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환경 변화와 해양도시 부산

바다숲이 필요한 이유

바다숲은 해양 생물들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바다 생태계의 근간이다. 연안의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다양한 수산 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각종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 정화와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바이오 에탄올 등 청정바이오 에너지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바다숲이 200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사라져가고 있다. 이는 해양오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해 바닷속에 녹아있는 탄산칼슘(석회가루)이 석출되어 해저 생물이나 해저 바닥,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갯녹음 현상 때문이다.

갯녹음이 발생해 바닥에 달라붙기 시작한 탄산칼슘은 바다 전체를 알칼리성으로 바꿔버리고, 결국 산호나 해조류 등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을 만든다.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는 마치 사막처럼 황폐화되고, 더 이상 탄소를 흡수하는 저장고 역할도, 산소를 만들어내는 생산자 역할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지구온난화의 가속화와 해양 생태계 붕괴라는 무서운 결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금 우리나라 전역의 바다숲에는 갯녹음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19년 한국수산자원공단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동해안의 51%, 제주도의 35%, 남해안의 13%에서 이미 갯녹음화가 진행되어 많은 양의 해조류가 사라졌다고 한다. 사라진 세 곳의 바다숲을 모두 합하면 총 1만2천730ha 정도인데, 이는 여의도 면적과 비교해도 44배나 큰 엄청난 규모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바다숲의 황폐화는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세계 최대 규모의 산호초 군락지, 호주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역시 갯녹음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22년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 해양공원청 보고서에 따르면 90% 이상의 산호초가 이미 피해를 입은 상태라고 한다. 일본도 큐슈 남부 해역에서부터 북해도까지 전 해안에 걸쳐 갯녹음 현상으로 인한 바다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출처: 삼표그룹 블로그>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지구환경 변화와 해양도시 부산’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본 강좌는 지구온난화 등의 지구환경 문제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와 시민의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1 [분반:044]

본 강의는 전 시간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비대면은 녹화강의로 진행되는데 총 3명의 교수님들이 수업을 진행한다. 한 주차당 3개의 강의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강의당 20~30분 내외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홍수의 특성과 관리방안이 그 주차의 주제라면, 첫 번째 강의는 홍수의 발생원인, 두 번째 강의는 홍수 피해사례, 세 번째 강의는 홍수 예방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주차별로 진행하시는 교수님이 달라, 설명방식이나 ppt 방식이 달라진다. PPT를 보시고 설명해주시는 교수님도 있고 개념만 화면에 띄워주시는 교수님이 계신다. 공통적으로 사례에 관한 영상을 보여주기에 개념에 대한 이해도는 높다. 교재는 따로 없기에, 준비할 필요 없다. 강의 평가 방식은 출석과 시험에 비중을 둔다. 중간보다 기말에 중점을 더 두니, 기말 시험이 더 중요하다.

2024-1 [분반:044]

강의는 기후변화의 요인과 이로 인한 해양도시 부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개요 및 대응방안에 대해 학습하고 해양오염과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한 대응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1주차 : 지구환경 변화의 개요
2주차 :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이해
3주차 : 파도의 이해와 해안가 생성
4주차 : 이상고파, 이안류 및 연안침식 현상이란?
5주차 : 폭풍해일과 해안도시 침수
6주차 : 지진해일의 위험성과 우리의 대응
7주차 : 빌딩풍의 발생과 위험도 분석
9주차 : 지반 재난의 이해
10주차 : 홍수의 특성과 관리방안
11주차 : 방재 구조물의 이해와 적용
12주차 : 해양생태계의 이해
13주차 : 해양환경오염과 관리
14주차 : 지구온난화와 해양생태환경

2024-1 [분반:044]

<과제 정보>

과제 없음

<시험 정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서술형 시험으로 본다. 서술형 시험이나, 단답형으로 적는 걸 더 선호하시는 편이다. 시험시간은 중간고사때는 1시간 30분이었으나, 기말고사는 1시간으로 축소되었다. 시험 보기에는 1시간도 넉넉하다고 본다. 시험 정보는 2~3일전에 플라토에 공지된다.

시험 정보는 4개의 주제를 올려주신다. 시험 문제는 7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개된 4개의 정보를 바탕으로 출제하신다. 문제와 시험지를 따로 나눠주신다. 시험이 시작되면 B4 종이에 질문 답에 맞춰 서술형 혹은 단답형으로 답안을 작성하면 된다.

2024-1 [분반:044]

중간고사 시험문제

  •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상승 이유
  • 지구온난화에 인간 대응 방법
  • 지구온난화에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방법
  • 고파랑이 형성하려면 맞는 조건
  • 강에서는 파도가 안 치는데, 바다에서는파도가 치는 이유
  • 빌딩풍의 원인과 대응방법연안에 다가갈수록 해수면 상승하면서 폭풍해일이 발생하는데, 해수면 상승 이유

기말고사 시험문제

  • 사면붕괴의 원인적기
  • 홍수에 대한 방안과 피해예방방안적기
  • 빌딩풍의 방재구조물을 최소 3개 이상 작성하고 설명하기
  • 빌딩풍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쓸 수있는 방안 적기
  • 해양쓰레기를 장소에 따라 분류하고 적기
  • 지반재난 방지하기 위한 방법 적기
  • 바다숲 기능 적기

추천 저널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오상명 (Oh, Sang-Myeong); 권석재 (Kwon, Seok-Jae); 문일주 (Moon, Il-Ju); 이은일 (Lee, Eun-Il)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11-06 23(3):236-247
저자 김병석 (Byung Suk Kim); 문태훈 (Tae Hoon Moon)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10 2008(10):105-125
저자 김주진 (Kim Joojin)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7-06 11(1):7-42
저자 김현정 (HyeonJeong Kim); 서승원 (SeungWon Suh)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19-10 31(5):253-264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융복합(7영역)에 개설된 지구 환경변화와 해양도시 부산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