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 미래사회의 응용윤리

AI 시대, 가짜가 진짜를 대체한다. 시뮬라시옹의 시대

프랑스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1929~2007)는 현대사회는 더 이상 ‘실재(reality)’ 기반의 세상이 아니라는 파격적 주장을 펼쳤다. 우리를 둘러싼 세계는 복제된 이미지와 기호, 즉 시뮬라크르(Simulacre)로 넘쳐나고, 시뮬라크르들이 현실을 대체하는 이른바 시뮬라시옹(Simulation) 시대에 들어섰다고 그는 설명한다.…보드리야르에 의하면, 현대사회는 시뮬라시옹이 지배하는 사회다.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대부분 디지털 복제물, 즉 시뮬라크르를 통해 조작되고 가공된 결과물이다. AI 생성 기술이야말로 시뮬라크르의 극단적 예다. AI는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처럼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목소리를 재현한다. AI 앵커가 뉴스를 읽고, AI 음악이 차트를 장악하고, AI 소설이 서점 판매대에 깔린다. 이 모든 것은 더 이상 ‘복제’라 부르기 어려운, 학습된 창조이자 새로운 실재다.  <출처: 교수신문>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미디어와 미래사회의 응용윤리’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거나 예견되는 미래사회의 응용윤리문제에 관해 윤리적 측면에서 이해한다. 본 교과목은 수강생인 대학생들로 하여금 미래 교육과 관련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고, 교육 내용과 연계된 일상과 관련된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며,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탁월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2 [분반:001]

본 강의는 3,4차산업혁명시대의 여러 윤리문제들(인공지능, 인터넷, 과학연구, 생태, 환경, 기후위기, 생명, 의료, 과학기술, 공학, 미디어, 문화예술 등)에 대해 자신의 시각과 이해, 고민 가운데 쉽게 다가서되, 자기주도적 문제의식 가운데 학습하고, 안목과 성찰, 대안을 제시해 가는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대면강의로 진행되며 교제없이 PPT자료를 플라토에 올려주신다. 출석은 수업 종료 후 호명으로 체크하신다.  매일 시험지를 나눠주시는데, 학번과 이름을 쓰고 강의내용을 메모하면 된다. 시험지는 수업 끝나면 다시 걷어 갔다가 다음시간에 다시 주신다.  자유주제 발표가 두번있으나, 발표를 하기만 하면 점수를 주신다.

강의평가방법은 기말고사(50%), 과제물 2건(50%),출석(10%) 이다.

2024-2 [분반:001]

<강의정보>

1주차) 오리엔테이션
2-3주차)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서양윤리학의 역사와 흐름>에 대해 설명. 철하자와 대표 윤리학파 소개
4주차: 강인공지능과 포스트퓨머니즘에 대한 찬반양론
5주차: 4차산업형명 시대 양극화,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 일자리 감소 등 여러 문제상황 제시
6주차: 인공지능 시대의 분배정의(데이터세, 로봇세 등)
7주차: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지정재산권에 대한 사상가별 입장)
8주차: 중간고사기간 휴강
9주차: 표현의 자유와 사상적 자유(자유론vs공리주의), 프라이버시 침해
10주차: 4차산업혁명시대 친밀성의 위기(사랑, 가족의 해체)
11주차: 팬데믹 이후 민주주의 위기(모니터링 민주주의 등), 도덕적 향상이 기후변화의 대책일 될 수 있을까.
12주차: 4차산업혁명시대 청년 일자리 위기, 자율주행차 알고리즘에 대한 논의
13주차: 과제 발표위주 수업
14주차: 시험 예상문제 해설 강의
15주차: 기말고사

2024-2 [분반:001]

<과제정보>

  • 발표 2회: 자유주제. 순서와 날짜를 지정하지 않고 수업 당일에 발표자가 있는지 불어보신다. 발표능력이나 내용은 평가하지 않고 발표를 하기만 하면 점수를 주신다. 모든 학생이 발표할 시간이 확보되지 않을 시, 수업시간에 발표하지 못한 학생은 자신의 기말고사 1번 문제(상술문제)와 관련하여 공부한 내용을 주제로 발표 자료 2개를 과제란에 올리면 점수를 부여하겠다고 하셨다.
  • AI 시 창작: 수업 중간에 추가된 과제로 챗GPT에게 자신만의 조건을 부여한 시를 창작하여 한편 이상 플라토에 제출한다.

2024-2 [분반:001]

<시험정보>
시험은 기말고사 1회. 10문제 이하로 출제된다. 한 문제는 스스로 던지고 답하는 문제(고정)이며 답변이 얼마나 참신한가를 중점으로 평가한다. 나머지 5-7문제는 수업 내용을 요약하는 문제로 시험 전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예상문제(13문항) 중 랜덤으로 출제된다. 예상 문제 답변은 개인이 인터넷에서 조사하며 준비해도 된다. 그러나 PPT와 수업 내용을 어느 정도 참고 하는 것을 추천한다. 시험 중 개인 자료를 참고하는 것은 불가하다.
* 본인이 스스로 문제를 제시 후 상술하는 문제는 창의성을 요구한다. 예)마르크스주의, 포스트모던 해체주의, 공동체주의 중 어떤 이론이 현대 민주주의 위기에 가장 적합한 대안인지 비교하여 서술하라.
* 수업 내용 요약문제는 4-8줄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객관성과 논리성이 요구된다.

기말고사 시험문제 예시

*자기가 선택해서 만든 문제 상술.
*저작권 이론에서 로크와 공리주의의 저작권 이론을 약술.
*의료쪽에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편향성, 투명성(설명가능성)의 문제에 대해 약술.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 택1해서 서술.
*4차산업혁명시대의 친밀성의 위기에 대해 약술하고 자기 나름의 대안을 제시.
– 분량을 크게 초과하지 않는다면 최대한 길게 쓰는 것을 추천한다.

추천 저널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228-954X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1738-6195
한국정보사회학회
2508-7800
Springer Nature
0951-5666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635-4691
과학기술과 사회 네트워크
2799-7669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38-1916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목광수 / Mok Kwangsu
철학·사상·문화 / PHILOSOPHY·THOUGHT·CULTURE. Nov 30, 2024 46:291
저자 박희숙 (Hee-Sook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25-03 29(3):337-342
저자 김명주
관훈저널. 2024-06 66(2):115-123
저자 장혜선 (CHANG HYE SEON); 김성태 (Kim Sung Tae)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10 33:61-99
저자 정영주 (YoungJu Jung); 오세욱 (Se-uk Oh); 이현우 (Hyunwoo Lee)
언론정보연구. 2023-05 60(2):47-95
저자 양유진 / Yang Yujin; 동풀잎 / Dong Pool Ip; 윤여주 / Yoon Yeojoo; 박창현 / Park Changhyun
유아교육연구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y 31, 2025 45(3):139
저자 陳性希 (Sung-Hee Jin)
중국어문논역총간. 2023-01 52:207-230
저자 유용민 (Yong-Min Ryu)
커뮤니케이션 이론. 2022-06 18(2):5-51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사상과 역사(1영역)에 개설된 ZF1200767, 미디어와미래사회의응용윤리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