소리 등 섬세한 내용이 포함된다. 중요한 것은 가독성이다. 시각 자료를 활용하므로 글자 크기와 색상 조합을 유의해야 한다. 외부 자료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하며 어길 시 평가에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다.
(후반부) 토론의 논제, 설명과 설득의 차이점, 갈등의 개념 및 해결책, 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 좋은 토론 주제, 갈든 관리 스타일을 배운다. 주장은 세 가지 이상의 근거에 의해 뒷받침 되어야 하고, 각 근거에 대한 부연은 증거나 예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024-2 [분반:001]

<과제정보>
1. Personal Repor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24 설문지 작성
2. 3분 스피치 또는 자기소개 발표
3. 기라 레이에 대한 PPT 제작. 글과 그림은 교수님이 제공해 주셔서, 나머지 부분만 만들면 된다.
4. 팀발표. 4가지 주제(재활용률 증가 방안 / 보궐선ㄴ거 투표율 증대 방안 / 부산대 학내 보행환경 개선 / 부산대 상권 활성화 방안) 중 선택. 발표시간은 12분 주어지며, 평가에 시간 엄수도 들어간다. 그리고 경쟁 발표 계획서는 과제로 제출한다. 4명 각각 도입부, 문제도출과 문제제안, 문제분석, 해결책, 질의응답으로 나눈다. 동료평가도 포함되어 무임승차 조원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중의 평가도 중요하다. 두팀을 비교해서 점수를 매기고, 상대적 우위 평가를 받으면 보너스 20점을 부여받는다.
5. 토론: 논제는 6가지 중 3명씩 팀을 짜서 찬성팀과 반대팀을 구성한다. 논제에 대한 조사와 논의를 통해 토론 개요서를 준비해야한다. 토론 개요서는 크게 입론 교차조사 및 답변 반론으로 짜여진다. 교차조사는 예상되는 상대측의 논거를 먼저 열거하고 그것을 공박할 수 있는 질문을 준비한다. 또한 예상되는 상대측의 질문에 대한 우리측의 답변을 준비한다. 경쟁 발표와 마찬가지로 토론 계획서 과제를 제출해야한다.  토론논제(캠퍼스 내 무단주차에 범칙금 부과 / 일회용 플라스틱 페트병에 보증금 부과 / 대학 축제 연예인 행사비 규제 / 국가 이미지에 기여한 연예인 병역 면제 /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 소환제 도입 / 가상화폐 투자 금지)

2024-2 [분반:001]

<시험정보>
시험은 무제한 오픈북 형실으로 전자기기로 PPT를 참고할 수 있어서 비교적 편하게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다. 중간/기말고사는 각 객관식 40문항이다. 모든 문항은 각 5점이고 만점은 200점이다. 문제는 PPT 위주로 출제된다.
(시험문제 예시)
* 프레젠테이션 기획 시 고려해야할 3P
*의사소통의 네가지 방식 중 일상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
*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수사의 삼각형은 좋은 화자가 되기 위한 세가지 요소를 상징. 이 가운데 말하느 이의 메시지에 내재한 ‘논리성’을 가리키는 것은.
* media richness 이론에 비춰 볼 때, 불확실성 해소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소통 매체.
* 적절한 온라인 PT시간 관리 방법.
* PUGSS 모델에서 P가 의미하는 것.
* 이해당사자의 적극 참여와 소통을 통해 해소될 수 있는 갈등.
* 좋은 토론의 논제 3가지 요건.

추천 저널

한국언론정보학회
undefined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1738-1908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창쩌위안 (Chang, Ze-Yuan); 한정원 (Han, Jeong-won)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24-11 40(11):37-47
저자 박선옥 (Park, Sun-Ok)
인문과학연구. 2022-09 74:187-209
저자 오세정 (Oh Sejeong)
서강인문논총. 2009-06 25:87-114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교양필수에 개설된 프레젠테이션과토론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